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번주 중 美와 기술 협의 개시

박성택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뉴스1

박성택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차기 정부 출범 전 미국과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은 없다”고 28일 말했다.

박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방미 관련 백브리핑에서 ‘차기 정부 출범 전에 무언가 결정될 가능성은 없느냐’는 질문에 “‘크지 않다’가 아니라 ‘없다’가 맞다”고 답했다.

다만 “차기 정부가 들어선다 해도, 한 달 만에 이 광범위한 이슈를 모두 다루는 건 불가능하다”며 “미국의 관심 사항을 명확히 하고, 이견 없이 속도 낼 수 있는 부분은 속도를 내겠다”고 했다. 미국의 관세 부과 시점은 7월 8일로, 앞으로 71일 남은 상황이다.

그는 “과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은 단순한 사안들을 논의했지만, 이번 협상은 비정형화돼 있어 틀을 짜는 것만 해도 오래 걸린다”며 “미국과의 협상에 과속할 이유도, 머뭇거릴 시간도 없다”고 했다. 이어 “다음 정부가 이어달리기를 할 때 부담을 줘서 안 되겠다는 생각으로, 대선 전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최상목 경제부총리와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지난 24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 D.C에서 미 재무부의 스콧 베센트 장관 및 무역대표부(USTR)의 제이미슨 그리어 대표와 2+2 협상을 진행한 바 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 이후, 2주 만에 개최된 후속 조치다.

한국과 미국은 ▲관세·비관세 ▲경제 안보 ▲투자 협력 ▲통화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해 나가면서 7월 8일까지 줄라이 패키지(July package)를 만들어 나가자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 환율 부문은 기재부와 미 재무부 간 별도 채널로 논의해 나가기로 한 상황이다.

우리 산업부와 미국 USTR은 이번 주 중 기술 협의를 통해 나머지 3개 분야에서 6개 내외의 ‘실무 작업반’을 구성할 예정이다. 한미 양측은 다음주부터 작업반별로 실무 협의를 이어간다. 기술 협의 총괄은 산업부 통상정책국장이 하되, 각 작업반에는 관계 부처들이 참여한다. 그리어 USTR 대표가 방한하는 5월 중순에는 장관급 협의를 통해 작업반별 진전 사항을 평가할 계획이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에 참석차 미국 워성턴D.C.를 방문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24일(현지시간) 미국 재무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 참석, 스콧 베센트 미국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회의시작에 앞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뉴스1

박 차관은 2+2 협의에서 미국이 가장 관심을 가졌던 부분은 ‘조선업’이라고 설명했다. 양측은 우리 기업들의 대미 파트너십 동향과 기술·인력·신조 협력 등을 논의했다.

박 차관은 “미국은 군사 부문은 물론, 상선 분야에서도 취약해 우리와의 동맹 없이는 한계가 있는 상황”며 “150여 개 미국 조선소도 상당히 낙후돼 있어 어떻게 생산성을 끌어올리고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지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라고 했다.

그는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참여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다. 박 차관은 “‘사업 타당성을 확인하는 과정이 선행돼야 한다’고 미국에 설명했다”며 “산업부 에너지 실장이 알래스카와 현지 실사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비관세 장벽 해소에 대해서는 “우리나라가 글로벌 스탠다드를 따라가지 못해 규제처럼 느껴지는 게 있을 수 있다”면서 “미국이 현재까지 어떤 비관세 장벽을 허물라고 제시한 건 없고, 향후 비관세조치 작업반이 마련되면 의제를 구체화할 것”이라고 했다.

박 차관은 미국이 중국 제재 동참을 요구하거나, 중국으로부터 따로 메시지를 받은 바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미국과 협의 당시,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특정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등의 논의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한편, 산업부는 추후 통상 의제에 따라 통상조약법 절차를 밟을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일반적으로 다른 나라와의 협의 과정에서 대외 개방을 하거나, 국민 경제에 중대한 영향이 있을 때, 통상조약법 절차를 밟는 편이다.

일각에서는 통상조약법 절차를 밟을 경우, 협상 기한이 관세 부과 시행 시점을 넘길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박 차관은 “협의 윤곽만 정해진 지금 단계에서 공청회, 국회 보고 등이 필요할지는 알 수 없어 의제가 정해지면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487 산불 공포, 잠 못든 대구 랭크뉴스 2025.04.29
45486 인천 무의도 해수욕장서 맨발 걷기 하던 70대 여성 사망 랭크뉴스 2025.04.29
45485 발레리노 전민철 ‘유스 아메리카 그랑프리’ 대상 랭크뉴스 2025.04.29
45484 대구 함지산 산불…산불 3단계 야간 대응, 진화율 54% 랭크뉴스 2025.04.29
45483 "美서 머스크의 정부활동 지지 35%…트럼프 지지율보다도 낮아" 랭크뉴스 2025.04.29
45482 [이태규 칼럼] 우크라 다음 북한이 우려스러운 이유 랭크뉴스 2025.04.29
45481 대구 산불 진화율 54%‥민가 확산 저지에 총력 랭크뉴스 2025.04.29
45480 국민의힘 ‘2강’ 가리는 2차 대선경선 당원투표 마감…투표율 51% 랭크뉴스 2025.04.29
45479 엘베 손잡이에 올라탄 두 아들…김나영 "생각 짧았다" 사과 랭크뉴스 2025.04.29
45478 “음주운전 맞지?” 음주 의심 차량 추격 방송하다 사망사고 낸 유튜버, 결국 랭크뉴스 2025.04.29
45477 독일 새 정부에 기업인 줄줄이 입각…다음주 출범(종합) 랭크뉴스 2025.04.29
45476 “해킹 SKT 고객님 걱정되시죠~” 유심 대란에 바빠진 경쟁사들 랭크뉴스 2025.04.29
45475 "증언 거부합니다" 859회…입 꾹 닫은 정진상, 검찰과 신경전 랭크뉴스 2025.04.29
45474 이 “좌든 우든 뒤로만 가지말자” 랭크뉴스 2025.04.29
45473 [속보]대구 산불 진화율 54%···야간 진화에 수리온 헬기 2대 투입 랭크뉴스 2025.04.29
45472 트럼프, 캐나다 총선일에 “美 51번째 주 되면 전 산업 4배 성장” 랭크뉴스 2025.04.29
45471 대구 산불 진화율 54%... “야간 방어선 구축, 해 뜨면 헬기 투입” 랭크뉴스 2025.04.29
45470 푸틴의 사흘 휴전선언에…美백악관 "트럼프는 항구적 휴전 추구" 랭크뉴스 2025.04.29
45469 'SNL 출연' 한동훈 인증샷에 정성호 "저 아닙니다"…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29
45468 꽃가루 알레르기 있으면 생과일·채소에도 목이 간질간질 랭크뉴스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