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러 군사전문가들 북한군 전투력 호평


러 쿠르스크 전투 훈련하는 북한군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 텔레그램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모스크바=연합뉴스) 최인영 특파원 = 북한군의 파병을 공식 인정한 러시아가 북한군이 쿠르스크에서 전투 훈련을 하는 영상도 처음 공개했다.

러시아 국영방송 진행자인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는 28일(현지시간) 자신의 텔레그램을 통해 "러시아 국방부가 쿠르스크주 해방에 참여한 북한군의 전투 훈련 장면을 공개했다"며 영상을 공유했다.

영상 속에서 북한군은 북한군 지휘관의 지시에 따라 훈련장에서 소총 실탄 사격을 하고 휴대용 대전차 로켓포 RPG도 쐈다. 지시하는 북한군 간부는 "마지막까지"라고 외치기도 했다.

러시아 군인의 수류탄 사용법 시범을 보고 실제로 던지는 모습, 참호 안을 달리는 모습, 어둑해진 시간에 군가를 부르며 이동하는 모습 등도 영상에 담겼다.

타스 통신은 북한군이 적의 드론을 파괴하기 위해 12구경 산탄총을 사용하는 훈련도 받았다고 설명했다.

영상에서 북한군의 헬멧에 러시아군의 승리를 상징하는 게오르기 리본(게오르기옙스카야 렌토치카)이 십자 모양으로 부착돼 눈길을 끌었다.

주황색 두 줄과 검은색 세 줄로 이뤄진 이 리본은 1769년 예카테리나 여제가 무공을 세운 군인들에게 수여한 '성게오르기우스 훈장' 장식에서 유래했다. 제2차 세계대전 승리 60주년인 2005년엔 대대적으로 승전 기념물로 사용됐다.

다음 달 9일 전승절 80주년을 앞두고 러시아 곳곳이 이 리본을 연상케 하는 주황·검정 리본으로 장식돼 있다.

러 쿠르스크 전투 훈련하는 북한군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 텔레그램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러시아 매체들은 북한군이 쿠르스크에서 상당한 전투력을 보였다고 군사 전문가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군사전문가 아나톨리 마트비이추크는 아르구멘티이팍티(Aif)에 북한이 쿠르스크에 정예 부대를 보냈다면서 총 파병 규모가 1만∼5만명에 달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그간 북한의 러시아 파병 규모는 1만∼1만2천명 규모로 파악됐었다.

그는 북한이 1950년대 이후 전쟁 경험이 없기 때문에 서방 국가와 전투를 벌일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쿠르스크 파병을 결정한 것 같다고 추측했다.

군사전문가 블라디슬라프 슈리긴은 Aif에 쿠르스크에서 싸운 북한군의 신체 능력이 타의 추종을 불허하며 전술 훈련과 무기 숙련도도 뛰어났다면서 "그들은 가장 힘든 순간에도 침착하고 용감하게 행동한다"고 평가했다.

안드레이 콜레스니크 러시아 하원(국가두마) 국방위원회 의원은 렌타 인터뷰에서 북한군이 쿠르스크에서 실제 전투 경험을 쌓았다며 "많이 전사했지만 이는 과거 한국전쟁에서 남한을 지원한 미국에 맞서 북한을 위해 싸운 러시아의 지원에 대한 보답이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북한군은 훌륭했다. 전투 경험이 풍부한 우리 군도 그들의 전투력과 용기를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며 "우리 장교들의 기록에 따르면 그들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고 전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성명을 통해 "북한군 부대는 우리의 영토를 침공한 우크라이나 신나치 부대를 격퇴한 전투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공개적으로 감사를 전했다.

북한도 이날 북한군이 쿠르스크 지역 해방 작전에 참전했다는 내용을 담은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의 서면 입장문을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보도했다.

러 쿠르스크 전투 훈련하는 북한군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 텔레그램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263 권영세, 정대철에 ‘한덕수 출마 지원’ 부탁…국힘 후보들 “우린 뭐냐” 랭크뉴스 2025.04.29
50262 '왕 노릇' 기재부 개혁 벼르는 이재명... 예산 편성도 대통령 산하로? 랭크뉴스 2025.04.29
50261 [속보]대구 산불, 오전 8시 기준 진화율 82%…진화헬기 51대 투입 랭크뉴스 2025.04.29
50260 “미국은 현재 ‘셀프 쿠데타’ 진행 중…헌법적 위기 봉착” 랭크뉴스 2025.04.29
50259 이승기 "장인어른 부정 행위에 참담… 처가와 관계 단절" 랭크뉴스 2025.04.29
50258 "요즘 바다에 큰 문제 있다"…서해 덮친 '냉수'에 어민들 비명 랭크뉴스 2025.04.29
50257 국힘 오늘 결선행 2명 발표…주자들 ‘노무현 소환, 충청 훑기’ 안간힘 랭크뉴스 2025.04.29
50256 홍준표 "국힘 대선후보 돼서 패배 땐 정계 은퇴" 배수진 랭크뉴스 2025.04.29
50255 수도권 지하철요금 6월 28일부터 1천550원…150원 인상 랭크뉴스 2025.04.29
50254 中 똑같이 아파하게…'서해 알박기'에 '해양과학기지' 맞불 고려 랭크뉴스 2025.04.29
50253 [르포] “먹고 사는 문제 건드린 건 잘못” “트럼프가 바로잡을 것” 랭크뉴스 2025.04.29
50252 [속보] 백악관 “트럼프, 자동차 관세 영향 완화 예정” 랭크뉴스 2025.04.29
50251 [속보] 백악관 "트럼프, 車관세 영향 완화 예정" <로이터> 랭크뉴스 2025.04.29
50250 “또 중국인 관광객?”…제주 버스 안 흡연 영상 확산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29
50249 “밤새 타오른 불”…시청자 제보로 본 대구 산불 랭크뉴스 2025.04.29
50248 [속보] 대구 함지산 산불 진화율 82%…진화 헬기 53대 투입 계획 랭크뉴스 2025.04.29
50247 [속보]오전 8시 기준 대구 북구 산불 진화율 82% 랭크뉴스 2025.04.29
50246 홍준표 “난 한동훈 ‘자기애’·김문수 ‘탈레반’ 원칙주의도 배워” 랭크뉴스 2025.04.29
50245 [정현목의 시선] “각하, 정치를 좀 대국적으로 하십시오” 랭크뉴스 2025.04.29
50244 647년 만에 고향 온 고려 불상, 5월 10일 눈물의 일본행 랭크뉴스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