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1분기 영업이익 약 7조4400억원
2개 분기 연속 삼성전자 전사 실적 추월
2개 분기 연속 삼성전자 전사 실적 추월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강은구 한국경제신문 기자
SK하이닉스가 1분기 7조원 넘는 영업이익을 내며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뿐 아니라 삼성전자 전사 실적을 2개 분기 연속 추월했다. 견조한 실적 행진은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인공지능(AI) 메모리 시장의 막강한 지배력 덕분으로 풀이된다.
SK하이닉스가 4월 24일 공시한 연결 기준 4분기 영업이익은 7조4405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158% 늘었다. 역대 최대 기록을 낸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8조828억원)에 이어 둘째로 높은 성과다. 이로써 SK하이닉스는 분기 영업이익에서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부인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뿐 아니라 가전·모바일 등을 모두 포함한 삼성전자 전사 영업이익을 뛰어넘었다.
삼성전자의 확정 실적이 아직 나오진 않았지만 올해 1분기 삼성전자의 잠정 영업이익은 SK하이닉스보다 8405억원 적은 6조6000억원이며 증권가에서는 이 중 DS부문 메모리 사업부의 영업이익을 3조원 초반으로 추정 중이다.
올해 2분기도 SK하이닉스는 8조원 넘는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예상돼 삼성전자를 또 앞지를 가능성이 커보인다.
호실적의 배경은 AI 칩에 쓰이는 HBM에서 시장 지배력을 공고히 한 덕분으로 분석된다. SK하이닉스는 HBM 판매 호조에 힘입어 영업이익률을 올해 1분기까지 8분기 연속 개선했다.
지난 2023년 1분기 마이너스(-) 67% 수준에 불과했던 영업이익률은 같은 해 4분기에 3%로 전환하더니 매 분기 상승하고 있다. 2024년 1분기 23%였던 영업이익률은 올해 1분기 42%로 두 배 가까이 확대됐다. SK하이닉스는 전 세계 HBM 시장점유율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 30여 년간 ‘메모리 1위’를 지켰던 삼성전자를 제치고 전 세계 D램 시장 1위에 등극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D램 시장에서 SK하이닉스가 점유율 36%를 차지했으며 삼성전자 34%, 미국 마이크론 25%로 뒤를 이었다.
SK하이닉스는 1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영업이익률 개선은 AI로 인한 메모리 사업의 구조적 변화와 높아진 경쟁력을 입증한 결과로 메모리 사이클 조정기에도 사업 체질 개선을 위한 노력 덕분”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