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23일 부산대병원 장기려관 10층 회의실에서 열린 기부금 전달식에서 이호석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가 발언하고 있다. 이 교수는 정년까지 매달 월급에서 100만원을 병원에 기부하기로 약정했다. 사진 부산대병원
“혹시라도 정년이 늘어나게 된다면, 매달 그만큼 더 기부하겠습니다.” 지난 23일 부산 서구 부산대병원 장기려관 10층 회의실에서 열린 기부금 전달식에서 이 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이호석(53) 교수가 “20번째 기부를 실천하게 돼 기쁘다”며 이같이 말했다. 부산대병원 측은 이날 이 교수의 모습을 새긴 감사패를 전달했다.



지역대학병원 교수, 月 100만원 ‘월급기부’ 왜?
27일 부산대병원에 따르면 이 교수는 2023년 7월부터 매달 급여 가운데 100만원을 병원에 기부하고 있다. 현재까지 기부 총액은 2000만원이다. 정년을 맞는 2037년 8월까지 매달 기부한다는 약정에 따라 이 교수는 169개월간 1억6900만원을 부산대병원에 기부하게 된다.

이런 약정 기부 배경에 대해 이 교수는 중앙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젊었을 땐 밤낮 없이 일하며 환자를 돌보는 것으로 주어진 소명을 다 할 수 있겠다고 여겼다”며 “어느 정도 나이가 들고 보니 그때처럼 일하기엔 힘에 부치는 게 사실이다. 그렇다면 기부를 통해 보탬이 되자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 교수가 부산대병원에서 일한 건 2006년부터다. 폐와 식도, 흉벽 종양 및 로봇 수술 등이 그의 전문 진료 분야다. 이 교수는 기부금 사용처에 대해선 “여전히 돈 때문에 필요한 수술을 할 수 없는 환자들을 만나곤 한다”며 “가능하면 이런 환자들이 수술을 받는 데 기부금이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이어 “두말없이 기부에 동의해준 아내에게도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고 했다. 이 교수의 아내도 의료계에 종사하고 있다고 한다.



“어려움 있지만, 지역 대학병원서 정년 맞겠다”
전국보건의료노조 총파업 첫날인 2023년 7월 13일 부산 서구 부산대병원의 일반병동 병실이 텅 비어있다. 부산대병원은 간호인력의 파업으로 환자 관리가 어려울 것이 예상되자 전날 대부분의 환자를 퇴원 조치했다. 송봉근 기자
이 교수가 약정 기부를 시작한 2023년 7월은 부산대병원이 어려움을 겪던 때다. 인력 확충 등을 요구하며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이 총파업에 돌입했다. 간호사 등 조합원 대부분이 의료 현장을 떠나며 배후 진료가 어려워지자 부산대병원은 입원 환자 1100명 중 대다수를 퇴원시키고, 하루 100건 가까이 진행되던 수술도 기약 없이 미뤄야 했다.

파업이 끝나며 한숨 돌리는 듯했지만, 지난해 2월부터는 정부가 추진한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하며 전공의 등 제자들이 병원을 떠났다. 지역 의료가 위기를 맞은 상황에서 부산대병원 등 지역 주요 대학병원 교수들에 대한 대형 2차 병원 및 수도권 병원 ‘러브콜’도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필수의료과’에 해당하는 심장혈관흉부외과에서도 지난 1년여간 의료진 피로도 누적 등 문제가 이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년까지 매달 월급 일부를 기부한다는 이 교수 약정엔, 어렵더라도 부산대병원에 끝까지 남아 정년을 맞겠다는 의지도 함께 담겼다. 병원에 남은 이유에 대해 이 교수는 “일차적으로는 환자들 처치를 위해서다. 또 이후에 제자들이 돌아오게 된다면, 선생이 남아 있어야 더 빨리 부산대병원을 정상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지난 23일 부산대병원 장기려관 10층 회의실에서 열린 기부금 전달식에서 이호석(왼쪽)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와 정성운 병원장. 사진 부산대병원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추진과 전공의 이탈에 대해 이 교수는 “평가나 의견을 내기 적절하지 않다”며 말을 아꼈다. 그는 다만 “의료인들이 지금의 문제 해결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면 좋을 것 같다”며 “지난 1년여간 응급 수술에 대응하느라 본래 잡아둔 수술을 불가피하게 못 하는 상황이 더러 있었다. 필수의료 분야의 전공의들 수련이 공백 없이 이뤄졌다면 많은 환자의 고통이 훨씬 줄었을 거란 생각에 안타까운 때가 많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86 여긴 압구정의 10배 번다…부자아파트 30곳 뜯어보니 랭크뉴스 2025.04.28
49685 ‘복제폰’ 노리는 SKT 해커…‘재부팅 요구’ 절대 따라선 안 돼 랭크뉴스 2025.04.28
49684 SKT, 국민 절반 피해자 만들고도 ‘이용자 책임’ 따지나 랭크뉴스 2025.04.28
49683 프란치스코의 ‘마지막 초대장’도 난민·수감자·노숙인 약자에게 향했다 랭크뉴스 2025.04.28
49682 통상협상 테이블에 ‘환율정책’ 끼워넣은 미국…‘숨은 포석’ 경계령 랭크뉴스 2025.04.28
49681 SKT, 국민 절반 피해자 만들고도 부실 안내에 ‘이용자 탓’ 궁리 랭크뉴스 2025.04.28
49680 나라는 힘든데 홀로 배불린 금융지주들… 사상 최대 실적 랭크뉴스 2025.04.28
49679 프란치스코 교황 추모 열기 계속…첫 무덤 일반 공개에 수만 명 몰려 랭크뉴스 2025.04.28
49678 ‘통합’ 14번 외친 李… 이승만·박정희 묘역부터 참배한다 랭크뉴스 2025.04.28
49677 한국·페루, 방산협력 심포지엄…"상호이익 증진 기대" 랭크뉴스 2025.04.28
49676 고객정보 털린 SKT…2500만명 ‘유심 대란’ 랭크뉴스 2025.04.28
49675 이재명, 내일 이승만·박정희 묘역까지 참배···대선 후보 첫 일정 ‘파격 행보’ 랭크뉴스 2025.04.28
49674 이재명 “압도적 정권탈환으로 ‘새 시대 열라’ 국민이 명령” 랭크뉴스 2025.04.28
49673 "김건희, 돈 맡겼다 손실만 봤다" 이 말에…尹수사 본격 재개 랭크뉴스 2025.04.28
49672 푸틴, 이란 항구 폭발 사고에 긴급 지원 지시 랭크뉴스 2025.04.28
49671 "마통 돌리며 버텼는데 부고 문자 하나 눌렀다가 5000만원 털렸어요" 랭크뉴스 2025.04.28
49670 금감원, GA 2곳 해킹 정황 포착…“고객정보 유출 여부 조사 중” 랭크뉴스 2025.04.28
49669 [사설] 자영업자 소득 3.4배가 빚, 퍼주기보다 구조적 문제 해결해야 랭크뉴스 2025.04.28
49668 ‘변방 사또’에서 ‘구대명’ 이루며 경선 압승…이재명이 걸어온 길 랭크뉴스 2025.04.28
49667 취임 100일 앞 트럼프 지지율 하락세…"역대 대통령 중 최저치" 랭크뉴스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