메뉴 건너뛰기

회사 내부 계획 보도 후 백악관이 "적대적 행위"라며 공개 질타
아마존 "일부 팀에서 논의, 실행않을 것"…트럼프-베이조스 갈등 해석도


29일(현지시간)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 사진이 첨부된 로이터 기사 내용 들어 보이는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
[A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전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미국의 아마존이 일부 상품 가격에 관세로 추가된 금액을 표시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가 백악관이 공개 질타하자 곧바로 이를 실행하지 않겠다며 백지화했다.

이 과정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아마존 창업자인 제프 베이조스에게 전화해 불만을 표시했다고 미국 주요 언론들이 전했다.

아마존은 29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초저가 상품 '아마존 홀'(Amazon Haul) 스토어를 운영하는 팀이 특정 제품에 수입 비용을 표시하는 아이디어를 검토했으나, 이는 주요 아마존 사이트에 대한 고려 대상이 결코 아니었으며 아마존의 어떤 플랫폼에도 구현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아마존은 이런 검토 내용이 승인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실현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미국 매체 펀치볼뉴스는 소식통을 인용해 아마존이 상품 가격 옆에 관세로 붙게 된 비용을 표시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이날 오전 보도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아마존의 적대적이고 정치적인 행위"라며 "(전임) 바이든 행정부가 40년 만에 가장 높은 인플레이션을 기록했을 때 왜 아마존은 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나"라고 지적했다.

레빗 대변인은 이 보도 내용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얘기했다고 전했다.

다만 레빗 대변인은 해당 보도 내용이 트럼프 대통령과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 간의 관계를 긴장시켰는지 묻는 말에는 "언급하지 않겠다"며 답변을 피했다.

레빗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아마존을 비판할 때 2021년 12월 로이터 통신의 기사가 인쇄된 종이를 들어 보인 뒤 "아마존이 중국 선전 기관과 협력했다"고 소개한 뒤 관세를 표시하겠다는 아마존의 결정이 "놀라운 일도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그가 언급한 로이터 기사는 아마존의 중국 웹사이트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의 연설과 글이 수록된 책에 대한 이용자 리뷰를 검열했다는 내용이다.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한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왼쪽에서 세번째)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CNN과 NBC 방송은 이날 백악관 브리핑에 앞서 아마존 관련 내용을 접한 트럼프 대통령이 크게 화를 내며 베이조스에게 직접 전화해 불만을 표시했다고 백악관 고위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CNN에 "물론 그(트럼프 대통령)는 화를 냈다"면서 "왜 수십억달러 규모의 기업이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해야 하느냐"고 지적했다.

CNBC는 이날 아마존에 대한 백악관의 공개 질타가 트럼프 대통령과 베이조스 사이의 새로운 갈등을 보여주는 신호일 수 있다고 해석했다.

아마존은 올해 초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 기금에 100만달러를 기부했고, 베이조스는 지난 1월 취임식에 참석하며 트럼프 대통령과 가까워지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특히 중국을 겨냥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은 중국산 제품 판매 비중이 높은 아마존의 전자상거래 사업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아마존이 작년 11월부터 개설해 운영 중인 '아마존 홀' 스토어는 중국의 저가상품 플랫폼 테무와 쉬인을 겨냥한 쇼핑몰로, 20달러 이하의 초저가 상품을 판매한다.

경쟁업체인 테무는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지난 주말부터 약 145%의 '수입 수수료'(import charges)를 상품 가격에 추가해 판매하기 시작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722 홍준표 "계파 없었던 나는 30년간 보수 정당 아웃사이더"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21 연봉 8000만원 넘는 근로자, 소득세 76% 부담… 감세 속도 붙나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20 서울 시내버스 노사협상 결렬…파업 대신 ‘준법 투쟁’ 돌입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19 트럼프, 자동차 관세 후퇴…“한국, 대선 전 관세 협상 원해”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18 아이와 은행가면 '패스트트랙'…놀이공원 할인혜택 확대[Pick코노미]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17 뉴욕증시, 中 제외 주요국 관세 협상에 상승 마감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16 [단독] 이재명, TJ에 주목하는 까닭은...묘역 참배 이어 포스코 제철소 방문 추진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15 윤여준 “이재명, 순발력 뛰어나···어려운 국가 현실에서 중요한 자질”[스팟+터뷰]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14 서울 시내버스 노사협상 결렬…'준법투쟁'에 출근길 비상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13 노사 협상 최종 결렬‥이 시각 여의도 환승센터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12 내일 '초고속' 선고‥이재명 "법대로 하겠죠"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11 [샷!] "너무 음울하고 불쾌"…선 넘은 광고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10 국힘과 '단일화 골든타임' 나흘뿐…한덕수 출마해도 산넘어 산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09 美 “한 국가와 관세 협상 완료… 승인 대기 중”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08 "에베레스트, 이젠 아무나 못 오른다"…규제 강화 나선 네팔 정부, 왜?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07 이틀만에 SKT 가입자 7만명 이탈…번호이동 쟁탈전 벌어지나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06 유심 쓰는 SK텔레콤 ‘태블릿·웨어러블’ 고객 160만명… “해킹 위험에도 유심 교체·보호 서비스 안내 없이 홀대”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05 ‘인구비상사태’라면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예산 ‘0원’에 운영난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04 취임 100일에 ‘작전상 후퇴’…“미국서 만든 차는 15% 부품 관세 면제” new 랭크뉴스 2025.04.30
50703 병원 신설 문턱 높아진다…정부, '개설 허가 사전심의제' 도입 new 랭크뉴스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