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8일 정전 사태 이후 스페인 마드리드의 지하철역에서 사람들이 빠져나오고 있다.. EPA=연합뉴스
스페인과 포르투갈에 대규모 정전으로 나라 전체가 사실상 마비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철도와 항공은 물론 전화도 먹통이 되면서 불편이 이어졌는데, 일단 사이버 공격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28일(현지시간) 정오께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대규모 정전으로 인프라가 마비되는 사태가 났다고 블룸버그·로이터 통신 등이 전했다.

이날 정전은 스페인 수도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 등 대부분 지역과 포르투갈 수도 리스본 등 일부 지역에서 발생했다. 스페인과 국경을 맞댄 프랑스 남부 일부도 피해를 봤다.

스페인 전력망 관리업체인 레드엘렉트리카는 정전의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오후 3시 기준 반도의 북부와 남부, 서부 지역 일부에는 전력 공급이 재개됐다고 밝혔다.

다만 전국적으로 완전히 전력 공급이 이뤄지기까진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28일(현지시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발생한 정전으로 텅 빈 그란 비아 거리를 따라 한 시민이 전기 스쿠터를 타고 이동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대규모 정전 피해를 본 지역에서는 신호등이 작동하지 않아 교통이 마비됐다. 스페인 마드리드에서는 일부 중요 건물 주변에 경찰이 대거 배치돼 수신호로 교통을 통제해야 했다. 지하철과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운행을 멈추면서 사람들이 갇히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호세 루이스 마르티네스-알메이다 마드리드 시장은 엑스(X·옛 트위터)에 게시한 영상에서 시민들에게 이동을 최소화하고 가능하면 현재 위치에 머물러 달라고 호소했다.

일부에선 고속열차 운행도 중단돼 시민들이 철로 위로 쏟아져 나오기도 했다.

스페인 공항을 관리하는 AENA는 전국 공항이 예비 전력 시스템으로 운영 중이며 일부 항공편이 지연됐다고 밝혔다. 일부 이동통신망에서는 전화 연결도 먹통이 돼 시민들이 큰 불편을 호소했다.

마드리드 오픈 테니스 대회도 갑작스러운 정전에 경기 도중 중단됐다. 스페인 에너지 회사 모에베는 정유 공장 가동을 일시 중단했다고 발표했다.

포르투갈 전력망 운영사 REN은 스페인에서 4800만 명, 포르투갈에서 1050만 명 등이 정전으로 피해를 보았다고 밝혔다.

병원을 비롯해 긴급 서비스는 자체 발전 동력으로 가동 중이며 일부 주유소는 영업을 중단했다. 리스본 지하철 여러 대에서도 시민들이 긴급 대피했고 ATM과 전자 결제 시스템도 영향을 받았다.

스페인과 포르투갈 정부는 사태 파악과 대응을 위해 긴급회의를 각각 소집했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는 “전국의 복합 사이클과 수력 발전소도 재가동돼 스페인 전역의 공급량을 곧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원인에 대한 결정적인 정보는 없다”고 밝혔다.

그는 다만 시민들에게 정전 원인에 대해 “추측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이동을 제한하고 휴대전화 사용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다.

포르투갈 정부 관계자는 이번 정전이 “분배망 문제로 보이며 스페인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현재 원인을 확인 중”이라고 국가기간 통신사 루사에 말했다.
28일(현지시간) 발생한 대규모 정전으로 포르투갈 리스본 시내에 정지된 트램에서 시민들이 하차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포르투갈 전력 공급업체(E-Redes)는 정전이 ‘유럽 전력 시스템의 문제’로 발생했다고 현지 매체에 설명했다.

프랑스 남서부 일부 지역도 정전으로 영향을 받았으나, 이 지역에서는 전력이 빠르게 복구됐다.

소셜미디어에는 마드리드 지하철역의 기차가 멈춘 모습, 사무실과 복도에서 사람들이 휴대전화 불빛에 의존한 모습 등이 담긴 사진이 공유됐다.

인터넷 활동 모니터링 사이트 넷블록스는 이베리아반도의 정전으로 인해 웹 연결이 평소의 17% 수준으로 급감했다고 발표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스페인·포르투갈 당국 및 유럽 송전 시스템 운영자 네트워크와 연락해 정전 원인을 규명하고 있다고 밝혔다. 안토니우 코스타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엑스에 “현재까지 사이버 공격의 징후는 없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72 강원 인제 상남면 산불 사흘 만에 재발화···헬기 투입해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4.30
46071 "배차간격 점점 늘어"…서울 버스 준법투쟁 첫날 초조한 출근길(종합) 랭크뉴스 2025.04.30
46070 진성준 “정책 이견에도 재신임된 건 이견 듣겠단 이재명 의지” 랭크뉴스 2025.04.30
46069 김문수·한동훈, ‘홍준표 지지층·한덕수 단일화’서 승부 갈릴 듯 랭크뉴스 2025.04.30
46068 ‘라임 사태’ 몸통 수사에 꼬리 잡힌 이승기 장인의 주가조작 랭크뉴스 2025.04.30
46067 [Why] ‘지디표 하이볼’도 나온다… 연예인들이 너도나도 주류 사업에 뛰어드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30
46066 플라스틱 속 '이것' 노출되면…"심장병 사망 위험 13% 증가" 랭크뉴스 2025.04.30
46065 북한군 실전 영상 공개‥미 "전쟁 지속 책임" 랭크뉴스 2025.04.30
46064 ‘007작전’ 방불케 한 트럼프 주니어 입국…주요 기업 총수 연쇄 회동 랭크뉴스 2025.04.30
46063 “글로벌 IB 말고도 또 있다”… 금감원, 국내외 중소형사 불법 공매도 조사 착수 랭크뉴스 2025.04.30
46062 국민이 꼽은 ‘1순위’ 대선 의제는? 랭크뉴스 2025.04.30
46061 서울 버스 노사 최종 협상 결렬...오늘 첫 차부터 준법운행 랭크뉴스 2025.04.30
46060 [인터뷰] 윤세한 해안건축 대표 “한강변 재건축은 ‘서울의 100년 얼굴’, 사명감 갖고 지어야” 랭크뉴스 2025.04.30
46059 정부 "대선前 통상협상 마무리 언급한 바 없다" 美재무에 반박 랭크뉴스 2025.04.30
46058 공항 착륙 직전 나타난 ‘용오름’…여객기 급선회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30
46057 "사이코패스? 눈동자만 봐도 알 수 있다"…초간단 '식별법'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30
46056 [정운찬 칼럼] 한국 사회, 어디로 가야 하나? 랭크뉴스 2025.04.30
46055 "'대선 단골' 허경영, 이번에는 왜 출마 안 하지?"…조용한 이유 알고보니 랭크뉴스 2025.04.30
46054 "버스 안 오면 어쩌지"…서울 시내버스 '준법투쟁' 첫날 출근길 어땠나 보니 랭크뉴스 2025.04.30
46053 길어지는 한화-LIG ‘천궁Ⅱ' 이라크 수출 갈등 랭크뉴스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