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벌써 3만명 찾아…2시간 기다려 참배, 추모열기 여전


프란치스코 교황의 소박한 무덤
[EPA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바티칸=연합뉴스) 신창용 특파원 = 장례 미사가 끝난 뒤에도 프란치스코 교황 추모 열기가 식지 않고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 미사 이튿날인 27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로마 시내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성모 대성전)에 안치된 교황의 무덤이 일반에 처음으로 공개됐다.

공개 첫날, 수만 명의 신자가 성모 대성전으로 모여들었다. 교황청은 이날 오후까지 3만명이 교황의 무덤을 찾아 경의를 표했다고 발표했다. 이탈리아 일간지 라레푸블리카는 신자들이 이른 새벽부터 줄을 서기 시작했다며 여전히 성당 밖에서 순서를 기다리는 사람이 많아 참배하려면 평균 2시간을 기다려야 한다고 전했다.

참배객들은 무덤 앞에서 성호를 긋거나 휴대전화로 사진을 찍으며 교황을 추모했다.

성모 대성전에 안치된 교황의 소박한 무덤에는 별다른 장식 없이 '프란치스쿠스'라는 라틴어 교황명만이 새겨져 있고 흰 장미 한 송이가 놓였다. 그가 생전에 늘 목에 걸고 다녔던 철제 십자가의 복제품이 무덤 위 벽면에 걸렸다.

AP 통신은 부드러운 빛이 무덤과 무덤 위에 걸린 십자가를 따뜻하게 비추고 있었다고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로마 시민인 엘리아스 카라발할은 "프란치스코 교황은 내게 영감이자 길잡이였다"며 "그분이 해준 모든 것에 감사하기 위해 찾아왔다"고 말했다. 인도에서 온 수스미다 머피는 "교황이 더 이상 우리 곁에 계시지 않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며 "이런 교황을 다시 만날 수 없다는 사실이 슬프다"고 했다.

교황의 무덤이 안치된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입장 위해 줄 선 사람들
[EPA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신자들의 눈은 서서히 다음 교황으로 향하는 분위기다.

로이터통신은 많은 신자가 프란치스코 교황의 후임자가 누가 될지 걱정한다고 전했다.

아르헨티나 출신 번역가인 로미나 카치아토레는 "프란치스코 교황은 가톨릭교회를 보다 정상적이고 인간적인 모습으로 변화시켰다"며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마리아 시모니는 "프란치스코처럼 사람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누구든지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교황이 또 나왔으면 좋겠다"고 희망했다.

무덤 공개 시간은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다. 이날 오후 4시에는 추기경단이 교황의 무덤을 참배했다.

교황의 관은 전날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엄수된 장례 미사 뒤 이곳으로 옮겨졌고 비공개로 안장식이 거행됐다. 그는 역대 교황이 대부분이 묻힌 성 베드로 대성전 지하 묘지 대신 평소 즐겨 찾던 로마 테르미니 기차역 인근의 이곳을 장지로 택했다. 재임 동안에만 100차례 넘게 이곳을 찾아 기도를 올릴 정도로 각별한 애정을 보인 곳이다.

전날 장례 미사에는 25만명이 참여했고 로마 시내를 가로지르는 운구 행렬에 15만명이 함께 했다. 세계 각국 지도자, 추기경 약 220명, 수많은 신자가 가장 낮은 곳, 가진 것 없는 이를 향했던 교황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교황은 12년 재위 기간 내내 "장벽이 아니라 다리를 세워야 한다"고 강조해왔고, 이러한 신념을 행동으로 실천해왔다.

전날 장례 미사를 주례한 조반니 바티스타 레 수석 추기경은 반이민 성향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앞에서 공개적으로 프란치스코 교황의 이 발언을 인용하기도 했다.

'노벤디알리'로 불리는 9일 간의 애도 기간은 5월 4일까지 계속된다. 이후 5월 6∼11일 다음 교황을 뽑는 콘클라베(Conclave·추기경단 비밀회의)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콘클라베는 교황 선종 후 15∼20일 이내에 열리게 돼 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782 北,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 공식 인정…"북러 조약 충실히 이행" 랭크뉴스 2025.04.28
49781 ‘작업 중지권’?…“위험한 일도 멈추지 못하는 노동자” 랭크뉴스 2025.04.28
49780 이재명 48.5%…김문수 13.4%·홍준표 10.2%·한동훈 9.7% 오차내[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4.28
49779 66만원어치 접대받고 해고된 금감원 직원…법원 "면직 정당" 랭크뉴스 2025.04.28
49778 멀어진 국민소득 4만달러 시대···IMF, 한국 달성시점 2027년 →2029년으로 2년 늦춰 랭크뉴스 2025.04.28
49777 [단독] ‘동국대 흉기난동 예고글’ IP 확보하고도 수사 중단 랭크뉴스 2025.04.28
49776 이란 최대 항구서 폭발 사고… 최소 40명 사망·1000명 부상 랭크뉴스 2025.04.28
49775 [최훈 칼럼] 절대권력의 우려 해소해야 할 이재명 후보 랭크뉴스 2025.04.28
49774 [단독] 15개월 공석인데…하필 지금 임명한다는 관광공사 사장 랭크뉴스 2025.04.28
49773 ‘2억 로또’ 세종 청약에 11만명 몰렸다 랭크뉴스 2025.04.28
49772 북한, 러 파병 공식 확인…“김정은이 북러조약 근거해 결정” 랭크뉴스 2025.04.28
49771 "보복 운전 아니라고?"‥누리꾼들 '공분' 랭크뉴스 2025.04.28
49770 제주 버스 中관광객 흡연 논란…기사 제지하자 창밖 담배 던져 랭크뉴스 2025.04.28
49769 북, 러 파병 공식 확인…"북러조약 이행의 가장 충실한 행동"(종합) 랭크뉴스 2025.04.28
49768 병력자원 부족, 대안은 모병제?…“세계 최고 대우 美軍도 모병 어려운데”[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4.28
49767 네이버 믿고 샀더니 실상은 ‘가짜 쇼핑몰’… 최저가 유혹에 돈·개인정보 다 털린다 랭크뉴스 2025.04.28
49766 멀어진 국민소득 4만달러 시대···IMF, 달성시점 2027년 →2029년으로 2년 늦춰 랭크뉴스 2025.04.28
49765 서민들 최후의 선택인데… 카드 리볼빙 금리 19% 육박 랭크뉴스 2025.04.28
49764 혐오의 시대를 건너는 법 [신영전 칼럼] 랭크뉴스 2025.04.28
49763 미국을 찌른 트럼프 관세…'물류심장' 볼티모어항이 운다 [트럼프 100일] 랭크뉴스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