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더중플 - 6.3 대선주자 탐구 6.3 대선에 도전장을 내민 사람들. 나라를 맡겠다는 그들은 과연 누구일까요. 그들이 언제 어떻게 정치 무대에 올랐는지, 정치를 하기 전에는 어떤 인생을 살았는지 기억하시나요? 세월이 바꾸는 건 강산만이 아닙니다. 노래 가사처럼 사람들은 모두 변하고 세상이 그들을 그렇게 만들었습니다.

오늘의 추천!더중플은 ‘6.3 대선주자 탐구(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282)’입니다. 그들의 사상과 전략, 공약, 지지 기반 같은 것에 천착하지 않습니다. 그저 그들이 걸어온 길을 되돌아보면서 탄생과 성장과 사랑과 투쟁의 이야기, 즉 땀냄새나는 삶 속으로 들어가 보려 합니다.

기사 전문은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서비스 '더중앙플러스(https://www.joongang.co.kr/plus)'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대선주자 탐구-이재명

사진 뉴시스
" 수면제 주세요. "
" 수면제는 뭐 하려고? "
" …. 잠이 잘 안 와서요. "
1980년 초여름의 어느 날, 경기 성남시 상대원동의 한 약국에 17살 사춘기 소년이 들어섰다. 대뜸 수면제를 달라는 요구를 약사는 의아하게 여겼다. 긴팔 차림에 덥수룩한 머리. 그 속에 가려진 소년의 얼굴은 어두웠다.

" 그래? 어디 다른 데가 아픈 건 아니고? "
" 그런 건 아니고…. 하여간 주세요. "
소년은 막무가내였다. 약사는 어쩔 수 없이 카운터 뒤로 사라지더니 이윽고 알약을 몇 알 가지고 왔다.

" 자, 여기. 그런데 필요할 때 한 알씩만 먹어야 한다. "
" 네. "
그렇게 소년은 인근 약국 여러 곳을 돌면서 수면제를 요구했다. 약사들은 한결같이 그를 수상하게 여겼지만, 거듭된 요구에 잔소리를 늘어놓으며 마지못해 약을 건넸다. 스무 알가량의 약이 수중에 모였다. 약봉지를 꽉 쥔 소년의 표정이 자못 비장했다. 그러고는 연탄 가게를 찾아 나섰다.

불붙은 연탄 한 장을 산 소년은 집에 이르러 다락방에 올랐다. 며칠 전 첫 시도는 실패한 터였다. 소년은 수면제 양이 부족해서라고 생각했다. 연탄을 방 한편에 두고 유서를 썼다. 잠시 일 나간 어머니의 얼굴이 뇌리를 스쳤다.

‘호강시켜 드리겠다는 약속을 지켜야 하는데….’

눈시울이 붉어지려는 찰나 아래층 방에서 자고 있는 아버지의 코골이 소리가 들렸다. 소년은 다락문을 닫았다. 그 시절 소년의 일기장에는 아버지에 대한 원망이 가득 담겨 있었다. 소년은 유서에도 비슷한 내용을 적었다. 그러곤 한 움큼의 알약을 입안에 털어넣었다.

‘이제 다 끝이다.’

소년은 눈을 감고 잠을 청했다. 그러나 이상하리만큼 잠이 오지 않았다. 눈을 감고 있다가 다시 뜨기를 여러 차례 반복할 즈음 누군가 다락문을 세게 열어젖혔다.

" 재명이 처남! 여기서 뭐 해? "
소년의 이름은 이재명이었다. 그날 오후 이재명은 원래 지난해까지 일했던 오리엔트시계 공장에 재취업하기 위해 면접을 보러 가기로 돼 있었다.

" 면접 안 가고 뭐 하고 있어? "
이재명의 매형은 인근에서 과일 장사를 했다. 그는 바닥에 놓인 약봉지와 스멀스멀 피어오르는 연탄불 연기를 애써 못 본 체하며 연신 질문을 던졌다. 얼굴이 벌게진 이재명은 벌떡 일어났다. 그러곤 눈물을 흘리며 집 밖으로 나왔다. 매형이 그 뒤를 쫓았다.

이재명은 의아했다.

‘왜 내가 여전히 살아 있는 거지?’

약사들이 스스로에 대한 살의가 가득해 보였던 그 소년에게 수면제를 파는 척하면서 사실은 소화제를 건넸다는 걸 알게 된 건 한참 뒤의 일이었다.

이재명의 머릿속에는 얼마 전 새벽 아버지의 손에 이끌려 리어카를 끌고 상대원시장 쓰레기를 치우러 갔던 기억이 떠올랐다. 동네에서 종종 마주치던 교복 입은 여학생이 자신을 보고 비웃는 것만 같아 참담했다. 이재명에겐 교복이 없었다. 학교 대신 공장에 나갔기 때문이다.

※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재명, 수면제 수십알 삼켰다…아버지 죽도록 미웠던 17살 [이재명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176

고졸 따낸 이재명 “최고의 날”…아버지는 “다시 공장 다녀라” [이재명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443

이재명 “저 사시 붙었어요”…부친의 눈물, 그게 임종이었다 [이재명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744

이재명 “난 성남으로 갈거야” 문형배·문무일과 술자리 그날 [이재명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680
더중앙플러스 - 6.3 대선주자 탐구 “이 빨갱이! 심상정 불어!” 통닭구이 고문 버틴 김문수[김문수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64

수배고 뭐고 고향 달려갔다…“문수야 안아줘” 엄마의 마지막 [김문수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83

그 여자, 김문수랑 결혼한다고? 경찰은 ‘닭장차 5대’ 보냈다 [김문수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685

“철수 성적표에 ‘수’는 이름뿐” 국민학생 안철수의 대반전 [안철수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993

“나 말고도 의사 3만명 있다” 그날 안철수 이중생활 끝났다 [안철수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288

“100억 준다고? 놀라 자빠질 뻔” 돈 꾸던 안철수, 더 놀라운 답변 [안철수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504

‘웃으면 복이와요’ PD의 권유 “준표야, 너 개그맨 한번 해봐” [홍준표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855

“자네가 판사야?” 이 말에…홍준표? 홍린표 될 뻔했다 [홍준표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101

“당신, 24시간 미행당했어!” 전두환 형 잡은 홍준표 사기극 [홍준표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462

“얼맙니까?” 술값 다 냈다…스폰서 물먹인 초임 한동훈 [한동훈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811

“尹총장, 좀 더 지켜보시죠” 한동훈은 조국 수사 말렸다 [한동훈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118

“몰아세우지 말고 시간 좀 줘” 尹을 믿었다, 그게 韓의 패착 [한동훈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440

“한덕수 출마 확률 65%!…박근혜 움직일 수도 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094

부인은 남편 몰래 DJ 찍었다…호남의 ‘영남 사위’ 대선주자 셋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853

전교1등 누나는 대성통곡했다…대선주자 4인의 가난 이야기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800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500 ‘한복 입고 빅토르최 노래’…러시아 파병 북한군 위문 공연 현장 포착 랭크뉴스 2025.04.29
45499 한동훈 “총수 불러 떡볶이 먹는다고 경제 해결 안돼…AI 혁명에 올라타자” 랭크뉴스 2025.04.29
45498 IBM, 美제조에 216조원 투자…“양자컴퓨터 미국서 만들 것” 랭크뉴스 2025.04.29
45497 中러 주도 브릭스 11개국 "강력한 다자주의 구축"…美에 대립각 랭크뉴스 2025.04.29
45496 ‘예측불허’ 콘클라베…바티칸 성벽 뒤에선 치열한 ‘로비전’ 랭크뉴스 2025.04.29
45495 "1000만원짜리 내 샤넬백이 중국산?"…의혹 커지자 명품업계 칼 뺐다 랭크뉴스 2025.04.29
45494 ‘800억대 부당대출’ 기업은행 전·현직 직원 구속영장 기각 랭크뉴스 2025.04.29
45493 1인당 국민소득 4만달러 시대, 2029년으로 2년 더 멀어졌다 랭크뉴스 2025.04.29
45492 상담받다 돌연…고교서 학생 흉기에 교장 등 6명 부상 랭크뉴스 2025.04.29
45491 메타, 29일 '라마 콘퍼런스' 첫 개최…AI 전략 발표 랭크뉴스 2025.04.29
45490 이재명, 오전엔 이승만·박정희 묘역…오후엔 반도체 기업 방문 랭크뉴스 2025.04.29
45489 대구 산불, 강풍 타고 확산 ‘민가 위협’ 랭크뉴스 2025.04.29
45488 푸틴, 내달 8∼10일 전승절 80주년 기념 휴전 선언(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29
45487 산불 공포, 잠 못든 대구 랭크뉴스 2025.04.29
45486 인천 무의도 해수욕장서 맨발 걷기 하던 70대 여성 사망 랭크뉴스 2025.04.29
45485 발레리노 전민철 ‘유스 아메리카 그랑프리’ 대상 랭크뉴스 2025.04.29
45484 대구 함지산 산불…산불 3단계 야간 대응, 진화율 54% 랭크뉴스 2025.04.29
45483 "美서 머스크의 정부활동 지지 35%…트럼프 지지율보다도 낮아" 랭크뉴스 2025.04.29
45482 [이태규 칼럼] 우크라 다음 북한이 우려스러운 이유 랭크뉴스 2025.04.29
45481 대구 산불 진화율 54%‥민가 확산 저지에 총력 랭크뉴스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