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거제씨월드에서 지난해 9월 새끼 돌고래가 태어난 지 열흘 만에 목숨을 잃었다. 사진은 이달 태어난 또 다른 새끼 돌고래(노란색 원)의 모습. 핫핑크돌핀스 제공


"오히려 상 줘야 할 것 같은데", "고래들 철저히 금욕시키라는 거냐"

경찰이 수족관 내 고래류 자연 증식을 '신규 보유'로 처벌하기는 어렵다
고 결론 내린 것을 비판하는 기사(
본보 4월 19일 보도
)에 달린 댓글이다.

연관기사
• "수족관 내 고래 번식시켜도 처벌 못해?"···동물원수족관법 무용지물 되나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41817280003466)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는 것은 분명 기쁘고 환영할 만한 일이다. 하지만
수족관 안에서 새끼 돌고래가 태어나는 것을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
하고, 걱정하고, 비난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수족관에서 태어난 고래류가 건강하길 바라는 마음이지만
이들에게 주어진 삶은 혹독
하다.
수족관이 고래류에게 적절한 사육환경을 제공할 수 없다
는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망망대해를 누비고 무리와 교류하며 살아야 하는 고래류에게 비좁은 수족관에서 습성을 거스르는 쇼를 시키는 것을 정당화하긴 어렵다.

동물자유연대와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이 거제씨월드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설 폐쇄를 촉구했다. 동물자유연대 제공


실제
수족관에서 태어난 고래류는 오래 살지 못한다
. 지난해 9월 기준
해양환경단체 핫핑크돌핀스
에 따르면
퍼시픽리솜(옛 퍼시픽랜드)과 장생포 고래생태체험관, 거제씨월드
에서 태어난
돌고래의 사망은 확인된 사례만 10건에 달한다.
확인되지 않은 것까지 포함하면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족관에서 태어난 고래 중 살아있는 경우는 3마리
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정부는
2023년 12월부터 동물원 및 수족관의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 시행
을 통해
동물원, 수족관이 고래류를 새로 '보유'하는 것을 금지
하고 있다. 논란이 된 건
거제씨월드에서 태어난 고래가 '신규 보유'에 포함되는지
여부였다.

제주 돌고래체험장 퍼시픽리솜(옛 퍼시픽랜드)에서 돌고래체험시설인 거제씨월드로 무단 반출돼 지내고 있는 큰돌고래 '아랑'과 새끼 돌고래. 핫핑크돌핀스 제공


경남경찰청과 거제경찰서
는 "수족관에서 번식을 해도 된다는 건 아니지만 처벌하기는 어렵다"고 결론 내렸다. 여러 이유 중 하나는 "동물원수족관법은 특별법이므로 고의범 처벌을 기본으로 하는데
고의성을 발견하지 못했다
"는 것이었다. 또 자연 증식 개체가 금지 대상에 포함되더라도
시설 부재 등으로 보낼 곳이 없다는 현실적인 이유
도 들었다.

시민단체와 전문가들은 경찰이 제시한 이유에 대해 이미 처벌하지 않겠다는 결론을 내고 근거를 대는
'답정너식'에 불과하다
고 비판했다. 해양동물전문 수의사인
이영란 플랜오션 대표
는 "야생에서 암수는 따로 살다 번식을 위해서만 만난다"며 "함께 생활하면 번식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번식이 될 걸 알면서도 한 수조에 뒀다는 건 고의적이라는 얘기다.

울산 장생포 고래생태체험관에 살고 있는 아기돌고래 고장수(오른쪽)의 다섯 번째 생일을 맞아 수족관 앞에 생일케이크가 놓여있다. 고생생태체험관 제공


한재언 동물자유연대 법률지원센터 변호사
는 "사후 방안이 없다고 처벌하지 못한다는 건 법률에 근거가 없는 자의적 해석"이라고 했다. 자연 증식 개체가 금지 대상에 포함된다면 그대로 처벌하고, 이후에 몰수한다면 고래를 다른 수족관으로 보내는 방법을 찾으면 될 일이다.

수족관 내 번식이 이뤄지면 어떻게 할지, 앞으로 대책은 있는지
해수부에 물었다
. 해수부 관계자는 "가정해서 말할 수는 없다. 구체적 상황이 됐을 때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만 내놨다. 법 취지가 좋더라도
실효성이 없다면 무용지물
일 뿐이다.
수족관에 남아 있는 고래류 20마리를 생각하면 답답하고 미안하다
.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114 불안한 SKT 가입자들, 무상 교체 전부터 유심 바꾸려 긴 줄 랭크뉴스 2025.04.26
49113 익산서 부모 살해 30대 긴급체포…범행 후 흉기 난동(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26
49112 재건축·재개발에서 사감정을 하는 이유[박효정의 똑똑한 감정평가] 랭크뉴스 2025.04.26
49111 [속보] 강원 인제 하남리 산불 확산… 인근 주민들 대피 랭크뉴스 2025.04.26
49110 인제 하남리 산불, 대응 2단계 격상…산불 인근 주민 대피 랭크뉴스 2025.04.26
49109 한동훈 측 “지지율 상승세… 한덕수 변수 영향 안 받을 것” 랭크뉴스 2025.04.26
49108 작가의 기억 오류냐, 감정 실패냐... 천경자 '미인도' 위작 논란 진실은 [사건 플러스] 랭크뉴스 2025.04.26
49107 [속보] 인제 산불로 서울양양고속도로 인제IC 인근 양방향 통제 랭크뉴스 2025.04.26
49106 고양 도로 오수관 공사현장 매몰 사고…사상자 2명 랭크뉴스 2025.04.26
49105 “내 아들 건드리면 죽인다”… 50대 母, 전과자 전락 랭크뉴스 2025.04.26
49104 우순경 총기난사 비극 43년 만에… 유가족에 고개 숙인 경찰 랭크뉴스 2025.04.26
49103 '올여름 日대지진 난다'…홍콩 SNS 확산에 日정부 공식 입장 랭크뉴스 2025.04.26
49102 관악산에서 하산하던 60대 등산객 추락해 사망 랭크뉴스 2025.04.26
49101 "동생이 부모님 살해한 것 같다"…익산 아파트서 아들 긴급 체포 랭크뉴스 2025.04.26
49100 교황 마지막 휴가는 67년 전…주변 만류에도 "일하다 눈 감겠다" 랭크뉴스 2025.04.26
49099 비트코인에 다시 불 붙인 ‘이 남자’...“규제 손볼 것” 랭크뉴스 2025.04.26
49098 샌프란시스코 이정후, 3경기 연속 안타···‘오심 논란’ 삼진도 랭크뉴스 2025.04.26
49097 비트코인, 9만5천달러선 탈환…“금과 나란히 간다”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26
49096 날 풀렸지만 덜 풀린 몸 ‘발목’ 잡았네 랭크뉴스 2025.04.26
49095 미 CIA 부국장 아들, 러시아군으로 우크라전 참전해 전사 랭크뉴스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