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워싱턴특파원단 간담회
"관세, 물가보단 경기 영향
통화정책, 5월 경기예측 바꾸며 생각해볼 것"
"美中 관세협상 안되면 90일 유예 연장돼도 경제비용 커"
세계 각국 당국자 반응 키워드는 '불확실성'
"재정 어려운 상황서 위기 발생 시 대응
가능한지 우려 많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현지 시간) 워싱턴DC 인근 식당에서 간담회를 하고 있다. 워싱턴특파원단.

[서울경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한미 2+2 협의에서 미국이 환율 관련 별도의 논의를 하자고 한 것에 대해 "긍정적인 면이 하나 있다면 정치인이나 무역 분야가 아닌 미 재무부가 이야기하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25일(현지 시간) 워싱턴DC 인근 식당에서 가진 특파원 간담회에서 "미 측이 무슨 이야기를 할지는 들어봐야 할 것 같다"며 이 같이 말했다. 미국 정치인, 무역 분야 담당자는 환율정책 관련 우리에 일방적인 요구를 할 수 있겠지만 금융시장을 잘 아는 재무부와 협상을 한다는 것은 그나마 긍정적이란 주장으로 풀이된다. 앞서 24일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석한 한미 2+2 회의에서 한미는 기재부와 미 재무부간 환율정책 관련 별도의 논의를 하기로 합의했다.

관세가 한국경제에 영향을 미치면 우리는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우리의 무역구조상 보복관세를 매기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며 "그렇다면 물가보다는 경기 영향이 더 클 것"이라며 "통화정책을 어떻게 할 것인지는 5월 경기예측을 바꾸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세를 올리는 미국은 자국 물가 상승 요인이지만 한국은 관세를 안 올린다면 결국 경기둔화만 예상되므로 이에 맞춰 적절한 통화정책을 고려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 연차총회에 참석한 이 총재는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전하며 “미중 협상이 안 되면 다른 나라에 대한 상호관세 유예가 더 연기되더라도 경제적인 비용은 굉장히 크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중국이 전 세계의 공장으로서 역할을 꽤 오래 해왔기 때문에 중국을 건드리지 않고 (무역을) 돌아가게 할 물건이 많지 않다는 것"이라며 "현실적으로 중국을 공급망에서 배제하고 무역을 얘기하기 어려울 정도로 전 세계가 중국과 많이 연관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회의에서 논의된 시나리오 중에 상호관세가 없어지지 않고 계속되는 시나리오나 중국을 뺀 나머지 국가에 대한 관세는 90일 뒤에 없어지는 시나리오나 성장률 차이가 거의 없었다"며 "이는 다른 나라에 대한 관세가 25%이건 아니건 중국에 대한 관세가 훨씬 높아졌고 이에 중국이 보복한 효과가 다른 나라에 대한 관세 면제 효과를 상쇄시켰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여러 회의를 참석한 결과 키워드는 '불확실성'으료 요약된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IMF도 향후 전망이 어렵다보니 경제전망 시나리오를 3개로 냈고, 일본 중앙은행총재도 기본 시나리오를 어떻게 잡을지 모를 정도로 불확실성이 심해서 경제예측이 어렵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그런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국채 가격 등이 크게 변동됐는데, 시장의 기능은 그래도 잘 작동해서 다행이라는 반응도 많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시장의 깊이가 깊다는 이야기도 했는데, 향후 단기간에 해결이 안 되고 이 상황이 계속될 경우 시장의 회복탄력성이 잘 유지 될 수 있을까. 어려워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에 대한 진단이 많았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다른나라 관계자들은) 다들 과거 금융위기 때처럼 선진국의 재정여력이 어려운 상황에서 위기가 오면 대응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우려가 많았다"며 "최근 몇년 미국 예외주의로 미국 자산으로의 집중도가 커졌고 비은행금융기관의 부채비율이 올라가서 조정과정이 있으면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릴 수 있지 않겠느냐는 가설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089 간첩이 대선 2위…정보전선 뚫린 '이 나라' 망했다 랭크뉴스 2025.04.26
49088 이창용 총재 “미·중 관세협상 안 되면 상호관세 유예돼도 비용 커” 랭크뉴스 2025.04.26
49087 익산 한 아파트서 부모 살해한 30대 아들 긴급체포(종합) 랭크뉴스 2025.04.26
49086 안철수 “한덕수, 이재명 시대 막기 위해 출마 포기해야” 랭크뉴스 2025.04.26
49085 함정에 빠진 갱스터... 속고 속이는 게임이 시작됐다 [주말 뭐 볼까 OTT] 랭크뉴스 2025.04.26
49084 관악산 연주대 부근서 60대 남성 추락… 결국 사망 랭크뉴스 2025.04.26
49083 이창용 “美中 협상 안되면 상호관세 유예 더 연기돼도 경제비용 커” 랭크뉴스 2025.04.26
49082 반려견 산책, 뜨개질 교습…"도와줘요" 미담 퍼진 동네 '알바씬' [비크닉] 랭크뉴스 2025.04.26
49081 “대통령 되면 제일 먼저 누구를 만날 건가요?”…세 후보 뽑은 사람은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26
49080 서울 천호동 CCTV 지지대 도로 위로 기울어‥"인명피해 없어" 랭크뉴스 2025.04.26
49079 적자 허덕이는 일본 닛산, 중 우한 공장 3년 만에 철수키로 랭크뉴스 2025.04.26
49078 서른아홉, 나의 재롱잔치 프로젝트…올레!![조승리의 언제나 삶은 축제] 랭크뉴스 2025.04.26
49077 '금녀' 관례 깨고 교황 관 가까이 선 조문객…'40년 지기' 수녀였다 랭크뉴스 2025.04.26
49076 수족관 고래 출산을 비난할 수밖에 없는 이유 [고은경의 반려배려] 랭크뉴스 2025.04.26
49075 교황의 마지막 휴가는 67년 전···“끝까지 일하다 죽음 맞고 싶어했다” 랭크뉴스 2025.04.26
49074 오픈런 ‘딸기시루’에 곰팡이가…성심당 “관리 미흡, 판매 중단” 랭크뉴스 2025.04.26
49073 ‘셀 USA’, 계속될까 일단락될까 랭크뉴스 2025.04.26
49072 ‘금융위기’ 연상케 해...외국인 떠나는 ‘국장’ 랭크뉴스 2025.04.26
49071 “교도관입니다”…불경기 속 소상공인 울리는 전화 사기 랭크뉴스 2025.04.26
49070 국방 안보의 미래, 인력의 다양성에 달려 있다 [김홍유의 산업의 窓] 랭크뉴스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