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각) 미국 재무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에 참석해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회의시작에 앞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최근 미국 워싱턴에서 진행된 ‘한-미 2+2 통상협의’에서 환율 정책도 협상 의제에 오른 걸 놓고 고개를 갸웃거리는 반응이 나온다. 미국 쪽이 한국의 상품수지 흑자 원인 중 하나로 한국 정부가 인위적으로 원화 가치를 절하(원-달러 환율 상승)시키는 것 아닌지를 의심하는 모양새지만, 정작 한국 외환당국은 ‘값싼 원화’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미 정부의 숨은 포석이 있을 수 있다고 말한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디시(D.C.)에서 진행한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동행기자단 간담회에서 양국 환율 정책 관련 협의 내용에 대해 “미 재무부 내부에서 무엇을 논의할지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만 말했다. 앞서 지난 24일(현지시각) 열린 ‘2+2 통상협의’에서 양국은 △관세·비관세 조치 △경제 안보 △투자 협력과 함께 통화(환율) 정책을 협의 과제로 정한 바 있다.

미국 쪽이 제시한 환율 정책 협의의 세부 내용은 현재로썬 알기 어렵다. 다만 한국의 대미 상품수지 흑자 원인으로 미국 쪽이 환율도 꼽고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만 있을 뿐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미국의 주요 무역 상대국을 겨냥해 8가지 비관세 부정 행위 중 첫번째로 ‘환율 조작’을 꼽은 바 있다. 다만 이때만 해도 ‘변동환율제’가 아닌 중국이나, 대규모 돈 풀기로 통화 약세를 유도해온 일본을 염두에 둔 것으로 시장은 풀이해왔다.

그간 미국은 반기마다 ‘환율 보고서’를 정기적으로 발간하며 무역 상대국의 외환 정책을 감시해왔다. 각국이 인위적인 시장 개입을 통해 자국 통화를 평가절하시키지 못하도록 압박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우리나라도 지난해 하반기 중국·독일 등과 함께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된 바 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미국이 정한 대미 무역수지와 경상수지의 기준을 기술적으로 넘어선 탓이지 한국 정부의 외환 정책 자체를 미국이 문제 삼은 건 아니다.

우리 정부와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한-미 통상협의 과정에서 환율 문제는 크게 부각되지 않을 공산이 높다고 본다. 그 이유 중 하나로 한국의 외환당국이 원화 약세(원-달러 환율 상승)보다는 강세를 원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쪽도 바라는 방향이라는 이유에서다. 실제 한국은행과 기재부는 과도한 원-달러 환율 상승을 반기기보다는 수입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다는 등의 이유로 부정적으로 평가해왔다. 한국 정부가 높은 환율을 선호한 것은 10여년 전 이명박 정부 때가 사실상 끝이다. 당시 이명박 정부는 수출 기업 지원을 위해 원-달러 환율을 높게 유지하는 정책을 편 바 있다. 그 이후 한국의 외환당국은 급격한 시장 변동성이 발생할 때만 시장 개입을 해왔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외환당국이 수년간 인위적인 원화 가치 하락을 유도하는 정책을 펴지는 않은 것으로 안다. 또 한국은행은 외환당국의 가격 왜곡을 바로잡기 위한 시장 개입(스무딩 오퍼레이션)을 공개하고 있다”고 말했다.

환율 의제의 한-미 간 협의는 미 재무부와 우리의 기재부가 중심에 선다. 미 상무부나 무역대표부는 이 논의에서 빠진다는 뜻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25일 기자들과 만나 “미국 재무부와 우리 기재부가 별도로 환율 정책을 협상하기로 한 것은 나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외환시장의 속성을 이해하는 재무당국 간 대화가 우리에게 유리하다는 취지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174 [단독] '건국대 어디에 대공포 설치하면‥' 20대 '공중협박' 혐의 입건 랭크뉴스 2025.04.28
45173 영구불임 예상 시 난·정자 냉동지원…女200만·男30만원 랭크뉴스 2025.04.28
45172 “SKT 먹통된 후 5000만원 빠져나가” 경찰 수사 착수 랭크뉴스 2025.04.28
45171 "SKT 폰 먹통되더니 알뜰폰 개통…계좌서 5000만원 빠져나갔다" 랭크뉴스 2025.04.28
45170 6월부터 전월세 계약 신고 안 하면 과태료 최대 30만원 랭크뉴스 2025.04.28
45169 한동훈 “한덕수, 보수주자 4위…벌써 단일화 집착은 패배주의” [대선주자 인터뷰⑨] 랭크뉴스 2025.04.28
45168 청주 고교서 특수교육 학생 흉기 난동…교장 등 6명 중경상(종합) 랭크뉴스 2025.04.28
45167 “구질구질하지 않게, 태풍에 맞서라”…김재철 동원 회장이 말하는 리더십 [EDITOR's LETTER] 랭크뉴스 2025.04.28
45166 [속보] 청주 한 고교서 학생이 흉기난동…교장 등 6명 다쳐 랭크뉴스 2025.04.28
45165 이재명, 광폭 우클릭…'보수책사' 윤여준 선대위장 영입 랭크뉴스 2025.04.28
45164 검찰, 명태균 서울로 불러 조사···김건희 오세훈 소환 임박? 랭크뉴스 2025.04.28
45163 한동훈, 권영세 '한덕수 단일화' 지원 요청 "패배주의 아닌가" 랭크뉴스 2025.04.28
45162 韓대행, 5월초 사퇴후 대선출마 유력…총리실 참모도 사표 랭크뉴스 2025.04.28
45161 "SKT 먹통 후 알뜰폰 개통, 5000만원 빠져나가"…경찰 수사 랭크뉴스 2025.04.28
45160 청주 특수학급 고교생이 흉기 난동... 교장 등 5명 다쳐 랭크뉴스 2025.04.28
45159 민주, 선대위원장에 윤여준 영입 검토…중도·보수 외연 확장 나선다 랭크뉴스 2025.04.28
45158 이재명 “윤여준에 선대위 맡아달라 부탁…다행히 응해주셨다” 랭크뉴스 2025.04.28
45157 승용차가 고장 나 하차해 있던 모녀…SUV에 받혀 사상 랭크뉴스 2025.04.28
45156 한덕수 출마 초읽기…손영택 비서실장, 오늘 사직 랭크뉴스 2025.04.28
45155 '너도 기자냐고? 그러는 네가 가짜야' MAGA 미디어의 역습 [World Now] 랭크뉴스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