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 100초 내 250㎞ 이내서 자연지진 발생 시 탐지율 37%로 감소
못 가린단 학계 통념 깨…"北 핵실험장 인근 소규모 지진 잦아 우려"
못 가린단 학계 통념 깨…"北 핵실험장 인근 소규모 지진 잦아 우려"
북한 6차 핵실험 (PG)
[제작 조혜인]
[제작 조혜인]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지하 핵실험의 지진파 신호가 실험장 인근 자연지진 신호로 숨겨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학계에서는 지진 신호로 폭발 신호를 가릴 수 없다는 게 통념이었는데, 이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28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부 산하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의 조슈아 카마이클 박사 연구팀은 최근 '미국지진학회지'(BSSA)에 1.7t 규모 지하 폭발을 97% 확률로 식별할 수 있는 첨단 탐지기술도 폭발 100초 내 250㎞ 이내에서 자연 지진이 발생하면 탐지율이 37%로 떨어진다는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국 네바다 핵실험장에서 수집한 핵폭발 데이터 및 자연지진 데이터를 활용해 폭발 규모를 조정한 신호를 지진 신호에 집어넣고 이를 기술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폭발 신호가 지진 신호에 가려지는 '폭발 마스킹' 현상이 실제로 일어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카마이클 박사는 "폭발과 지진의 파형이 겹치면 우리가 가진 가장 민감한 디지털 신호 감지기로도 폭발을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이 흐려진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미국지진학회는 "지진 신호가 폭발 신호를 가릴 수 없단 결론을 내린 2012년 보고서를 재고하게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미국 국가연구위원회(NRC)는 2012년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폭발 신호가 자연지진과 다른 만큼 가리기 힘들다는 결론을 담았는데, 이를 재검토해야 할 수 있단 평가를 한 것이다.
카마이클 박사는 "특히 최근 20년간 6차례 핵실험을 진행한 북한의 경우 주변에 설치된 지진 관측장비가 늘면서 핵실험장 인근에서 생각보다 훨씬 더 많은 소규모 지진 활동이 있었던 것이 확인되고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또 지진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생기는 신호가 폭발 신호에 겹칠 경우에는 탐지 확률이 16%로 더 떨어질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핵실험 감시에는 대기 중 특정 방사성 핵종 존재 여부 등 다른 방식들도 있는 만큼 지진과 핵폭발이 동시에 일어난다고 해서 완전히 감춰질 가능성은 작다고 설명했다.
카마이클 박사는 "지진 신호로부터 폭발 탐지 확률을 어떻게 계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최소한의 방법론'을 제공한 것"이라며 "이 정보를 다른 감시 도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