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폭력-디지털 성범죄 순 상담
전체 상담 건수 하루 평균 804번
스토킹 61%·교제폭력 23% 폭증
전체 상담 건수 하루 평균 804번
스토킹 61%·교제폭력 23% 폭증
연합뉴스
지난해 ‘여성긴급전화 1366’ 상담 건수가 30만건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스토킹과 교제폭력 피해 상담이 매우 증가했다. 남성 이용자도 증가 추세로 나타났는데, 피해 호소를 꺼리던 남성들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2024년 여성긴급전화 1366 운영실적’을 28일 발표했다. 여성긴급전화 1366은 가정폭력·스토킹·디지털 성범죄 등 피해자에게 초기 상담과 긴급 구조를 지원하는 서비스다. 남녀 모두 365일 24시간 이용할 수 있다.
지난해 1366에 걸려 온 상담 전화는 모두 29만3407건이었다. 하루 평균 804번의 전화벨이 울린 셈이다. 전년(일 평균 921건)과 비교하면 감소했다.
가정폭력이 14만8884건(50.7%)으로 과반을 차지했다. 가정폭력에는 신체적 폭력 외에 정서적 폭력, 협박 등도 포함된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스토킹과 교제폭력 상담 건수다. 스토킹은 1만4553건으로 전년(9017건) 대비 61.4% 폭증했다. 교제폭력 상담은 1만1338건으로 23.4% 늘어났다. 스토킹처벌법 시행 등으로 사회적 민감도가 높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남성 이용자는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다. 남성 상담 건수는 2022년 1만4996건, 2023년 1만7333건, 지난해 1만8362건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이 4115건으로 가장 많았고, 디지털 성범죄가 817건으로 뒤를 이었고 스토킹 785건, 성폭력 338건, 교제폭력 144건 순이었다. 여가부 관계자는 “남성들은 피해를 보아도 밖으로 드러내는 걸 꺼려왔지만 사회적 인식이 개선되면서 남성들도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듯하다”고 말했다.
여성의 경우 가정폭력이 14만4021건이었고, 스토킹 1만3697건, 성폭력 1만3650건, 교제폭력 1만1117건, 디지털 성범죄 3245건 순이었다. 여가부에 따르면 남성은 신체적 폭력보다는 딥페이크 등 디지털 성범죄로 인한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여성의 경우 가정폭력부터 교제폭력까지 모든 유형에서 신체적 폭력을 동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