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해 총선 공약 그대로 반영 검토
아동수당 지급 범위·금액 대폭 늘리고
정부가 매달 10만 원씩 넣어주는 방안
연평균 20조 원 들 듯... 재원 마련 우려
총선 공약 상당 부분 대선 공약 반영될 듯
"다음 주까지 정리 작업 거치고 발표"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해 3월 인천 계양구 선거 유세에서 한 아이와 인사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출생부터 18세까지 정부 지원으로 1억 원을 모으는
방안을 더불어민주당이 대선 공약으로 검토하고 있다. 아동수당을 두 배로 늘리고 기간도 10년 늘리는 방안이 담길 전망이다. 현금성 지원을 통해 자녀 양육 부담을 줄이고 사회 진출을 돕겠다는 취지이지만, 재정 부담을 키우는 퍼주기 논란이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28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민주당의 이번 정책은 '18세까지 자산 1억 원 모으기'로 알려졌다. 지난해 총선 공약에도 포함된 내용이다.

우선 아동수당을 대폭 손질한다.
△아동수당 지급 대상 연령을 만 8세 미만에서 18세 미만으로 확대하고 △금액도 자녀 1명당 매달 10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상향
하는 것이다. △정부가 출생부터 18세까지 매달 10만 원씩을 펀드 계좌에 입금해주는 방안도 담겨있다. 해당 계좌에는 부모도 10만 원을 넣을 수 있는데, 증여세가 모두 면제되도록 설계돼 있다. 펀드 원금과 수익은 전액 비과세 대상이고, 자녀가 성인이 된 뒤에야 주택·창업·결혼 자금 및 학자금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18세까지 꼬박 모으면 1억 원가량 된다. 만약 중간에 아동 수당을 쓰거나 펀드 계좌 수익률이 낮을 경우 실수령 금액은 더 적어질 수도 있다.

이는 국민의힘이 앞서 대선 공약을 발표한 '우리 아이 첫 걸음 계좌'에 맞불 성격도 있다. 부모가 매월 0~1세부터는 20만 원, 2~17세까지 1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동일한 금액을 지원해주는 정책이다. 이렇게 해서 18세까지 5,000만 원을 만들어주겠다는 게 국민의힘 구상이다. 이와 비교해 민주당 방안은 부모의 저축이 필수가 아니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만 해당 정책이 대선 공약으로 확정되면 명칭은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지난해 총선 공약을 발표할 때는 '출생기본소득'이라는 표현을 썼지만, 이재명 후보는 분배 기조가 부각되는 것을 우려해 '기본소득'이란 표현을 주저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재원이다. 유사 법안과 관련해 국회예산정책처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해당 정책을 시행하는 데 향후
5년간 연평균 20조 원의 재원
이 필요하다. 이 후보가 인공지능(AI) 산업 진흥을 위해 예산 100조 원 투입을 공언한 반면 증세는 꺼리고 있어 현실적으로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민주당 정책위 관계자는 "결국 정책의 우선순위에 따라 예산 배분도 결정 나는 것 아니겠느냐"며 "저출생 문제는 이번에도 높은 우선순위에 있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번 대선 공약에는 지난해 총선 공약들이 상당 부분 담길 것으로 전망된다. 당 정책위는 이날부터 그간 준비했던 당 공약과 이 후보의 경선 캠프가 준비했던 공약을 비교·분석하는 작업에 돌입했다. 다른 핵심 관계자는 "내주 정도까지 공약을 정리하고 후보 공약을 최종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10 통상임금 이견 못 넘었다...서울시내버스, 30일 첫차부터 '준법투쟁' 랭크뉴스 2025.04.30
46009 이재명 '정책 4인방'… '막후' 김민석, '경쟁' 윤후덕·진성준, '원조' 이한주[캠프 인사이드] 랭크뉴스 2025.04.30
46008 5월이면 美 상점 매대 텅빈다는데…[글로벌 모닝 브리핑] 랭크뉴스 2025.04.30
46007 북한군 붉은광장서 행진하나…푸틴, 北 참가 행사서 열병식 언급 랭크뉴스 2025.04.30
46006 서울 시내버스 노사협상 결렬…'준법투쟁'에 출근길 차질 우려(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30
46005 [속보]트럼프, 車부품 관세 완화 공식발표…美완성차 2년간 혜택 랭크뉴스 2025.04.30
46004 한덕수 대선 출마 초읽기... "출마하겠다" 말만 빼고 다 끝냈다 랭크뉴스 2025.04.30
46003 이재명 '선거법 사건' 대법 선고 D-1…상고기각·파기환송 주목 랭크뉴스 2025.04.30
46002 [단독] 음주측정 시간 끌수록 유리? 꼼수 막는 'K만취 계산법' 랭크뉴스 2025.04.30
46001 “출근길 대란 우려”…서울 시내버스 오전 4시부터 준법운행 랭크뉴스 2025.04.30
46000 파운드리 내실 다지기 나선 인텔… 18A '올인' 랭크뉴스 2025.04.30
45999 [단독]민주 "여의도 어슬렁대면 각오"…지역구 대선성적 의원평가 추진 랭크뉴스 2025.04.30
45998 ①탄핵 찬반 ②표심 흡수 ③한덕수... 김문수·한동훈 맞대결 가른다 랭크뉴스 2025.04.30
45997 "아들, 일찍 자야 공부도 잘한다고 했지?"…지겹게 듣던 잔소리, 진짜였다 랭크뉴스 2025.04.30
45996 모자 벗고 무릎까지 꿇은 경비원…日엑스포서 무슨 일이? 랭크뉴스 2025.04.30
45995 어떤 결론도 논란 불가피한데… '이재명 선고' 조희대 결단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30
45994 스페인 '블랙아웃'에 일상 마비…아날로그적 여유 찾기도 랭크뉴스 2025.04.30
45993 美, 車부품관세 2년간 완화…美서 만든 車 값의 15%만큼 무관세(종합) 랭크뉴스 2025.04.30
45992 러트닉 “무역 협상 완료된 나라 있다…상대국 인준만 남아” 랭크뉴스 2025.04.30
45991 국정원 “SKT 유심 바꿔라” 정부 전 부처에 권고 랭크뉴스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