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가수 이미자가 27일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이미자 전통가요 헌정 공연-맥을 이음’에서 열창하고 있다. 쇼당이엔티 제공


“꿈 찾아 걸어온 지난 세월 / 괴로운 일도 슬픔의 눈물도 가슴에 묻어 놓고 / 나와 함께 걸어가는 노래만이 나의 생명.”

가수 인생 66년, 마지막 공연의 마지막날인 27일 오후 무대의 막이 오르면서 ‘엘레지의 여왕’ 이미자(84)가 나타났다. 1990년 본인이 노랫말을 쓴 ‘노래는 나의 인생’을 부르며 등장한 이미자에 이어 후배 가수 주현미와 조항조, 방송 프로그램 <미스터 트롯 3>와 <미스 트롯 3>의 진진, 김용빈, 정서주가 노래를 함께 부르며 나타났다. 어느덧 무대에는 전통가요의 맥을 잇는 가수 3대가 나란히 섰다.

1959년 ‘열아홉 순정’으로 데뷔한 이후 66년 동안 대중들과 함께 울고 웃어 온 이미자가 이날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이미자 전통가요 헌정 공연 - 맥(脈)을 이음’을 끝으로 무대에서 내려왔다. 이날 무대에서 이미자는 ‘은퇴’라는 두 글자를 직접 언급하는 것은 꺼렸다. 하지만 본인의 이름을 타이틀로 내건 마지막 무대라는 점은 분명히 했다.

이미자는 “거창하게 은퇴까지 말하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앞으로는 무대에 안 오르는 게 아니라 못 오르는 것”이라며 “음반이나 콘서트는 더 할 생각이 없고, 후배가수들을 위한 조언이나 오늘 함께한 후배 가수의 게스트 정도라면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맥을 이음’이란 공연 타이틀에 걸맞게 후배 가수들이 60년 넘도록 사랑받아온 이미자의 레퍼토리를 연이어 불렀다. 주현미가 ‘아씨’와 ‘여자의 일생’을, 조항조가 ‘흑산도 아가씨’와 ‘여로’를 열창할 때 객석에서는 박수가 터져나왔다. 뒤이어 정서주가 ‘눈물이 진주라면’과 ‘황포돛대’를, 김용빈이 ‘아네모네’와 ‘빙점’을 소화했다. 노래가 흐를 때 배경에는 이들 노래가 주제곡으로 쓰인 1960년대와 70년대 흑백 영화와 TV드라마 속 장면들이 나와 관객들의 심금을 울렸다.

가수 조항조, 주현미, 이미자, 정서주, 김용빈(왼쪽부터)가 27일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이미자 전통가요 헌정 공연-맥을 이음’에서 열창하고 있다. 쇼당이엔티 제공


하늘색 드레스로 갈아입은 그는 66년 전인 1959년 데뷔곡 ‘열아홉 순정’을 시작으로 ‘황혼의 부르스’, ‘기러기 아빠’를 소화했다.

26~27일 이틀간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이번 공연은 총 6000석의 객석이 금세 매진됐다. 세종문화회관은 1989년 데뷔 30주년 때부터 5년 단위로 대형공연을 했던 곳이다. 앞으로 다시 볼 수 없을 ‘살아있는 가요계 전설’의 공연을 찾은 이들은 주로 머리가 허옇게 새고 허리가 굽은 고령층 관객이 대부분이었다. 대중가요는 사람을 ‘그때 그 시절’로 순간이동 시키는 타임머신 같은 마법의 힘이 있다. 게다가 당대 최고의 인기 가수이자, 최고로 노래를 잘 하는 가수의 공연이니 더 말할 필요가 있을까.

사랑받은 대중가요는 그 자체가 민중의 역사나 다름없다. 공연 후반부에는 출연 가수들이 1920년대 ‘황성옛터’부터 시작해 ‘귀국선’, ‘해방된 역마차’, ‘전선야곡’, ‘가거라 삼팔선’ 등 일제시대부터 한국전쟁 전후까지 격동의 역사를 노래로 들려줬다.

공연 진행자 황수경 아나운서가 ‘팬들께 마지막 한 마디’를 부탁하자, 이미자는 “여러분이 계셨기에 그 은혜로 오늘까지 행복한 무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라며 “감사하다는 말씀 가지고는 부족할 정도”라고 말했다. 으레 팬들에게 하는 공치사가 아니었다. 이미자는 “66년 동안 가슴 아프고 못 견딜 정도의 시간도 많았다”며 대표곡 ‘동백 아가씨’의 금지곡 지정 이야기를 꺼냈다. 그는 “35주 동안 방송 차트 1위하던 곡이 하루 아침에 금지곡으로 묶였을 때 제 심정은 정말 죽어야 될까 하는 마음이었다”라고 했다. 이어 “그 곡이 22년 만에 해금됐고 그건 여러분의 사랑과 은혜 덕분”이라고 말하자 객석에서는 박수가 터져나왔다.

가수 이미자가 27일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 ‘이미자 전통가요 헌정 공연-맥을 이음’에서 열창하고 있다. 쇼당이엔티 제공


이날의 하이라이트는 이 노래 ‘동백아가씨’가 울려퍼질 때였다. 배경 영상으로 동백꽃 꽃잎이 흩날리는 가운데 이미자는 ‘헤일 수 없이 수많은’ 무대에서 불렀을 그 노래를 어느 때보다 절절하게 불렀다.

데뷔 50주년이던 2009년 발표한 ‘내 삶에 이유 있음은’을 거쳐 관객 3000명과 함께 ‘떼창’으로 불려진 ‘섬마을 선생님’을 끝으로 공연은 마무리됐다. 공연이 끝날 때 무대 화면에는 “오늘을 오래 오래 기억할게요”라는 문구가 지나갔고, 퇴장하던 한 관객은 “이제 세종문화회관은 올 일이 없네”라고 혼잣말을 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20 한덕수 사퇴 시한 일주일 남았다‥보수 대권구도 이번 주가 분수령 랭크뉴스 2025.04.27
49619 이재명 “선대위는 넓게…친소관계 아닌 실력 중심으로 사람 쓰겠다” 랭크뉴스 2025.04.27
49618 “건강하게 못 낳아줘 미안”…·30대 모친·6개월 아기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27
49617 교황님 누워계신데 셀카 찍다니…교황청, 조문객 촬영 금지령 랭크뉴스 2025.04.27
49616 결국 ‘이재명이냐 아니냐’… 등 돌렸던 0.7%p 움직일까 랭크뉴스 2025.04.27
49615 장례미사에 파란정장·대성당 즉석회담…트럼프 '마이웨이' 랭크뉴스 2025.04.27
49614 “국민 세금으로 메운다?” 건강보험 적자 11조원 넘어 랭크뉴스 2025.04.27
49613 "은퇴란 말은 하기 싫지만..." '엘레지의 여왕' 이미자, 66년 음악 인생 마무리 랭크뉴스 2025.04.27
49612 경기 광주서 30대 모친·6개월 아기 숨진 채 발견…현장엔 유서 랭크뉴스 2025.04.27
49611 단식부터 흉기 피습, 총선 압승에 뒤집힌 사법리스크까지... '어대명' 만든 5가지 장면 랭크뉴스 2025.04.27
49610 빨리 찾아온 세 번째 기회‥'실용주의'로 중도 표심 잡나? 랭크뉴스 2025.04.27
49609 "슬픔 아닌 희망으로 보내"... 교황의 마지막 길, 한국인 1000명 배웅 랭크뉴스 2025.04.27
49608 ‘감세 경쟁’ 제동 걸고 공약 차용… 2위에도 웃은 김동연 랭크뉴스 2025.04.27
49607 "국민 도구 될 준비된 후보‥진짜 대한민국 만들겠다" 랭크뉴스 2025.04.27
49606 169개월간 매달 100만원…부산대 흉부외과 교수의 '기부할 결심' 랭크뉴스 2025.04.27
49605 이재명, 한덕수 출마 임박 관측에 "내란 세력 귀환" 비판 랭크뉴스 2025.04.27
49604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89.77% 역대 최대 득표율 랭크뉴스 2025.04.27
49603 김동연∙김경수 지지자도 환호했다…이재명 수락연설 어땠길래 랭크뉴스 2025.04.27
49602 '베이루트 참사' 닮은 이란 항구 대폭발…"고체연료 물질 보관" 랭크뉴스 2025.04.27
49601 AI 교과서 알박기? 이주호 장관에게 물어야 할 3100억원 [기자메모] 랭크뉴스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