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보기에도 먹을 수 없는 과일들.

건더기 없이 멀건 국물뿐인 곰탕.

'호텔식 요양원'이라 광고하는 한 요양원에서 제공된 음식입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처가가 운영하는 곳인데, 노인학대 사례들이 무더기로 신고됐습니다.

논란이 확산되면서 관련 당국이 일제히 조사에 착수한 걸로 MBC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조명아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오늘 오전, 경기 남양주의 한 노인요양원.

건강보험공단과 관할 지자체 관계자들이 건물 안으로 들어갑니다.

노인 학대 신고를 받고 현장 조사를 나온 겁니다.

[경기북부노인보호전문기관 조사관]
"자료나 진술이나 이런 것들 토대로 조사하고 있습니다. 전 직원 전체 다 (조사)하고 있어요."

2017년 문을 연 이 요양원은 김건희 여사의 모친인 최은순 씨 일가가 운영하는 곳입니다.

대표는 김 여사의 오빠인 김진우 씨, 주요 간부 자리에 친인척들을 앉히고, 실제 관리는 최 씨가 하고 있습니다.

노인 학대 등 불법 운영 실태를 최근 건보공단에 공익신고한 건 이곳에서 일했던 요양보호사였습니다.

입소자 한 명당 매달 37만 5천 원의 식대를 받고도 제공되는 음식은 끔찍했습니다.

간식으로 썩은 과일들이 제공됐고, 한 층의 입소자 16명이 먹는 주스에 바나나는 달랑 7개만 넣고 물을 탔습니다.

[제보자]
"바나나하고 야쿠르트 7개 하고 그러면 그거를 이제 믹서기에 물을 섞어서 갈아서 나눠드리는 거지."

1.5리터짜리 토마토주스도 한 층당 딱 한 병이 주어졌습니다.

1인당 간식비로 고작 100원 안팎이 들어간 셈입니다.

대파 같은 고명이나 고기 건더기는 찾기 힘든 곰탕, 미역 없는 미역국 등이 일상이었고, 식사 때 제공된 숟가락에 음식물이 그대로 묻어 있는 등 위생도 엉망이었습니다.

[제보자(지난 22일, 유튜브 '서울의 소리')]
"(건더기는) 낚시를 해서 건질 수 있을 만큼 양도 적게 그렇게 주고 소시지 엄청 싸구려…우리 강아지 줘도 안 먹을 것 같아."

작년 12월에는 한 80대 노인이 설사와 혈변 증상을 열흘 넘게 보였지만, 3주 가까이 방치된 끝에 병원으로 옮겨졌다 숨지기도 했습니다.

'요양병원'과 달리 의료진이 상주하지 않는 요양원인데도 병원 이송을 미루다 터진 사고였습니다.

제보자는 '돈 때문'이라고 잘라 말합니다.

장기요양급여 대상인 입소자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거나 입원을 하면 요양원은 장기요양급여를 절반밖에 못 받는다는 겁니다.

일상적인 학대 정황도 폭로됐습니다.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어르신의 사지를 24시간 침대에 묶어 놓고 기록 의무조차 지키지 않았습니다.

MBC가 입수한 건보공단의 2021년 정기평가에 따르면, 학대와 신체적 구속을 평가하는 '노인인권보호'와 기저귀 교환 같은 '배설 관리' 항목 등에서 가장 낮은 등급인 '미흡'을 받았습니다.

2019년 남양주시의 지도점검에서도 식재료비를 용도 외로 지출하고 신체억제대 사용 시 기록을 제대로 하지 않아 적발됐습니다.

지난 2018년과 2021년에도 병원이송 기피 등 입소자에 대한 학대가 신고돼 조사에 나섰지만 두 번 다 별문제가 없다고 결론냈습니다.

[전진숙/국회 보건복지위원]
"문제의 시그널(정황)이 계속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놓치고 있다가 지난 4월 9일 공익 신고가 이루어진 다음에서야 현지 조사를 했습니다. 늑장 조사한 거 맞고요."

MBC는 제기된 의혹에 대한 입장을 요양원 측에 물었지만 답을 듣지 못했습니다.

[해당 요양원 관계자]
"저희 인터뷰 안 하니까 나가주세요."

남양주시와 건강보험공단 등은 모레까지 현장 조사를 마친 뒤, 업무정지 또는 지정 취소 등 행정처분과 함께, 요양급여 부당 지급금 환수 조치 여부 등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MBC뉴스 조명아입니다.

영상취재: 이원석 / 영상편집: 허유빈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81 새마을금고서 1700억대 부당대출…단일 금고 역대 최대 규모 랭크뉴스 2025.05.02
47380 이재명 파기환송심 15일 첫 공판…소환장 발송 랭크뉴스 2025.05.02
47379 미·일, 2차 관세 협상서도 방위비 논의 ‘패스’···“자동차 관세 인하 요구에 미국 난색” 랭크뉴스 2025.05.02
47378 美의회, 조선업 부활법안 초당적 재발의…한국에 기회 될 수도 랭크뉴스 2025.05.02
47377 출마 첫날 ‘통합과 동행’ 취지 무색…한덕수, 광주서 ‘문전박대’ 랭크뉴스 2025.05.02
47376 김문수 측 “한덕수 후보 가능성 없어” 한동훈 “한덕수 개싸움 못 이겨” 랭크뉴스 2025.05.02
47375 “대선 레이스, 법원 판결·사퇴로 혼돈” “한국, 충격적인 전개”…정치 혼란에 외신 촉각 랭크뉴스 2025.05.02
47374 검찰 통일교 前 금고지기 입건…휴대폰엔 '5만원 권 100장 6뭉치' 사진 랭크뉴스 2025.05.02
47373 ‘고양이한테 생선’ 구치소 영치품 관리를 재소자가? 랭크뉴스 2025.05.02
47372 현직 판사, '이재명 파기환송' 비판... "이례적 속도, 편향 비판 초래" 랭크뉴스 2025.05.02
47371 국민의힘 '최종 대선 경선' 당원투표율 53%로 마감 랭크뉴스 2025.05.02
47370 '트럼프 관세' 이후 첫 고용 성적 예상밖 선방…4월 일자리 17.7만개 증가 랭크뉴스 2025.05.02
47369 美 4월 일자리 17만7000명 증가… 예상 크게 웃돌아 랭크뉴스 2025.05.02
47368 “대법원장, 내란과 법원 폭동엔 아무 말 못하다가 판결은 서슴없어…제발 비겁하지 맙시다” 랭크뉴스 2025.05.02
47367 [속보]한덕수, 시민들에 광주 5·18 묘지 참배 막히자 “저도 호남사람입니다!” 랭크뉴스 2025.05.02
47366 유로존 4월 물가 상승률 2.2%… 근원물가는 2.7% 반등 랭크뉴스 2025.05.02
47365 美 4월 일자리 17만7천명 증가… 예상 크게 웃돌며 고용시장 관세에도 '견조' 랭크뉴스 2025.05.02
47364 파킨슨병 환자 15만 시대…“수가·장애 기준 현실화해야” 랭크뉴스 2025.05.02
47363 임플란트 시술한 치과 찾아가 흉기 휘두른 60대 구속 랭크뉴스 2025.05.02
47362 대법 판결에 말 아낀 이재명 "싸울 때는 싸워야"... 보란 듯이 '마이웨이' 랭크뉴스 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