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올해 카드사 조달비용 2%까지 내려왔지만
리볼빙 금리는 소폭 상승하며 17% 돌파
신용점수 700점 이하 저신용자 19% 달해

서울 시내 한 커피 전문점에서 카드 결제하는 모습. /뉴스1

서민들의 급전 대출 창구인 카드론 금리가 2022년 ‘레고랜드 사태’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은 데 이어 리볼빙 금리(수수료율)도 고공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2022년 15% 후반이던 리볼빙 금리는 올해 17%까지 상승하며 좀처럼 내려올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저신용자에게 적용되는 금리는 19%에 육박한 지 오래다.

리볼빙은 신용카드 사용자가 갚아야 할 카드 대금 중 일부를 다음 결제일로 넘기는 이월약정제도다. 카드사들은 결제를 미뤄주는 대가로 수수료를 받는다. 리볼빙 이용자 다수가 카드 대금을 갚지 못하는 저신용자라는 점을 고려하면, 많은 고객이 19%의 이자율을 감당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28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8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하나·우리·비씨카드)의 리볼빙 평균 금리는 17.17%로 전년 동기(16.93%)보다 0.24%포인트 상승했다. 여신금융협회가 월별 리볼빙 금리를 공시하기 시작한 2022년 8월(15.97%)과 비교하면 1.2%포인트 올랐다.

저신용자에게 적용되는 금리는 19%를 돌파할 기세다. 지난달 신용점수 700점 이하 고객에게 적용된 평균 리볼빙 금리는 18.89%다. 관련 공시가 시작된 2023년 7월(18.41%)부터 줄곧 18%를 유지하며 소폭 상승하고 있다.

은행계 카드사 사옥 전경./조선DB

리볼빙 금리 산정 방법은 구체적으로 공개돼 있지 않다.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는 코픽스(COFIX)라는 지표 금리에 가산·우대 금리 등을 적용해 정해지는데, 리볼빙 금리는 지표 금리가 제시돼 있지 않다. 카드사의 리볼빙 설명서에도 5~20% 사이에서 개인 신용 점수에 따라 차등 적용한다고만 기재돼 있을 뿐이다.

이 때문에 리볼빙 금리는 카드사마다 천차만별이다. 지난달 기준 가장 높은 리볼빙 금리를 적용한 전업 카드사는 롯데카드(18.45%)로, 가장 낮은 삼성카드(15.72%)와 비교해 2.73%포인트 벌어져 있다. 비씨카드는 16.38%였고, 나머지는 17% 수준이다. 은행의 경우도 최소치(15.95%)와 최대치(18.97%)의 차이가 크다.

카드사들은 자금 조달 비용이 줄었지만 리볼빙 금리는 내리지 않고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 기준금리를 3.25%로 인하하자, 여전채 금리는 2023년 4% 후반, 지난해 3%, 올해 2%로 하락했다. 반면 리볼빙 금리는 지난해 10월 17.06%에서 소폭 상승하며 역주행했다.

카드사가 리볼빙 금리를 낮추지 않는 이유는 수익성 악화 때문으로 분석된다. 2012년 적격 비용 산정 제도 도입 이후 카드사의 주요 수익원이었던 가맹점 수수료 등이 하락하자, 부업인 대출 등 이자 수익 의존도가 높아진 것이다. 지난해 전업 카드사의 당기순이익은 2조5910억원으로 전년보다 0.3% 상승하는 데 그쳤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92 "SKT 유심 사용하지 마세요"…네카오, 임직원에 교체 권고 랭크뉴스 2025.04.28
45291 [속보]대구 북구 함지산서 불···산불 2단계·주민 대피령 랭크뉴스 2025.04.28
45290 개인정보위원장 "SKT 정보 유출 조사 결과 1년 이상 걸릴 수도" 랭크뉴스 2025.04.28
45289 [속보] 대구 산불에 경부고속도로 북대구IC 양방향 진입·진출 차단 랭크뉴스 2025.04.28
45288 협상 테이블에 ‘원화’ 올린 美…관세 전쟁 다음 ‘환율 전쟁’ 시동거나 랭크뉴스 2025.04.28
45287 ‘북한군 파병’ 인정한 푸틴, 김정은에 감사 표시 랭크뉴스 2025.04.28
45286 산업차관 “韓美 협상, 차기 정부 출범 전까지 합의 없다" 랭크뉴스 2025.04.28
45285 청주 고교생, 상담 중 이상행동 뒤 범행…“가방 안 흉기 4종 압수” 랭크뉴스 2025.04.28
45284 [속보] 대구 함지산 산불에 경부고속도로 북대구IC 진입·진출 통제 랭크뉴스 2025.04.28
45283 SKT, 정보 유출 공포에 가입자 ‘무더기 이탈’ 랭크뉴스 2025.04.28
45282 “과거사 반성 안 하는 일본 미래는...” 일본 사회 비판 감독 누구 랭크뉴스 2025.04.28
45281 [단독] 李 '에너지고속도로' 공사비 최소 20조… 핵심 구간은 2년새 40% 뛰어 랭크뉴스 2025.04.28
45280 저장강박증 60대가 20년간 수집한 쓰레기 400톤, 주민들이 힘 모아 치웠다 랭크뉴스 2025.04.28
45279 대구 함지산 산불, 2㎞ 떨어진 민가 인근으로 확산… 대응 2단계 상향 랭크뉴스 2025.04.28
45278 “트럼프, 은밀하게 북-미 정상회담 대비 사전 학습 중” 랭크뉴스 2025.04.28
45277 ‘살기 좋은 도시 1위의 몰락’... 밴쿠버, 늘어나는 범죄에 안전 신화 붕괴 랭크뉴스 2025.04.28
45276 [속보] 대구 북구 함지산에 불‥산림청 산불 2단계 발령 랭크뉴스 2025.04.28
45275 주일 中대사관 "규모9 난카이대지진 대비 부동산 구입 신중해야" 랭크뉴스 2025.04.28
45274 서부지법 난동 피고인 측 “증인 한국인이냐? 중국인이냐?”···법정엔 탄식만 랭크뉴스 2025.04.28
45273 [속보] 김정은, 파병 인정 다음날…푸틴 '북한군 파병' 감사 표시 랭크뉴스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