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호주 빅토리아 정부가 항공기를 이용해 코알라 약 700마리를 살처분해 논란이 일고 있다.

25일(현지 시각) 영국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빅토리아 정부는 “부즈 빔 국립공원 화재로 먹이를 잃은 코알라들이 더는 고통받지 않도록 전례 없는 조처를 했다”고 밝혔다.

지난 3월, 부즈 빔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로 약 2,200헥타르(약 665만 평)의 면적이 불에 탔으며, 이로 인해 코알라의 주 먹이인 유칼립투스 군락도 대부분 소실됐다.

정부는 화재의 직접적인 피해뿐 아니라 지속적인 가뭄, 건강 악화, 식량 부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살처분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번 살처분은 헬리콥터에서 저격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일반적으로 침입종 통제에 쓰이던 공중 사살 방식이 토종 야생동물에 적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주 당국은 “국립공원의 험준한 지형과 코알라의 높고 외딴 위치, 화재로 약해진 나무의 위험성 때문에 공중 작전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야생동물보호협회 와일드라이프 빅토리아의 리사 팔마 대표는 "산불은 야생동물에 심각한 고통과 죽음을 초래한다”며 “심각한 화상을 입은 동물에게 할 수 있는 가장 자비로운 조치는 안락사"라고 말했다. 이어 “협회의 우선순위는 산불 이후 정부가 사용하는 모든 안락사 방법이 즉각적이며 적절한 감독을 받는 것”이라고 말했다.

빅토리아주 생물다양성 책임자 제임스 토드는 "이번 결정은 결코 가볍게 내려지지 않았다"며 "공중 살처분의 목적은 화재로 고통받는 동물의 고통을 끝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숙련된 수의사, 동물 복지 전문가 등 전문 인력이 참여해 망원경으로 개체의 건강을 평가한 뒤, 30m 이내에서 사살했다고 설명했다.

코알라 전문가이자 디킨대 부교수인 데슬리 위슨도 “그냥 방치하는 것보다는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는 공중 살처분이 더 자비롭고 동정심이 담긴 대응”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일부 단체들은 이번 조치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국제 환경단체 지구의 벗(FoE)은 “코알라 공중 사살은 호주 최초로, 불쾌한 윤리적 선례를 남겼다”며 “공중에서는 성체 코알라의 정확한 건강 평가를 할 수 없고, 어린 코알라의 생존 가능성도 고려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센트럴 퀸즐랜드대의 롤프 슐라글로프 생태학자 역시 "공중 사격이 실제로 효율적이고 정확한지 의문”이라며 “진짜 문제는 코알라 서식지와 자생 식물 관리 실패에 있다"고 꼬집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58 공항 착륙 직전 나타난 ‘용오름’…여객기 급선회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30
46057 "사이코패스? 눈동자만 봐도 알 수 있다"…초간단 '식별법'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30
46056 [정운찬 칼럼] 한국 사회, 어디로 가야 하나? 랭크뉴스 2025.04.30
46055 "'대선 단골' 허경영, 이번에는 왜 출마 안 하지?"…조용한 이유 알고보니 랭크뉴스 2025.04.30
46054 "버스 안 오면 어쩌지"…서울 시내버스 '준법투쟁' 첫날 출근길 어땠나 보니 랭크뉴스 2025.04.30
46053 길어지는 한화-LIG ‘천궁Ⅱ' 이라크 수출 갈등 랭크뉴스 2025.04.30
46052 알뜰폰 유심 구매 끝없는 발길… CU 매출 1주일 새 205% 늘었다 랭크뉴스 2025.04.30
46051 [속보] 3월 전산업 생산 0.9% 증가했지만… 소비·투자는 동반 ‘감소’ 랭크뉴스 2025.04.30
46050 [단독] 보수 원로 이석연, 이재명 캠프 선대위원장단 합류‥김민석 의원 포함 8명 확정 랭크뉴스 2025.04.30
46049 이미 美 가격 올렸는데… 트럼프 “관세 부담, 중국이 흡수할 것” 랭크뉴스 2025.04.30
46048 미국서 만든 자동차만 15% ‘환급’…트럼프, 부품관세도 후퇴 랭크뉴스 2025.04.30
46047 美재무 "韓, 대선 전 협상 의지"…'7월 패키지' 韓 설명과 결 달라 랭크뉴스 2025.04.30
46046 "혹시 안 올까"…서울 시내버스 준법투쟁 첫날 초조한 출근길 랭크뉴스 2025.04.30
46045 ‘미래 부처’ 부총리 신설, 통상 분야 강화… 권력 기관은 쪼개기 랭크뉴스 2025.04.30
46044 진성준 “이재명과 충돌 빚고도 재신임…다른 목소리 경청 의지” 랭크뉴스 2025.04.30
46043 대구 함지산 산불, 밤사이 잔불 되살아나 랭크뉴스 2025.04.30
46042 '핵심 앙꼬' 빠졌다…제주항공 참사 넉달만에 나온 혁신안 논란 랭크뉴스 2025.04.30
46041 어게인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기적?... 文·安은 단일화하고도 패했다 랭크뉴스 2025.04.30
46040 내일 이재명 상고심 선고…전례 없는 ‘초고속’ 왜? 랭크뉴스 2025.04.30
46039 김문수냐 한동훈이냐…한덕수에 달린 결선행 랭크뉴스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