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6일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호남권 합동연설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민주당의 심장’ 호남권(광주·전북·전남)에서도 90%에 육박하는 득표율로 압도적 1위를 재확인했다. 하지만 이 지역 투표율은 앞서 순회경선을 끝낸 다른 지역보다보다 낮은 53.67%에 그쳤다.

이 후보는 이날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호남권 순회경선에서 득표수 17만8090표, 득표율 88.69%를 확인한 뒤 기자들과 만나 “현재 위기 상황이기 때문에 우리 호남인들께서 (저한테) 더 큰 기대와 책임을 부여해준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의 호남권 득표율은 충청권(88.15%)이나 영남권(90.81%)과 엇비슷한 수준이다. 이낙연 전 국무총리와 경쟁했던 2021년 대선 후보 경선 때 이 후보가 전북 54.55%, 광주·전남 46.9%를 득표한 데 견주면 2배 가까이 많은 지지를 얻은 것이다.

하지만 호남 권리당원들의 투표율은 53.67%로 충청권(57.87%), 영남권(70.88%)보다 낮았다. 지난 대선 경선의 이 지역 투표율(55.23%)보다도 조금 낮다. 이를 두고 이 후보는 당원 숫자가 워낙 많다 보니 투표율이 낮을 수도 있다. 당원 수, 투표자 수가 늘어난 부분도 감안해달라”고 말했다. 현재 호남 권리당원은 37만4141명으로, 이번 경선엔 20만809명이 참여했다. 3년 전 권리당원은 20만4014명, 투표자는 11만2673명이었다.

민주당은 호남권 투표율을 둘러싼 세간의 관심을 의식한 듯, 당원이 늘었다는 점을 이날 여러 차례 강조했다. 순회경선장에서 투표 결과를 발표하려고 연단에 오른 박범계 당 선거관리위원장은 “투표율은 지난 대선과 비슷하지만, 지난 대선 호남권 권리당원수는 21만명, 이번 대선은 37만명”이라고 말했다.

투표율이 조금 줄었는데도 지난 대선 경선과 다르게 이 후보가 압승한 것은 지난 대선 이후 3년 동안 이 후보 지지층이 대거 입당해 당원 구조가 재편됐고, 두 차례 대표 연임으로 민주당 ‘이재명 체제’가 강고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분위기 속에 특별한 대안이 없다는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하나의 권역에서 8만명의 당원이 더 투표했다는 것은 그만큼 정권교체에 대한 강력한 열망이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경수 후보(3.90%)와 김동연 후보(7.41%)는 호남권에서도 한 자릿수 득표율을 벗어나지 못했다. 김경수 후보는 “이번 대선에서 정권교체 열망이 어느 때보다 강하고 더군다나 계엄과 내란에 대해서는 호남 지역민들은 더 민감하게 느낄 수밖에 없다”며 “그런 점에서 당선 가능한 후보를 중심으로 대선을 치러달라는 뜻이 반영됐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김동연 후보는 “국민 여론조사가 남아있기 때문에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지금까지 세 후보의 누적 득표율은 이 후보 89.04%, 김경수 후보 4.42%, 김동연 후보 6.54%다. 민주당 대선 후보는 마지막인 수도권 순회경선이 끝나는 27일 확정된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367 [속보]강원 인제 산불 20시간만에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4.27
49366 배상금만 무려 1.5조…포항시민 96%가 뛰어든 '이 소송'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27
49365 차기 교황은?… 콘클라베 이르면 내달 6일 시작 랭크뉴스 2025.04.27
49364 "尹투르크 국견 年사육비 670만원 지자체서 부담…개선책 시급" 랭크뉴스 2025.04.27
49363 러시아 "북한군이 쿠르스크 지역 우크라 격퇴에 도움" 첫 인정 랭크뉴스 2025.04.27
49362 "어제의 적이 오늘의 친구"...현대차·포스코 전격 ‘동맹’ 랭크뉴스 2025.04.27
49361 홍준표 "김문수 '일본 국적' 발언, 뉴라이트 역사관"‥탄핵 반대파' 설전 랭크뉴스 2025.04.27
49360 트럼프·젤렌스키 '15분 만남'...교황 장례 계기 외교 '들썩' 랭크뉴스 2025.04.27
49359 [단독] 요거트 아이스크림 ‘요아정’ 다시 매물로… 신생 PE 인수한지 8개월만 랭크뉴스 2025.04.27
49358 "출동한 경찰이 현관문 뜯었어요"…앞으론 빨리 보상해준다 랭크뉴스 2025.04.27
49357 헌정수호 합의 민주당 등 야5당, 교섭단체 논란 왜? 랭크뉴스 2025.04.27
49356 정의로운 항명, 고통스런 대가 [창+] 랭크뉴스 2025.04.27
49355 트럼프 “푸틴, 전쟁중단 원치않는듯…러시아에 금융제재할수도” 랭크뉴스 2025.04.27
49354 모성이 강하다고?... 남성의 '양육 본능' 무시하지 말라 랭크뉴스 2025.04.27
49353 러너들이 점령한 서울의 주말…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랭크뉴스 2025.04.27
49352 [교황 장례 르포] 눈물로 떠나보낸 추모객들 "고마워요, 프란치스코" 랭크뉴스 2025.04.27
49351 "윈프리 비만약 투약했네"…네티즌에 딱 걸린 '오젬픽 발' 증상 랭크뉴스 2025.04.27
49350 13년 전 중국서 마약 밀수하고 해외 도피한 50대의 최후 랭크뉴스 2025.04.27
49349 민주 경선 호남 투표율 53%…이재명 득표율 4년 전보다 ‘껑충’ 랭크뉴스 2025.04.27
49348 [정책 인사이트] 결혼식장 사용료 1400만원 시대… 카페 무료 대관·1만원 야외 광장 제공하는 지자체들 랭크뉴스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