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연합뉴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6일(현지시간) “‘국민의 소중한 세금을 가장 효과적으로 써야한다’는 재정의 기본원칙에 부합하고 신속한 처리가 전제될 경우, 국회의 추가경정예산안 논의에 유연하게 임하겠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미국 워싱턴D.C.에서 화상 연결을 통해 개최한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F4회의)에서 “현재의 경제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정부는 12조2000억원 규모의 추경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추경안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등은 증액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최 부총리가 “유연하게 임하겠다”고 언급한 것은 증액 논의에도 동참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최 부총리는 “건설투자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민간·공공, 건축·토목 전 분야에 걸쳐 부진 요인을 면밀히 점검하고 근본적인 활성화 방안을 강구할 것”을 지시했다.

참석자들은 “최근 국내 금융·외환시장은 변동성이 다소 완화됐지만, 미국의 관세정책 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큰 만큼 F4회의를 중심으로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대응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관련해서는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경제심리 회복이 지연된 가운데 폭설·한파, 산불, 교량 붕괴 등 잇따라 발생한 일시적·이례적 요인이 중첩되며 건설부문을 중심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이어 “경기 대응을 위한 다양한 거시정책 조합을 지속적으로 점검, 논의해 나가겠다”고 했다.

최 부총리는 미국과의 ‘2+2 통상협의’와 G20(주요20개국) 재무장관회의 등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이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311 [단독] 대선 딥페이크 판치자, 국과수 반격…'제우스 방패' 띄웠다 랭크뉴스 2025.04.27
49310 [트럼프 100일] 극단적인 '美우선주의' 추진에 국제사회 대혼돈 랭크뉴스 2025.04.27
49309 고환율·고관세·대선… 변수 속 ‘강남부자’ 투자 공식은?[박지수의 재테크 바이블] 랭크뉴스 2025.04.27
49308 시작도 전에 시끌시끌…카카오 새로운 ‘친구톡’이 뭐길래[산업이지] 랭크뉴스 2025.04.27
49307 “사람에게 충성 안 해” 발언 되돌려준 대대장…내내 눈 감은 윤 전 대통령 [피고인 윤석열]④ 랭크뉴스 2025.04.27
49306 '비둘기파'연준에 국고채 금리도 하락…3년물 금리 3년만에 최저 [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4.27
49305 '인제 산불' 진화 작업, 헬기 35대 투입 재개…진화율 98% 랭크뉴스 2025.04.27
49304 프란치스코 교황 영면에 들다…전세계 애도속 장례 엄수(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27
49303 인제산불 진화율 93%·밤샘 진화…일출 동시에 헬기 35대 투입(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27
49302 유영철도 개도살로 시작했는데…동물 사체 훼손 처벌 없다, 왜 랭크뉴스 2025.04.27
49301 "용적률 상향, GTX-F까지" 이재명 부동산 공약, 국힘과 비교해보니 [헬로홈즈] 랭크뉴스 2025.04.27
49300 낮 최고 17∼27도…전국 강풍 불고 건조 '불조심' 랭크뉴스 2025.04.27
49299 미중 무역전쟁의 이면…트럼프 '한국 조선업' 러브콜한 이유 랭크뉴스 2025.04.27
49298 대선 전 국회 '마지막 임무' 추경…'증액 이견' 속 성과 낼까 랭크뉴스 2025.04.27
49297 "공항서 알몸 검색까지 당했다"…하와이서 쫓겨난 獨 소녀들,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27
49296 "지금 비행기서 내리실 분? 430만원 드려요"…'급하차' 제안한 항공사, 왜? 랭크뉴스 2025.04.27
49295 대법 '이재명 사건' 결론 언제…대선후보 등록 전? 5월22일? 랭크뉴스 2025.04.27
49294 美와 핵협상 중 이란 항구서 큰 폭발…8명 사망 750명 부상(종합3보) 랭크뉴스 2025.04.27
49293 "커피머신 '5100원 파격특가' 믿고 샀는데 달랑 '사진 1장' 왔습니다" 랭크뉴스 2025.04.27
49292 美소비자 '선구매·후결제' 서비스 이용급증…소비압박 신호 랭크뉴스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