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문수 한동훈 결선 진출
50% 당원 표심서 패배한 듯
'김덕수' 단일화 전략에 밀려
국민의힘 대선 후보 2차 경선에서 탈락한 홍준표 후보가 29일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 선거 캠프 사무실에서 정계 은퇴 관련 기자회견을 마친 뒤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30년간 여러분의 보살핌으로 훌륭하게, 깨끗하게 정치 인생을 오늘로서 졸업하게 됐다. 정말 고맙다. 이제 시민으로 돌아가겠다. 이번 대선에서 제 역할은 여기까지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 29일 국민의힘 대선 경선 탈락 직후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29일 국민의힘 대선 경선 컷오프에 걸려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시장직까지 사퇴하며 배수진을 쳤지만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한동훈 전 대표에게 밀렸다. 2030세대의 지지세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지만 견고한 당심(黨心)의 벽 앞에 꺾였다.

50%가 반영되는 당원들의 마음을 얻지 못한 게 패인으로 꼽힌다. 한국리서치가 KBS 의뢰로 26일 공표(22~24일 조사·무선전화면접)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홍 전 시장은 국민의힘 대선 후보 적합도(국민의힘 지지층+무당층)에서 22%를 기록했다. 김 전 장관, 한 전 대표와 동률이다. 앞서 당원투표를 반영하지 않고 100% 국민여론조사로 진행한 1차 경선에서도 안철수 의원을 제외한 3강 후보의 득표율이 큰 차이가 없던 것으로 알려졌다.

결과적으로 탄핵 반대(반탄) 성향이 강한 당원들의 표심이 김 전 장관에게 쏠렸다는 해석이다.
같은 반탄파인 김 전 장관이 일찌감치 '김덕수(김문수+한덕수)' 전략을 편 반면, 홍 전 시장은 경선 초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출마와 단일화에 부정적
입장을 내비쳤다. 한 대행과의 단일화를 원하는 당심을 끌어안는 데 실패한 셈이다. 같은 여론조사의 다자 구도(국민의힘 지지층+무당층)를 보면 한 대행이 21%로 가장 앞섰다.

지난 23일 뒤늦게 한 대행과의 단일화 가능성을 열어뒀지만 당심을 뒤집진 못했다. 두 차례 토론 이후 원샷 경선을 치르겠다는 홍 전 대표의 구상은 외려 진정성을 의심받았다. 시점상 후보 등록일인 다음달 11일을 넘기게 될 가능성이 커, 단일화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에 그쳤다.

또 다른 결선 진출자인 한 전 대표의 경우 탄핵 찬성(찬탄)파 민심을 비교적 온전히 흡수한 것으로 보인다. 비상대책위원장과 당대표를 거치며 탄탄한 팬덤과 독자적 지지층을 구축한 게 주효했다. 한 중진 의원은 "
김 전 장관과 홍 전 시장이 1, 3등으로 나뉘는 구도"라며 "두 사람이 1, 2등을 하려면 당원 투표가 고르게 나뉘어야 하는데 사실상 불가능한 일
"이라고 지적했다.

한 전 대표와의 거친 토론회도 자충수가 됐다. "깐족거린다" "키높이 구두는 왜 신나" 등 거친 언사가 국정 비전 제시와는 거리가 멀었다. 국민의힘 고위 관계자는 "
홍 전 시장이 특유의 유머를 잃어버리고 안 좋은 모습만 보여준 것 같다
"고 평가했다.

보수 정치권 특유의 '새 인물 선호'도 원인으로 꼽힌다. 당 관계자는 "윤석열 전 대통령 사태를 겪고도 여전히 보수정당이 키운 후보를 외면하는 분위기"라며 "축제가 돼야 할 대선 경선이 예선전으로 전락했다"고 자조했다.

홍 전 시장은 이날 정계 은퇴 입장을 밝혔다. 홍 전 시장은 "30년 정들었던 우리 당을 떠나고자 한다"며 "더이상 당에 내 역할이 없고, 더이상 정계에 머물 명분도 없어졌다"며 국민의힘 탈당 뜻도 밝혔다. 홍 전 시장과 가까운 인사는 "당에 대한 서운함을 드러낸 것 아니겠나"라고 말했다.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와 관련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605 미 재무장관 “한국 정부, 대선 전 무역협상 해결 의지 강해” new 랭크뉴스 2025.04.29
50604 SKT, 유심 복제 4종·관리 21종 정보 털렸다… 정부 조사단 1차 결과 발표 new 랭크뉴스 2025.04.29
50603 명태균 “김 여사가 ‘조국 수사’ 김상민 검사 챙겨달라 했다” new 랭크뉴스 2025.04.29
50602 건진법사에 고가 가방·인삼까지…김건희 로비용? new 랭크뉴스 2025.04.29
50601 유심 해킹 충격…SK텔레콤 이틀째 하락, KT·LGU+ ‘반사이익’ new 랭크뉴스 2025.04.29
50600 야간 진화헬기 본격 투입…진화율 ‘껑충’ new 랭크뉴스 2025.04.29
50599 '1만2000원' 부실 도시락 논란에…충주맨 "정말 심했다" 사과 new 랭크뉴스 2025.04.29
50598 이재명 이틀뒤 운명의 날…상고기각·파기 대법 결론은 new 랭크뉴스 2025.04.29
50597 美재무 "한일, 선거 전 협정 틀 마련 원해" new 랭크뉴스 2025.04.29
50596 ‘尹 신사동 비밀캠프 의혹’ 경찰 수사…화랑 소유주 2명 소환 new 랭크뉴스 2025.04.29
50595 "동물학대 영상 보면 분노의 댓글 대신 OO하세요" new 랭크뉴스 2025.04.29
50594 ‘방한’ 트럼프 주니어, 기자들 따돌리려 롤스로이스로 연막작전까지 new 랭크뉴스 2025.04.29
50593 '사모님' 수영장 오픈런에 중고 거래까지‥육군 수도군단장 '상습 갑질' new 랭크뉴스 2025.04.29
50592 USTR, 지재권 우선감시대상에 멕시코 추가…한국은 포함 안 돼 new 랭크뉴스 2025.04.29
50591 美재무 "한국과의 관세 협상 윤곽 점차 드러나고 있어" new 랭크뉴스 2025.04.29
50590 [논설위원의 단도직입]“용산, 역사성·입지 모두 최악…대통령 집무실, 청와대로 복귀해야” new 랭크뉴스 2025.04.29
50589 트럼프 주니어 한국 도착…대기업 총수들에 ‘투자 청구서’ 내미나 new 랭크뉴스 2025.04.29
50588 한덕수, ‘무소속으로 단일화 뒤 국힘 입당’ 유력…“이르면 1일 사퇴” new 랭크뉴스 2025.04.29
50587 美 재무 장관 “한국과 관세 협상, 윤곽 점차 드러나고 있다” new 랭크뉴스 2025.04.29
50586 [단독] '잇따른 땅꺼짐' 부산 도시철도 땅 속 봤더니‥곳곳에 빗물·토사 new 랭크뉴스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