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2·12 이후 ‘파워맨’, 5·18발포 최고 책임자” 지목
차영귀 서강학국학센터 연구원 5·18 심포지엄 발표
1979년 11월6일 전두환 당시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장이 10·26 사건 수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경향신문 자료사진


1979년 11월24일 열린 전군 주요지휘관회의에 당시 전두환 보안사령관도 참석했다. 그는 회의에 참석한 주요 지휘관 67명 중 한 명이었다. 소장이었던 전씨의 기념사진 자리는 셋째 줄 왼쪽 아래였다.

20일 뒤인 12월14일 전씨의 위상은 완전히 달라졌다. 글라이스틴 주한미국대사를 만나러 갔던 그는 40명의 무장 계엄군과 경호원을 대동하고 있었다.

전직 대통령 전두환씨가 12·12군사반란 이후 군 서열과 의전을 뛰어넘는 ‘파워맨’ 으로 활동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 집단 발포와 민간인 학살을 부인한 그가 당시 군내 최고 책임자였다는 사실이 다시금 입증된 것이다.

29일 차영귀 서강국제한국학선도센터 민주주의연구실 책임연구원이 30일 열리는 5·18 45주년 학술심포지엄에서 발표하는 ‘5·18전사(前史):사전집권음모의 실체적 접근’ 보고서를 보면 전두환은 12·12를 통해 정승화 총장 체제를 제거하고 본격적인 군 장악에 나섰다.

1979년 11월24일 열린 전군지휘관회의 참석자 기념사진 촬영 자리 배치에서 당시 전두환 보안사령관 자리(빨간색 표시). 소장이었던 그는 셋째 줄 왼쪽 구석에 자리했다. 5·18 45주년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발췌.


1979년 3월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보안사령관에 발탁된 전씨는 경호실과 중앙정보부의 기세에 밀려 숨죽였다. 10·26으로 박 대통령이 사망하고 당시 군권이 정승화 계엄사령관에서 집중되자 불안해 하기도 했다. 정 사령관 등은 시국이 안정돼 가자 11월21일 ‘계엄 해제’를 논의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씨 등 신군부는 계엄 해제를 원하지 않았다. 그들은 계엄을 통해 집권 계획을 실행하려 했다. 박 대통령 사망이후 합동수사본부가 설치되고 본부장을 겸임한 전씨는 12·12군사반란으로 정 총장을 제거했다.

이후 군내 편제는 완전히 무너졌다. 합수부나 보안사는 계엄사의 지휘를 받아야 했지만 오히려 반대였다. 보안사는 ‘정보처’를 부활 시켜 민간 부분까지 정보 수집활동 범위를 넓혔다.

12·12이후, 전씨는 단 한 번도 전군 지휘관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 군 서열과 의전상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대신 그는 대통령이 주재하는 만찬이나 군 고위층 골프 모임 등 최상급 행사에만 모습을 드러냈다.

12·12군사반란 1주일 뒤인 1979년12월18일 보안사령부 간부들이 한자리에 모여 기념촬영을 했다. 앞줄 왼쪽부터 최예섭 기획조정처장, 우국일 참모장, 전두환 사령관, 변규수 육본보안부대장, 남웅종 대공처장. 뒷줄 왼쪽부터 허삼수 인사처장, 이차군 군수처장, 한사람 건너 권정달 정보처장, 정도영 보안처장, 한사람 건너 김병두 국방부보안부대장, 허화평 비서실장, 백재구 교육대장, 이상연 감찰실장. 경향신문 자료사진


전씨에 대한 서열 파괴는 경호에서도 나타났다. 1979년 12월17일 새로 취임한 이희성 계엄사령관은 “606특전대를 합수부에 배속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1978년 창설된 이 부대는 대통령경호실에 배속돼 국내 최초 항공기 대테러를 목적으로 비밀리에 운영된 특수부대였다.

1980년 3월 중장으로 승진한 전두환은 신현확 국무총리에게 중앙정보부장 임명을 강요하기 시작했고 4월14일 목적을 달성했다. 중정부장은 대통령이 주재하는 안보 소위에 참여할 수 있는 멤버로 그는 ‘국가지도부’의 일원이 됐다.

차 연구원은 “전씨는 12·12이후 군의 서열과 의전을 뛰어넘었으며 군 기록물과 의전이 이를 증명해 준다”면서 “그를 5·18 집단 발포와 민간인 학살 명령의 최고 책임자로 지목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610 미 재무 “한국, 대선 전에 관세 협상 끝내고 선거운동 활용하려 해” 랭크뉴스 2025.04.30
50609 ‘방한’ 트럼프 주니어, 취재진 피해 정용진 회장 집으로···30일부터 재계 총수들과 1대 1 줄면담 랭크뉴스 2025.04.30
50608 한덕수, 선거사무실 이미 계약…‘무소속으로 단일화 뒤 입당’ 유력 랭크뉴스 2025.04.30
50607 “수영 강습 신청·중고거래 지시”…3성 장군 갑질 의혹 랭크뉴스 2025.04.30
50606 '1만2000원' 부실 도시락 어땠길래…충주맨 "정말 심했다" 사과 랭크뉴스 2025.04.29
50605 미 재무장관 “한국 정부, 대선 전 무역협상 해결 의지 강해” 랭크뉴스 2025.04.29
50604 SKT, 유심 복제 4종·관리 21종 정보 털렸다… 정부 조사단 1차 결과 발표 랭크뉴스 2025.04.29
50603 명태균 “김 여사가 ‘조국 수사’ 김상민 검사 챙겨달라 했다” 랭크뉴스 2025.04.29
50602 건진법사에 고가 가방·인삼까지…김건희 로비용? 랭크뉴스 2025.04.29
50601 유심 해킹 충격…SK텔레콤 이틀째 하락, KT·LGU+ ‘반사이익’ 랭크뉴스 2025.04.29
50600 야간 진화헬기 본격 투입…진화율 ‘껑충’ 랭크뉴스 2025.04.29
50599 '1만2000원' 부실 도시락 논란에…충주맨 "정말 심했다" 사과 랭크뉴스 2025.04.29
50598 이재명 이틀뒤 운명의 날…상고기각·파기 대법 결론은 랭크뉴스 2025.04.29
50597 美재무 "한일, 선거 전 협정 틀 마련 원해" 랭크뉴스 2025.04.29
50596 ‘尹 신사동 비밀캠프 의혹’ 경찰 수사…화랑 소유주 2명 소환 랭크뉴스 2025.04.29
50595 "동물학대 영상 보면 분노의 댓글 대신 OO하세요" 랭크뉴스 2025.04.29
50594 ‘방한’ 트럼프 주니어, 기자들 따돌리려 롤스로이스로 연막작전까지 랭크뉴스 2025.04.29
50593 '사모님' 수영장 오픈런에 중고 거래까지‥육군 수도군단장 '상습 갑질' 랭크뉴스 2025.04.29
50592 USTR, 지재권 우선감시대상에 멕시코 추가…한국은 포함 안 돼 랭크뉴스 2025.04.29
50591 美재무 "한국과의 관세 협상 윤곽 점차 드러나고 있어" 랭크뉴스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