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대선을 앞둔 정치권 소식, 오늘은 정치팀 이문현 기자와 결승 대진표가 나온 국민의힘 경선 분석해 보겠습니다.

<탄핵 찬성 vs 반대, 구도 그대로…> 4강에 이어 결승까지도 탄핵 찬성과 반대, 1대 1 그대로 간다는 거죠?

◀ 기자 ▶

네, 경선 주자들 중에서도 탄핵 입장차가 가장 컸던 두 후보가 결승에 진출했습니다.

기자들 사이에선 김문수 후보는 유력하고, 나머지는 홍준표, 한동훈 둘 중 하나일 거란 전망이 많았는데, 결론은 한동훈이었습니다.

앞서 4강 진출 때 탄핵 반대파 나경원 후보를 안철수 후보가 제치면서, 당내 표심이 중도를 의식했다는 분석들이 나왔었는데요.

결승까지도 이 경향이 유지됐습니다.

보수진영 내에서도, 윤석열의 강을 건너야 한다는 표심이 상당 부분 있다는 점이 거듭 확인된 셈입니다.

◀ 앵커 ▶

그런데 이게 묘하더라고요.

<이제 결승인데, 한덕수와 또 결승?>

기사량에서도 그렇고요.

경선 통과한 두 후보보다 다른 주자들 얘기가 더 눈에 띄는 것 같더라고요.

일단 한덕수 총리와의 단일화가 더 주목을 받는 느낌이죠?

◀ 기자 ▶

네, 한덕수 총리 출마가 기정사실로 여겨지다 보니, 국민의힘 경선은 한 총리의 상대를 뽑는 예선전처럼 돼 버렸는데요.

이 묘한 상황에 대한 후보들 입장, 들어보시죠.

[김문수/국민의힘 경선후보]
"당과 또 한덕수 후보도 아직 출마 선언을 안 했지 않습니까? 지금 제가 답을 드리는 자체가 너무 앞서가는 거 같기도 하고요."

[한동훈/국민의힘 경선후보]
"그렇게 하는 것 자체를 또 이 밖에 계신 분도 동의하지 않으실 거예요. 왜냐하면 갑자기 이렇게 들어와서 여기서 경선을 한다? 우리는 전통이 있고 룰이 있는 정당이잖아요."

한 총리와 단일화에 가장 적극적이던 김문수 후보는, 3차 경선을 앞두고선 말을 아끼는 모습이었고요.

상대적으로 부정적이었던 한동훈 후보는, 이번에도 그 입장을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 앵커 ▶

이번에도 윤석열 전 대통령 때와 같이 외부 인사를 영입하느냐 이런 의문이 있는 것 같은데, 한 총리가 아직 출마를 선언한 것도 아니고, 입당조차 안 한 상황이잖아요.

앞으로 실제 단일화를 한다면 어떻게 진행될까요?

◀ 기자 ▶

네, 말씀하신 대로 모든 게 불확실한 상황이라, 어느 정도 혼선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홍준표 후보는 비록 탈락했지만, 단일화 방안을 제안했는데, 직접 들어보시죠.

[홍준표/국민의힘 경선후보]
"오늘 두 분이 결승에 올라가면, 한덕수 대행하고 입당을 시켜가지고 '원샷 국민경선'으로 하자."

최종 결승을 두 명이 아니라, 한덕수 총리까지 3명이서 치러야, 한 총리의 당적이나 무임승차 등 논란을 잠재울 수 있다는 겁니다.

하지만, 한 총리가 아직 출마도 안 했고, 시간도 촉박해 현실성은 낮아 보입니다.

한 총리가 대선에 출마하려면 이번 주말까지 공직에서 사퇴해야 하고, 국민의힘 최종후보는 토요일 결정됩니다.

한 총리가 출마하면 보수진영 대선구도 다음주까지 계속 요동칠 것 같습니다.

◀ 앵커 ▶

그런데 한 총리도 그렇지만 기사들 보면, 경선 통과한 두 후보보다 어쩌면 더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게, 오히려 경선 탈락한 홍준표 후보 같단 느낌도 들더라고요?

오늘 정계 은퇴를 선언했죠?

◀ 기자 ▶

결과 발표 직후, 홍 후보가 정계 은퇴를 선언하면서, 잠시 송별회 같은 분위기가 연출됐는데, 이 상황부터 직접 보시죠.

[김문수/국민의힘 경선후보]
"아마 1996년 15대 때부터 저와 같이 국회의원을 하면서 같은 상임위에서, 또 그리고 항상 같이 해 왔는데, 매우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한동훈/국민의힘 경선후보]
"몇 년만 더 먼저 뵀다면 저는 '홍준표계'가 되었을 것 같습니다."

사실 정치인 홍준표는 정치인 이전에 모래시계 검사도 유명했죠.

권력에 칼을 겨눴던 대쪽같은 이미지에 반값 아파트 같은 서민정책도 각광을 받았습니다.

톡쏘는 사이다 발언으로 '홍카콜라'라는 애칭도 붙었었는데요.

물론 박정희 우상화나 막말 논란도 있었는데요.

풍운아 같았던 지난 30년을 뒤로 하고 정계를 은퇴하게 됐습니다.

영상취재 : 이지호 / 영상편집 : 임혜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13 이재명 유죄 판단한 대법…한 달 남은 대선판 요동친다 랭크뉴스 2025.05.01
46812 속도 내던 대법원, 이재명에 "다시 유죄" 랭크뉴스 2025.05.01
46811 '어대명' 대관식이 악몽됐다… 허 찔린 민주당 "대법원 대선개입" 반발 랭크뉴스 2025.05.01
46810 “후임 CEO 찾겠다” 테슬라 이사회, 머스크에 최후 통첩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01
46809 국무총리직 사퇴… 결국 대선판 발 내딛는 韓 랭크뉴스 2025.05.01
46808 대법, 이재명 무죄 뒤집은 이유 "일반 선거인에 주는 인상이 판단 기준" 랭크뉴스 2025.05.01
46807 “온 종일 먹고 잘 뿐, 아무것도 안해”…중국에서 번지는 '쥐인간'의 반전 랭크뉴스 2025.05.01
46806 李, 대통령 되면 진행 중 재판은 어떻게?... ‘불소추 특권’ 놓고 국민의힘·민주당 대립 예고 랭크뉴스 2025.05.01
46805 파면 정권의 한덕수 총리, 대선 출마하려 사퇴 랭크뉴스 2025.05.01
46804 이재명 ‘선거법’ 유죄 판단한 대법…한 달 남은 대선판 요동친다 랭크뉴스 2025.05.01
46803 대법원도 ‘초고속 심리’ 충돌···“해님이 바람을 이긴다” VS “지연된 정의 해소” 랭크뉴스 2025.05.01
46802 30억 '돈벼락' 맞은 이완용 증손자…땅 팔고 한국 떠났다 랭크뉴스 2025.05.01
46801 대선 한달앞 정국요동…李리스크에 민주 단일대오, 韓등판 '빅텐트' 시동 랭크뉴스 2025.05.01
46800 SKT에 칼 빼든 정부 “유심 확보 때까지 신규 가입 중단”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01
46799 한동훈 "신속하고 정의로운 판결에 경의‥이재명 즉각 사퇴해야" 랭크뉴스 2025.05.01
46798 "유심 부족 풀릴 때까지 신규 가입 중단" SKT, 과기부 권고 받아들일까 랭크뉴스 2025.05.01
46797 이재명 "국민만 믿고 당당히 나아간다"... 대법 선고 후 싹 사라진 웃음기 랭크뉴스 2025.05.01
46796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유죄 취지 파기환송…대선가도 파장 불가피 랭크뉴스 2025.05.01
46795 단비에 '대구 산불' 완진... 무속신앙? 작업자 실화? 원인 규명은 오리무중 랭크뉴스 2025.05.01
46794 李 파기환송 조희대 대법원장은…法 강조한 ‘원칙주의자’ 랭크뉴스 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