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1> K팝 위기론

편집자주

K컬처의 현안을 들여다봅니다. 김윤하, 복길 두 대중문화 평론가가 콘텐츠와 산업을 가로질러 격주로 살펴봅니다.

그룹 방탄소년단(BTS)이 2022년 4월 3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MGM 그랜드 가든 아레나에서 열린 제64회 그래미 어워즈 시상식에서 축하 공연을 펼치고 있다. 라스베이거스=AFP 연합뉴스


언젠가부터 ‘케이(K)팝 위기론’이 슬슬 들려오기 시작했다. 물론 K팝을 오래 지켜봐온 사람이라면 꿈쩍도 하지 않을 소리다. 명절 잔소리에 가까운 추임새로, K팝은 사람들 입에 오르내린 이래, 위기가 아닌 때를 꼽는 게 어려운 환경에서 태어나고 자라왔다. 다만 아예 근거가 없진 않다. 특히 지금까지 K팝 성공의 가장 신뢰할 만한 근거 자료였던 차트 성적과 음반 판매량에서 보이는 둔화세가 뚜렷하다.

'K팝 음반 1억 장 시대' 꺾여



우선 미국 빌보드 '핫 100' 싱글 차트부터 살펴보자. 2020년대 들어 BTS와 블랙핑크 두 그룹을 중심으로 좋은 기록을 만들어온 K팝은 2023년에는 뉴진스, 트와이스, 피프티피프티, 2024년에는 르세라핌, 아일릿, 스트레이 키즈 등의 새로운 이름을 함께 올렸다. 작년 말에는 올해까지도 역주행 중인 로제의 대 히트곡 '아파트'가 터지기도 했다. 아직 4개월밖에 지나지 않아 조금 야박한가 싶지만, 올해 핫 100에 이름을 올린 K팝 가수는 BTS와 블랙핑크 멤버들뿐이다.

그룹 블랙핑크가 2023년 9월 17일 서울 구로구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린 월드 투어 '본 핑크'(BORN PINK)의 서울 피날레 공연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K팝 음반 판매량은 하락세가 좀 더 선명하다. 서클 차트 통계에 따르면 연간 음반 판매량 1억1,578만 장으로 2023년 열렸던 ‘1억 장 시대’는 아쉽게도 1년 만에 문을 닫았다. 2024년 연간 음반 판매량은 9,328만장, 전년 대비 19.4%가 감소했다. 음반 판매량 100만 장을 기준으로 한 ‘밀리언셀러’도 2023년 26팀에서 2024년 24팀으로 소폭 감소했다. 예전 같지 않다는 소리가 나와도 이상할 건 없다. K팝 기준 인기 유무를 가장 빨리 확인할 수 있는 척도로 활용해 온 음반 판매량과 직결된 이슈였기에 더 예민하게 받아들여지는 부분도 간과할 수 없다.

현시점에서 말할 수 있는 건, K팝 음반 판매량은 확실히 위기에 봉착했다는 정도다. 흔히 말하듯 코로나 시기 일시적이고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밖에 없었던 산업 구조와 남다른 팬덤 화력 외에도 하나 더 짚고 넘어가고 싶은 게 있다. 내가 좋아하는 그룹의 성적을 위해, 구매량에 따른 줄 세우기식 추첨으로 운영되는 팬 이벤트에 당첨되기 위해 듣지도 않는 음반을 사재기하는 그릇된 사랑이 세계적으로 퍼지는 걸 알면서도 ‘K팝의 성공’을 쉽게 말할 수 있을까.

비-아이돌 팝 키우고 K팝 저변 넓혀야

밴드 웨이브 투 어스. 웨이비 제공


BTS나 블랙핑크가 컴백해 총 매출만 늘어나면 성장인가. 지난 수년간 끝없이 우상향하는 그래프를 보며 성장의 기쁨만큼 공고해지는 기형적 산업 구조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멈추지 않은 이들이 있음을 기억한다. 어쩌면 이건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던 치킨 게임이 이제야 비로소 제 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일지도 모른다.

‘위기’란 결국 무엇을 성공과 성장으로 생각하느냐에 달렸다. K팝의 경우, 음반 판매량은 흔들렸지만 공연 매출은 점차 상승세를 타고 있다. 하이브는 2024년 공연 부분 매출만 4,509억 원으로 전년 대비 25.6% 상승했고, SM엔터테인먼트 역시 2024년 4분기 콘서트 매출 총 22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8.2% 증가했다. 이미 월드 투어가 가능한 규모로 성장한 무르익은 선배의 뒤를 이어 투어스, 아일릿, 키키, 하츠투하츠 등 데뷔부터 주목받는 그룹들이 적지 않다.

걸그룹 하츠투하츠(Hearts2Hearts)가 2월 24일 서울 광진구 예스24라이브홀에서 열린 첫 번째 싱글 언론 공개회에서 타이틀 곡 '더 체이스'를 선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세계적인 음악 플랫폼 스포티파이 월별 청취자 수 800만 명을 넘기며 아시아, 유럽, 북미에서 월드 투어를 성황리에 개최하고 있는 밴드 웨이브투어스나 싱글 ‘워시 어웨이(Wash Away)’로 일본 주요 음악 차트인 ‘도쿄 핫 100’ 1위에 오른 얼터너티브 K팝 그룹 바밍타이거까지 비-아이돌 팝에서 선전하는 이들의 의미 있는 성과를 절대 놓쳐서는 안 된다.

해외를 중심으로 아이돌 팝만이 아닌 한국 대중음악 전체를 K팝이라 부르는 층도 해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K팝의 위기’는 위기를 말하는 사람이 무엇을 K팝이고, 또 무엇을 위기라고 생각하는지에 따른 결과다. 쉼없이 변하는 K팝 지형에서 어떤 식으로든 더 멀리 보는 사람이 더 오래 살아남을 거란 사실만이 분명하다.

김윤하 대중문화평론가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16 결국 ‘이재명이냐 아니냐’… 등 돌렸던 0.7%p 움직일까 랭크뉴스 2025.04.27
49615 장례미사에 파란정장·대성당 즉석회담…트럼프 '마이웨이' 랭크뉴스 2025.04.27
49614 “국민 세금으로 메운다?” 건강보험 적자 11조원 넘어 랭크뉴스 2025.04.27
49613 "은퇴란 말은 하기 싫지만..." '엘레지의 여왕' 이미자, 66년 음악 인생 마무리 랭크뉴스 2025.04.27
49612 경기 광주서 30대 모친·6개월 아기 숨진 채 발견…현장엔 유서 랭크뉴스 2025.04.27
49611 단식부터 흉기 피습, 총선 압승에 뒤집힌 사법리스크까지... '어대명' 만든 5가지 장면 랭크뉴스 2025.04.27
49610 빨리 찾아온 세 번째 기회‥'실용주의'로 중도 표심 잡나? 랭크뉴스 2025.04.27
49609 "슬픔 아닌 희망으로 보내"... 교황의 마지막 길, 한국인 1000명 배웅 랭크뉴스 2025.04.27
49608 ‘감세 경쟁’ 제동 걸고 공약 차용… 2위에도 웃은 김동연 랭크뉴스 2025.04.27
49607 "국민 도구 될 준비된 후보‥진짜 대한민국 만들겠다" 랭크뉴스 2025.04.27
49606 169개월간 매달 100만원…부산대 흉부외과 교수의 '기부할 결심' 랭크뉴스 2025.04.27
49605 이재명, 한덕수 출마 임박 관측에 "내란 세력 귀환" 비판 랭크뉴스 2025.04.27
49604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89.77% 역대 최대 득표율 랭크뉴스 2025.04.27
49603 김동연∙김경수 지지자도 환호했다…이재명 수락연설 어땠길래 랭크뉴스 2025.04.27
49602 '베이루트 참사' 닮은 이란 항구 대폭발…"고체연료 물질 보관" 랭크뉴스 2025.04.27
49601 AI 교과서 알박기? 이주호 장관에게 물어야 할 3100억원 [기자메모] 랭크뉴스 2025.04.27
49600 김동연 "압도적 정권교체에 온 힘…이재명이 승리 이끌 것 확신" 랭크뉴스 2025.04.27
49599 당원도 원내도 장악… 세 번째 대권 나서는 李 랭크뉴스 2025.04.27
49598 [영상] ‘가수 이미자’의 마지막 ‘동백아가씨’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27
49597 경기 광주시 한 상가건물서 신원 미상 남성 시신 발견... 경찰, 수사 중 랭크뉴스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