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해 10월, 울산 동서석유화학 공장에서 이산화탄소가 누출됐습니다. 1명이 현장을 빠져나오지 못해 심정지 상태에 빠졌고, 현장 작업자 4명도 다쳤습니다. 심정지 상태였던 70대 노동자는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20여 일 뒤 끝내 숨졌습니다.

그런데, 하청 업체 직원들은 일하기 전부터 원청 감독관에게 "위험해서 작업을 할 수 없다"는 말을 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벽체에 구멍을 뚫기 위해 물을 쓰는 드릴인 '습식 코어'를 이용하는데 전기실 전원도 내려가지 않은 상태였고, 드릴과 벽체의 두께도 규격에 맞지 않아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원청 감독관 측은 '작업 허가서'를 냈습니다. 안전 교육도 없이 구멍이 뚫리는 걸 보자마자 현장을 떠났다고 합니다. 그렇게 작업을 하다 물과 시멘트가 섞인 불순물이 소화 설비 쪽으로 흘러들어 오작동을 일으켰고, 소화 설비에 담긴 이산화탄소가 전기실 내부로 퍼졌습니다.

전기 합선을 이산화탄소 누출 사고의 원인으로 추정한 경찰은 이달 초 참고인이었던 하청 노동자들을 '과실 치사' 혐의 피의자로 전환해 수사 중입니다.

하청 노동자들은 "작업을 멈춰야 한다"는 주장을 묵살한 원청에도 책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작업거부' 하면 잘릴 텐데…유명무실한 작업 중지권
"작업을 안 하면 당장 (작업 거부로 인해서) 그냥 바로 잘리는 거니까…어쩔 수 없이 작업자들은 그냥 거기서 (뚫을 자리를) 표시하고, 감독이 정해준 자리에 작업을 하게 된 거예요."

-이은수/사고 당시 하청 업체 공사부장

사고 당시 하청 업체 공사부장을 맡았던 이은수 씨는 "작업을 안 할 수가 없는 상황이었다"고 하소연했습니다. 공사부장이라는 직책을 맡고 있지만 일용직 하청 노동자였던 이 씨는 " 해고의 두려움에 차마 작업을 멈출 수 없었다"고 말합니다.

작업 중 생명에 위협을 주는 상황이 발생할 때 노동자가 현장을 빠져나가는 건 법으로 보장된 권리입니다. 이른바 '작업 중지권'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52조는 "근로자는 산업재해가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하고 대피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국제노동기구 ILO 협약에도 "산업재해 발생 위험이 있는 경우, 근로자가 스스로 작업을 중지하고 대피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적혀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ILO 협약국이고, 법에도 명시되어 있지만 현장에선 여전히 보장받기 어려운 권리인 게 현실입니다.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우'라는 표현도 모호해 작업 중지권을 쓴 노동자가 회사로부터 책임을 떠안는 경우도 있습니다. 실제로 2022년 6월에는 한국타이어 소속 노동자가 "성형기(고체 가공 기계) 안전에 문제가 있다"며 기계 가동을 중단시켰는데, 회사로부터 8,900만 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당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노동청이 시정지시를 내리고 회사가 설비를 개선했음에도 벌어진 일입니다.

■"위험 앞에서 도망치는 겁쟁이 되자"…하청·비정규직도 가능할까?

이은수 씨의 사례처럼 작업 중지권 사용은 하청·일용직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더 어렵습니다. 지난해 '노동자 작업중지권 사용 실태' 를 조사한 민주노동연구원은 "하청, 비정규, 특수고용 노동자 등은 위험 현장에서 일한다 해도 고용 관계와 작업 통제 구조의 특성상 작업중지권 사용이 거의 봉쇄된다"고 밝혔습니다.

노동계는 작업 중지 노동자를 해고, 징계하는 사업주를 처벌하도록 작업 중지권과 관련된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노동자의 작업 중지권 사용을 사업주가 보복할 경우, 산업안전청과 전미노동관계위원회가 조사를 통해 처벌합니다.

오늘(28일)은 '세계 산재 노동자의 날'입니다. 전 세계에서 작업 중 죽거나 다친 노동자들을 추모하는 날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올해 처음으로 국가기념일로 지정됐습니다. 기념일을 앞두고 '작업 중지권 쟁취'를 요구하며 열린 민주노총 결의대회에서 박정훈 공공운수노조 부위원장은 "일터의 위험 앞에서는 도망치는 겁쟁이가 되자"고 말했습니다. 원청, 하청, 비정규직을 가리지 않고 '위험 앞에서 도망칠 수 있는 일터'를 만들 수 있을까요?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846 韓대행, 5월초 사퇴후 대선출마 유력…총리실 참모도 사표 랭크뉴스 2025.04.28
49845 "SKT 먹통 후 알뜰폰 개통, 5000만원 빠져나가"…경찰 수사 랭크뉴스 2025.04.28
49844 청주 특수학급 고교생이 흉기 난동... 교장 등 5명 다쳐 랭크뉴스 2025.04.28
49843 민주, 선대위원장에 윤여준 영입 검토…중도·보수 외연 확장 나선다 랭크뉴스 2025.04.28
49842 이재명 “윤여준에 선대위 맡아달라 부탁…다행히 응해주셨다” 랭크뉴스 2025.04.28
49841 승용차가 고장 나 하차해 있던 모녀…SUV에 받혀 사상 랭크뉴스 2025.04.28
49840 한덕수 출마 초읽기…손영택 비서실장, 오늘 사직 랭크뉴스 2025.04.28
49839 '너도 기자냐고? 그러는 네가 가짜야' MAGA 미디어의 역습 [World Now] 랭크뉴스 2025.04.28
49838 국민의힘 지도부 "한덕수 나오면 최종후보 중심 단일화 룰세팅" 랭크뉴스 2025.04.28
49837 마사회장 후보도 윤석열 입김?…민주 “한덕수의 알박기, 중단하라” 랭크뉴스 2025.04.28
49836 차단 서비스들도 '먹통'‥SKT "유심 무상 교체" 랭크뉴스 2025.04.28
49835 한덕수 최측근 비서실장 사직서 제출‥"한덕수 대권 선언 임박" 랭크뉴스 2025.04.28
49834 ‘더본코리아 전용’ 외식개발원…‘70억 예산’ 쏟은 군산시 랭크뉴스 2025.04.28
49833 청주 고교서 특수학급 학생이 흉기 난동…교장 등 5명 부상 랭크뉴스 2025.04.28
49832 [속보]‘최측근’ 손영택 총리실 비서실장 사표···한덕수 대선 출마 가시화 랭크뉴스 2025.04.28
49831 유심 무료 교체만으론 부족…SK텔레콤, 주가 5.5만으로 추락[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28
49830 [속보] ‘韓 측근’ 손영택 총리 비서실장 사표 제출 랭크뉴스 2025.04.28
49829 홍준표 "'이회창 대세론'에 분투했던 노무현처럼 국민만 본다" 랭크뉴스 2025.04.28
49828 홍준표 “노무현처럼 국민만 보고 내 길…대통령 못 돼도 실패 아냐” 랭크뉴스 2025.04.28
49827 한덕수 ‘최측근’ 손영택 비서실장 사직서…대선출마 가시화 랭크뉴스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