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후 가톨릭 과제
부패 척결·여성 사제 기용·동성애 포용
"개혁 이제 시작...미완 끝날 수도" 우려
프란치스코 임명한 추기경이 전체 70%
"차기 교황, 시대 사명 이어야" 한목소리
"나그넷길에 있는 교회는 그 자체로서 또 인간적인 지상 제도로서 언제나 필요한 개혁을 끊임없이 계속하도록 부름받고 있다."-프란치스코 교황의 권고 '복음의 기쁨' 중에서

21일 선종한 프란치스 교황은 가톨릭 세계의 '혁명가'다. 2013년 취임 이후 12년간 내부 반발을 물리치며 적극적으로 '교회 쇄신'을 추진해왔다. 다음 달 7일 열리는 차기 교황을 선출하기 위한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회의)를 앞두고 프란치스코 교황의 개혁 유산 계승 여부가 가톨릭계의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국내 가톨릭계 학자들은 교회 내부 쇄신에 대한 시대적 요구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12년간 교회 쇄신 추진 프란치스코 교황

지난해 10월 6일 바티칸에서 열린 시노드에 참석한 프란치스코(가운데) 교황과 성직자들. 바티칸=AFP 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은 생전 바티칸 은행 개혁과 교회의 관료주의 타파에 적극적이었다. 취임 직후 교황청 재정 운용에 대해 외부에 회계감사를 맡겼다. 내부 기득권의 사퇴 반발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개혁을 추진했다. 교회 세속화에 제동을 걸고 '가난'을 환기한 복음 정신을 확산했다.

평신도 신학자인 한상봉 가톨릭일꾼 편집장은 "부패의 온상이었던 바티칸 은행을 혁신하고 신학적으로는 '가난한 사람이 복음의 처음이자 끝'이라는 진보를 이뤄냈으며, '시노달리타스'(함께 걷기)라는 개념으로 평신도의 권한을 강화한 것은 가톨릭사에 남을 중요한 업적"이라며 "워낙 개혁 과제가 많다 보니 재위 기간 내 모든 일을 다 끝마칠 수 없었고, 여전히 많은 쇄신 작업이 진행 중이었는데 유고로 많은 과제가 중단된 것은 아쉬운 대목"이라고 평가했다.

여성·소수자 문제 등 미완 과제 산적

성지주일 미사가 열린 바티칸 성베드로 광장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젊은이들과 함께 셀카를 찍고 있다. 바티칸=AP 연합뉴스


가톨릭 교회 안팎에서 시급한 개혁 과제로 꼽혀왔던 '여성 사제직' 문제가 대표적이다. 교황은 첫 교황청 여성 장관을 임명했으며 세계주교대의원회의(시노드) 첫 여성 사무국장, 첫 여성 바티칸박물관 관장을 임명했지만 내부 반발에 부딪혀 여성 사제직을 허용하지는 않았다.

한 편집장은 "프란치스코 교황은 빠른 개혁을 위해 보수적인 교회법을 바꾸기보다는 카리스마와 교황의 권위를 활용해 관습법을 바꾸는 방식으로 속도를 올렸다"며 "교황청 각 부서와 교회의 여러 직무에 여성의 참여를 확대한 것은 여성 사제직에 대한 시대 요구와 교회 현대화를 실현하기 위한 복안이었지만, 전초 작업에 머물렀다는 점이 아쉽다"고 말했다.

동성애, 낙태, 이혼과 재혼 등에 관해서도 포용적인 입장이었지만 동성혼 허용 등 전향적 변화는 없었다. 신학자인 김근수 해방신학연구소장은 "교회 안의 양들을 관리하는 데 치중했던 역대 교황과 달리 교회 밖의 양들을 감싸안는 데 관심이 컸고, 프란치스코 교황 시대에 여성과 소수자를 보는 교회 내 시선이 진일보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다만 현대적 교회에 부합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기에는 12년은 턱없이 부족했다"고 했다. 이어 "교회가 밖으로 나와 시대에 응답하려는 노력을 시작했는데 여기서 멈춘다면 큰 혼란에 빠질 수 있다"며 "프란치스코 2세, 3세가 나와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프란치스코 2세' 나올까...우려와 기대 교차

2005년 개최한 콘클라베. 한국일보 자료사진


학자들은 향후 콘클라베에서 선출될 차기 교황에 대해 "진보·보수 성향을 예측하기 어렵다"며 어떤 교황이 나오든 시대적 요구에 응답한 프란치스코의 개혁 유산을 외면하기 힘들 것이라고 관측했다. 콘클라베 투표권을 가진 80세 미만 추기경 137명 가운데 70%이상인 99명을 프란치스코 교황이 직접 임명해 그의 교회 개혁 유산이 계승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전망도 나온다.

주원준 신학박사(한님성서연구소 수석연구원)는 "종교 무관심의 시대에 교회가 존속하기 위해서는 복음과 가난의 정신을 교회 안팎으로 크게 환기하고, 주교의 권력을 제한하는 등 교회를 개혁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개혁 유산을 계승하는 일이 급선무"라며 "차기 교황이 누가 되든 성향에 따라 속도를 늦출지언정 큰 흐름을 되돌리긴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682 김태효 의아한 방미…외교가 “대단히 부적절” 월권 논란 랭크뉴스 2025.04.29
45681 박찬대 “내일부터 선대위로 전환, 이재명 대선 승리에 당력 집중” 랭크뉴스 2025.04.29
45680 보수 단일후보 적합도…한덕수 26.2%·홍준표 20.3% [리서치뷰] 랭크뉴스 2025.04.29
45679 산업차관 “韓美 협상, 6월 대선 전까지 결정 안 한다” 랭크뉴스 2025.04.29
45678 “오세훈 잡으러 서울 왔다”…검찰, 명태균 첫 서울 조사 랭크뉴스 2025.04.29
45677 “딥페이크 영상 유포” 중학생 피해자에 접근해 성착취물 만든 고교생 구속 송치 랭크뉴스 2025.04.29
45676 '대구 산불' 23시간만에 진화…축구장 364개 면적 잿더미(종합) 랭크뉴스 2025.04.29
45675 개인정보위 "SKT 유심 정보유출 조사, 1년 이상 걸릴 수도" 랭크뉴스 2025.04.29
45674 명태균 “오세훈 잡으러 왔다…증거 있는 것만 정확히 7번 만나” 랭크뉴스 2025.04.29
45673 '기호 1번' 점퍼 입은 이재명…숫자 모서리 빨간색, 의미는? 랭크뉴스 2025.04.29
45672 유심 교체 둘째 날…오늘도 곳곳에서 혼선 랭크뉴스 2025.04.29
45671 '무료 가족사진' 당첨돼 찍었는데…75만원 요금 폭탄,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29
45670 아픈 건 숨길 수 없으니까···청약 위장전입, 이것으로 잡는다는데 랭크뉴스 2025.04.29
45669 올해 4년제 대학교 70%가 등록금 올렸다… 평균 710만원, 의대 1000만원 랭크뉴스 2025.04.29
45668 오세훈 “‘만물 명태균설’ 접할수록 헛웃음만 나와” 랭크뉴스 2025.04.29
45667 "하마터면 비상문 열릴 뻔"…중국행 에어부산 항공기서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29
45666 "만나면 되지"‥'요즘도 김 여사와 통화?' 묻자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29
45665 4년제 대학 등록금 ‘710만원’…대학 10곳 중 7곳 등록금 인상했다 랭크뉴스 2025.04.29
45664 후지산서 구조된 지 나흘 만에 또 조난... "휴대폰 놓고 와서요" 랭크뉴스 2025.04.29
45663 "한덕수로?" 고민하는 이낙연‥"국민 정면 배신" 직격탄 랭크뉴스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