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23일 부산대병원 장기려관 10층 회의실에서 열린 기부금 전달식에서 이호석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가 발언하고 있다. 이 교수는 정년까지 매달 월급에서 100만원을 병원에 기부하기로 약정했다. 사진 부산대병원
“혹시라도 정년이 늘어나게 된다면, 매달 그만큼 더 기부하겠습니다.” 지난 23일 부산 서구 부산대병원 장기려관 10층 회의실에서 열린 기부금 전달식에서 이 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이호석(53) 교수가 “20번째 기부를 실천하게 돼 기쁘다”며 이같이 말했다. 부산대병원 측은 이날 이 교수의 모습을 새긴 감사패를 전달했다.



지역대학병원 교수, 月 100만원 ‘월급기부’ 왜?
27일 부산대병원에 따르면 이 교수는 2023년 7월부터 매달 급여 가운데 100만원을 병원에 기부하고 있다. 현재까지 기부 총액은 2000만원이다. 정년을 맞는 2037년 8월까지 매달 기부한다는 약정에 따라 이 교수는 169개월간 1억6900만원을 부산대병원에 기부하게 된다.

이런 약정 기부 배경에 대해 이 교수는 중앙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젊었을 땐 밤낮 없이 일하며 환자를 돌보는 것으로 주어진 소명을 다 할 수 있겠다고 여겼다”며 “어느 정도 나이가 들고 보니 그때처럼 일하기엔 힘에 부치는 게 사실이다. 그렇다면 기부를 통해 보탬이 되자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 교수가 부산대병원에서 일한 건 2006년부터다. 폐와 식도, 흉벽 종양 및 로봇 수술 등이 그의 전문 진료 분야다. 이 교수는 기부금 사용처에 대해선 “여전히 돈 때문에 필요한 수술을 할 수 없는 환자들을 만나곤 한다”며 “가능하면 이런 환자들이 수술을 받는 데 기부금이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이어 “두말없이 기부에 동의해준 아내에게도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고 했다. 이 교수의 아내도 의료계에 종사하고 있다고 한다.



“어려움 있지만, 지역 대학병원서 정년 맞겠다”
전국보건의료노조 총파업 첫날인 2023년 7월 13일 부산 서구 부산대병원의 일반병동 병실이 텅 비어있다. 부산대병원은 간호인력의 파업으로 환자 관리가 어려울 것이 예상되자 전날 대부분의 환자를 퇴원 조치했다. 송봉근 기자
이 교수가 약정 기부를 시작한 2023년 7월은 부산대병원이 어려움을 겪던 때다. 인력 확충 등을 요구하며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이 총파업에 돌입했다. 간호사 등 조합원 대부분이 의료 현장을 떠나며 배후 진료가 어려워지자 부산대병원은 입원 환자 1100명 중 대다수를 퇴원시키고, 하루 100건 가까이 진행되던 수술도 기약 없이 미뤄야 했다.

파업이 끝나며 한숨 돌리는 듯했지만, 지난해 2월부터는 정부가 추진한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하며 전공의 등 제자들이 병원을 떠났다. 지역 의료가 위기를 맞은 상황에서 부산대병원 등 지역 주요 대학병원 교수들에 대한 대형 2차 병원 및 수도권 병원 ‘러브콜’도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필수의료과’에 해당하는 심장혈관흉부외과에서도 지난 1년여간 의료진 피로도 누적 등 문제가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년까지 매달 월급 일부를 기부한다는 이 교수 약정엔, 어렵더라도 부산대병원에 끝까지 남아 정년을 맞겠다는 의지도 함께 담겼다. 병원에 남은 이유에 대해 이 교수는 “일차적으로는 환자들 처치를 위해서다. 또 이후에 제자들이 돌아오게 된다면, 선생이 남아 있어야 더 빨리 부산대병원을 정상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지난 23일 부산대병원 장기려관 10층 회의실에서 열린 기부금 전달식에서 이호석(왼쪽)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와 정성운 병원장. 사진 부산대병원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추진과 전공의 이탈에 대해 이 교수는 “평가나 의견을 내기 적절하지 않다”며 말을 아꼈다. 그는 다만 “의료인들이 지금의 문제 해결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면 좋을 것 같다”며 “지난 1년여간 응급 수술에 대응하느라 본래 잡아둔 수술을 불가피하게 못 하는 상황이 더러 있었다. 필수의료 분야의 전공의들 수련이 공백 없이 이뤄졌다면 많은 환자의 고통이 훨씬 줄었을 거란 생각에 안타까운 때가 많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33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먹통에 유심 재고 바닥‥SKT 대책에 고객 분통 랭크뉴스 2025.04.27
49632 김 양식장 태반이 ‘불법’…단속은 ‘찔끔’ 랭크뉴스 2025.04.27
49631 바이러스가 집 지으면 사마귀…'이것' 주의 안 하면 온가족 큰일 랭크뉴스 2025.04.27
49630 국민의힘, 오늘부터 2차 경선 투표…“이재명 이길 적임자” 호소 랭크뉴스 2025.04.27
49629 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확정…89.77% 역대 최고 득표 랭크뉴스 2025.04.27
49628 "SKT 유심, 공짜로 교체하는 법" 검색했더니 '헉'…불법 사이트·스미싱까지 등장 랭크뉴스 2025.04.27
49627 국힘 “전과자 이재명 추대식”…민주 경선 결과 폄하 랭크뉴스 2025.04.27
49626 반려견이 물고 죽이는데 주인은…대치동 고양이 사망사건 논란 랭크뉴스 2025.04.27
49625 검찰 ‘노태우 300억 비자금’ 계좌추적 랭크뉴스 2025.04.27
49624 “건강하게 못 낳아줘 미안”…30대 모친·6개월 아기 숨진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27
49623 ‘어대명’ 결말 알고도 완주…김동연·김경수, ‘5년 뒤’ 밑돌 놨다 랭크뉴스 2025.04.27
49622 [대선팩트체크] "박원순 지지 안해"·"전광훈과 따로 활동" 사실은? 랭크뉴스 2025.04.27
49621 "하늘나라 간 엄마의 마지막 선물"…유품 정리하다 나온 복권, 당첨금 무려 랭크뉴스 2025.04.27
49620 한덕수 사퇴 시한 일주일 남았다‥보수 대권구도 이번 주가 분수령 랭크뉴스 2025.04.27
49619 이재명 “선대위는 넓게…친소관계 아닌 실력 중심으로 사람 쓰겠다” 랭크뉴스 2025.04.27
49618 “건강하게 못 낳아줘 미안”…·30대 모친·6개월 아기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27
49617 교황님 누워계신데 셀카 찍다니…교황청, 조문객 촬영 금지령 랭크뉴스 2025.04.27
49616 결국 ‘이재명이냐 아니냐’… 등 돌렸던 0.7%p 움직일까 랭크뉴스 2025.04.27
49615 장례미사에 파란정장·대성당 즉석회담…트럼프 '마이웨이' 랭크뉴스 2025.04.27
49614 “국민 세금으로 메운다?” 건강보험 적자 11조원 넘어 랭크뉴스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