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대 금융지주 외인 배당 6440억
전체 분기 배당 64% 달해
부실 대비 자본확충 필요하지만
유연성 없이 주주환원에만 집중
중기·소상공인 대출 축소 ‘유탄’

[서울경제]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의 1분기 배당금 중 약 6400억 원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투자자 입장에서는 보유 지분만큼 배당을 받을 권리가 있지만 경기 침체가 다가오고 있는 데다 순익의 대부분이 이자 장사로 번 돈이라는 점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28일 금융계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의 1분기 배당금 총액은 총 1조 113억 원으로 추정된다.

업체별로 보면 △KB 3349억 원 △신한 2785억 원 △하나 2501억 원 △우리 1478억 원 등이다. 여기에 각 금융지주사의 외국인 지분율을 적용하면 전체 배당금의 63.7%인 6441억 원가량이 해외로 유출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외국인 지분율은 KB금융(105560)(74.92%), 하나(66.25%), 신한(57.62%), 우리(45.34%) 등이다. 우리금융을 제외한 나머지 3개 금융그룹은 분기 균등 배당을 실시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급격한 경기 둔화가 나타나고 있는 만큼 밸류업에 기반한 배당정책도 유연성을 발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올해 0%대 성장이 현실화하면 기업과 가계의 연체율이 증가할 수밖에 없어 부실에 대비해 충분한 체력을 쌓아 놓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고려하면 일시적으로 배당보다는 대손충당금의 선제적 적립과 자본확충이 우선시돼야 한다.

하지만 지금은 금융 감독 당국의 밸류업 우선 정책에 배당에 무게중심을 두게 되고 자연스레 지분 비중이 높은 해외로 배당이 흘러나가고 있다는 게 금융권 관계자들의 얘기다. 밸류업에 신경 쓴다고 위험가중치가 높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대출을 줄이는 것과 비슷한 흐름이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당국이 유연성 없이 밸류업에 집중하다 보니 올해도 은행권이 중소기업 대출을 축소하게 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며 “배당도 마찬가지인데 경기 완충 역할을 해야 하는 은행의 특성에 대한 이해 없이 밸류업만 강조하면 금융권이 자본확충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올해 전체로 보면 해외로 나가는 돈이 더 많을 것이라는 점이다. 금융투자 업계에서는 올해 4대 금융지주의 올해 연간 순이익 전망치를 17조 4324억 원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16조 5268억 원) 대비 5.5% 증가한 수치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다시 갈아 치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른 외국인투자가에 대한 연간 배당금 규모는 약 2조 7000억 원이다. 금융지주들이 견고한 이익과 밸류업 기조를 바탕으로 자사주 매입·소각 등 주주 환원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높은 지분을 지닌 해외 자본이 누리는 직간접적인 이익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주요 금융사는 주주 환원율 확대를 핵심 목표로 내걸고 있다. KB금융은 1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올해 현금 배당 규모를 기존 대비 1000억 원 늘리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3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계획을 발표했다. 신한금융은 65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내용을 발표했다. 하나금융은 연초 발표한 4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상반기 내 조기 완료할 예정이다. 우리금융은 올해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규모를 지난해 대비 약 10% 늘린 1500억 원 수준으로 확대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은행권이 저마다 밸류업 계획을 내놓은 뒤 주가 부양에 힘쓰는 모습”이라며 “주담대 등 안전한 대출 성장과 위험자산 관리를 통해 주주 환원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 국내에서 이자 장사로 번 돈을 해외 투자자가 상당 부분 가져가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4대 금융그룹의 1분기 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77% 늘어난 4조 9293억 원으로 1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다. 이들이 거둔 이자이익만 10조 6421억 원에 달한다. 한영도 상명대 경영경제학과 교수는 “(이자이익이 높은 이유는)기준금리 인하에도 은행들이 예금 금리만 즉각 내리고 대출금리에는 반영을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305 스페인·포르투갈 정전 비상사태…“기후 위기, 전력망 차단 초래” 랭크뉴스 2025.04.29
50304 한덕수 "한미 불확실성 해소... 최상목 중심으로 지혜 모으라" 랭크뉴스 2025.04.29
50303 "바꾸느니 갈아탄다"…SKT가입자, 유심 교체 첫날 3만4000명 떠났다 랭크뉴스 2025.04.29
50302 내란 사건 “모자이크식 기소” 비난한 윤석열, 문재인 정권 수사는 더했다 랭크뉴스 2025.04.29
50301 [Why] 트럼프 ‘소득세 폐지’ 구상, 현실 가능성이 낮은 이유 랭크뉴스 2025.04.29
50300 한덕수, '대행의 재판관 지명 금지' 헌재법 개정안에 거부권 랭크뉴스 2025.04.29
50299 배우 서현진이 한동훈 지지?… '사진 도용' 논란에 팬들 뿔났다 랭크뉴스 2025.04.29
50298 국민의힘, 오늘 대선 경선 ‘최종 2인’ 결정 랭크뉴스 2025.04.29
50297 中 한한령 9년 만에 완화되나…한국 국적 아이돌 내달 단독 공연 랭크뉴스 2025.04.29
50296 [단독] 교육부, 의대 편입학 완화 검토…"빈자리 100% 충원 가능" 랭크뉴스 2025.04.29
50295 이승기 "장인 위법행위로 또 기소…처가와 관계 단절한다" 랭크뉴스 2025.04.29
50294 박찬대 "한덕수 출마하면 尹하수인으로서 국민 심판 직면할 것" 랭크뉴스 2025.04.29
50293 SKT, 유심 핵심 데이터 포함 ‘최대 9.7GB’ 유출… 책 9000권 분량 정보 랭크뉴스 2025.04.29
50292 [속보]검찰 출석 명태균 “오세훈 잡으러 창원에서 서울까지 왔다” 랭크뉴스 2025.04.29
50291 [속보] 한덕수, 헌재법 개정안에 거부권 "헌법상 대통령 임명권 형해화" 랭크뉴스 2025.04.29
50290 카이스트 출신 공학도 이석준 부회장이 이끄는 우미건설의 미래는?[비즈니스 포커스] 랭크뉴스 2025.04.29
50289 [단독]일파만파 SKT 사태… 국정원, 정부 전 부처에 유심 교체 권고 랭크뉴스 2025.04.29
50288 카드는 많은데 왜 고르기 힘들까…답은 ‘구조’에 있다[케이스스터디-현대카드] 랭크뉴스 2025.04.29
50287 [속보] 韓대행, 헌재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대통령 임명권 형해화” 랭크뉴스 2025.04.29
50286 [속보] 한덕수, '대행의 재판관 지명 금지' 헌재법 개정안 거부권 랭크뉴스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