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대 30% 할인 ‘공공앱 차등 가격제’
“혜택 비용을 누가 부담할지가 관건”
서울시가 지난 25일 중구 시청에서 신한은행과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 18개사(BHC, BBQ, 굽네치킨, 자담치킨, 네네치킨, 노랑통닭, 처갓집양념치킨, 맘스터치, 가마로강정, 바른치킨, 보드람, 꾸브라꼬, 치킨마루, 티바두마리치킨, 푸라닭, 호치킨, 60계, 걸작떡볶이치킨) 관계자 등과 ‘서울배달 플러스 가격제’ 도입을 위한 협약을 맺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치킨이 먹고 싶을 때는 ‘땡겨요’”에 서울시가 승부수를 띄웠다. 다른 메뉴는 ‘배달의 민족’ ‘쿠팡이츠’ 등 기존 공룡 배달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구입하더라도 치킨만큼은 ‘땡겨요’가 제일 싸다는 인식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한다는 전략이다.

다만 한계도 명확하다. 이미 고공상승한 치킨값은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각종 할인쿠폰을 통한 가격인하를 시도하는 만큼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서울시는 지난 25일 서울시청에서 공공앱 ‘땡겨요’의 운영사인 신한은행과 18개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 등과 ‘서울배달 플러스 가격제’ 도입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고 27일 밝혔다.

서울배달 플러스 가격제는 서울시와 신한은행, 프랜차이즈 본사가 치킨값을 분담해 가격을 낮추는 방식이다. 소비자가 땡겨요에서 치킨을 주문하면 서울사랑상품권 등 배달전용상품권 할인(15%)에 땡겨요 할인쿠폰(5%), 프랜차이즈 본사 판촉 할인(10%) 등을 통해 최대 30%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예를들어 배민에서 한집배달(수수료 3400원)로 BBQ 황금올리브치킨(23000원)과 사이다 1.25ℓ(2500원)를 주문하면 28900원이지만, 땡겨요로 주문하면 배달료(최대 4000원)를 포함해도 각종 할인을 받아 약 2만원으로 치킨을 사먹을 수 있다.

프랜차이즈산업협회 소속 치킨 업종 가맹본부들은 할인쿠폰 등을 활용해 공공앱 판매 가격을 민간앱의 판매가격과 차등화하는 ‘공공배달앱 전용 가격제’ 추진 방안을 논의 중이다. 치맥 성수기인 여름시즌에 맞춰 치킨 업종 서울 가맹점 8000여 곳의 땡겨요 입점도 추진 중이다.

땡겨요는 입점 업체에게 2%의 낮은 수수료를 부과하고, 자영업자의 정산주기를 단축하는 등 각종 혜택을 제공하고 있음에도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지 못하면서 업주들의 가입률도 낮은 편이다. 소비자들의 입장에서는 편의성이 낮은 앱 인터페이스도 문제로 지적돼 왔다.

지난해 말 기준 배민의 시장점유율은 58.7%로, 쿠팡이츠(22.7%), 요기요(15.1%) 등 상위 3개 업체가 전체 시장점유율의 96%를 차지하고 있다. 땡겨요의 점유율은 3%대에 불과하다.

협회 관계자는 “적어도 치킨만큼은 ‘땡겨요’가 가장 싸다는 인식을 만들어 다른 외식업종으로 확산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치킨 업종은 배달앱 전체 주문의 약 39%를 차지할 정도로 소비자들이 수요가 높다.

문제는 ‘서울배달 플러스 가격제’가 지속가능할 수 있느냐다. 배달전용상품권(15%)할인을 받으려면 각 자치구별로 발행하는 서울사랑상품권을 구입해야 한다. 땡겨요와 각 프랜차이즈 업체에서 할인프로모션을 진행해 최대 30%까지 저렴하게 치킨을 구입할 수 있더라도 할인혜택이 연중 상시로 이뤄질 수 있을지도 알 수 없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향후 사업의 핵심은 소비자를 끌어들이기 위한 혜택 비용을 누가 어떻게 지급할 것인지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치킨업계에서 논의 중인 차등가격제를 적용할 경우 민간앱에서의 할인율이 줄어들어 매출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때 본사가 가맹점에 비용을 떠넘기지 않아고 계속 감내해야 한다”며 “공공앱 소비자에게 혜택을 주기 위한 지속가능한 지원이 있는지를 찾아야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537 [속보] 이재명, 전국 당원투표 누적 90.40% 득표 압승 랭크뉴스 2025.04.27
49536 검찰, 노태우 일가 계좌 추적 착수···‘300억 비자금’ 수사 속도 내나 랭크뉴스 2025.04.27
49535 [현장] 불안한 SKT 이용자들…“사고 치고, 수습은 고객에 맡겨” 분통 랭크뉴스 2025.04.27
49534 “큰 그림 만들자” 통일교-건진법사 대화에 관저 용역 ‘희림’까지 등장 랭크뉴스 2025.04.27
49533 'SKT 유심교체' 악용 피싱 주의보…SKT 가입자 몰리며 PASS 먹통 랭크뉴스 2025.04.27
49532 줄줄이 대기 중인 백종원 예능, 더본코리아 논란에도 강행할까 랭크뉴스 2025.04.27
49531 SKT 유심 해킹 후폭풍… 대리점 재고 소진·PASS 접속 지연 랭크뉴스 2025.04.27
49530 한동훈, 한덕수 겨냥 "보수 중심은 국힘…당밖 지지율 월등한 분 있나" 랭크뉴스 2025.04.27
49529 일정 비운 韓대행, 금주 대선 출마 앞두고 막판 점검 관측 랭크뉴스 2025.04.27
49528 한덕수 대선 출마 가시화···이르면 30일 총리직 사퇴 랭크뉴스 2025.04.27
49527 국민의힘 주자들 너도나도 '한덕수'… "그러니 나 찍어달라" 막판 총력전 랭크뉴스 2025.04.27
49526 “예금금리 내려 역대급 이자장사” 4대 금융그룹 1분기에만 5조 챙겼다 랭크뉴스 2025.04.27
49525 한덕수 쪽 “출마 안 하기 어려운 상황”…30일께 출사표 전망 랭크뉴스 2025.04.27
49524 휴일 기차표 ‘출발 직전’ 취소 수수료 지금보다 2배 랭크뉴스 2025.04.27
49523 ‘을지문덕’이 국힘 경선에 왜 나와? 랭크뉴스 2025.04.27
49522 이복현 금감원장 “상법 개정, 주주 보호가 핵심… 보수 가치와 일치” 랭크뉴스 2025.04.27
49521 트럼프 나홀로 ‘파란색’, 벨기에 왕비 또 진주목걸이…교황 장례미사 결례 복장 ‘입방아’ 랭크뉴스 2025.04.27
49520 정치 테마주·관세 무풍 종목은 올랐다…트럼프 리스크에도 상승한 주식은? 랭크뉴스 2025.04.27
49519 국힘주자들, 한덕수 단일화 주도권 포석…여론조사 경선 등 거론 랭크뉴스 2025.04.27
49518 한덕수 지지율 6%인데…"단일화 환영" 국힘 경선 흔드는 이유 랭크뉴스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