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보험사 현장조사 나올 때 무료 선임
실손보상형 보험금 청구만 가능
정액보상형은 무료 선임 불가능
“구분 어렵다면 손해·생명보험협회에 문의”

일러스트=챗GPT 달리3

암에 걸려 보험금을 청구한 A씨는 보험사로부터 현장 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라는 메시지를 받았다. 현장 조사는 보험사가 직원을 파견해 가입자의 보험금 청구가 타당한지 등을 따져보는 과정이다. 메시지에는 보험업법에 따라 A씨가 독립 손해사정사를 무료로 선임할 수 있다는 내용도 담겼다. 손해사정사 무료 선임은 고객이 보험사와 이해관계가 없는 독립된 손해사정사를 무료로 선임해 손해사정 업무를 맡기는 제도다. 보험금 액수를 결정짓는 손해액 산정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시행됐다.

A씨는 안내에 따라 독립 손해사정사를 선임하려 했으나,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다. A씨가 청구한 암 보험금은 계약 당시 정해진 금액이 지급되는 정액보상형이기 때문이다. 손해사정사 무료 선임은 실제 발생한 손해액에 비례해 보험금이 지급되는 실손보상형만 가능하다.

손해사정사 무료 선임이 불가능한데도 가능한 것처럼 보내는 보험사 안내 문자로 인해 불편을 호소하는 보험 소비자가 늘고 있다. 보험사 다수가 가입 조건 등과 관계없이 똑같은 양식과 내용의 안내 문자를 고객에게 일괄 발송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손해사정사 무료 선임 기준을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다면 손해·생명보험협회에 문의하라고 조언한다.

손해사정사 무료 선임이 가능한 경우는 실손보상형에 대한 보험금 청구를 할 때다. 실손보상형은 ‘실제 손해액’을 보상한다고 이해하면 쉽다. 치료비에 비례해 보험금이 정해진다는 뜻이다. 치료비가 많을수록 받을 수 있는 보험금도 많아지는 셈이다. 일상에서 실손보험이라 부르는 실손의료보험과 배상책임보험, 화재보험 등이 대표적인 실손보상형 상품이다. 이러한 상품은 손해액에서 정해진 계산식에 따라 계산된 공제액을 차감한 뒤 보상한다

반면 정액보상형은 ‘정해진 금액’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보험 계약 당시에 약속된 금액을 지급한다는 뜻이다. A씨와 같이 암에 걸렸을 때 3000만원을 지급하기로 계약한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암기 초기인지 말기인지, 치료비가 얼마나 나왔는지 등과 무관하게 암에 걸리면 3000만원이 정액 지급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독립 손해사정사를 무료로 선임할 수 없다.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과 관련한 금융위원회의 홍보문구. /뉴스1

실손보상형과 정액보상형이 동시에 청구되는 경우도 많다. 가령 암에 걸려 치료를 받고 보험금을 청구하면, 암 진단금(정액보상형)과 암 치료비(실손보상형)에 대한 보험금이 동시에 청구되는 것이다. 통상 종합보험을 통해 보험금을 청구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실손·정액보상형이 함께 청구된 때에는 실손보상형에 한정해 독립 손해사정사를 무료로 선임할 수 있다고 보험업계는 해석한다. 과거에는 실손보험 단독 청구 시에만 손해사정사 무료 선임이 가능했지만, 지난해 9월부터 ‘단독 청구’라는 단어가 조항에서 삭제됐기 때문이다.

실손·정액보상형 구분이 어렵다면, 손해·생명보험협회에 독립 손해사정사 무료 선임 가능 여부를 문의하면 된다. 손해·생명보험협회는 독립 손해사정사 선임 규정 등을 제작해 관리하고 있다.

독립 손해사정사 무료 선임은 현장 조사가 진행될 것이란 안내를 받은 날로부터 주말·공휴일을 제외한 3영업일 내 독립 손해사정사를 선임해 보험사에 알려야 한다.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신속하게 선임 가능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손해사정사 무료 선임 서비스 ‘올받음’을 운영하는 어슈런스의 염선무 대표는 “일부 보험사가 정액 담보인 경우에도 독립 손해사정사 선임과 관련한 안내 문자를 발송한다”라며 “어떤 절차가 진행되는지 알기 어려운 가입자가 많아 손해·생명보험협회에 문의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라고 전했다.

☞올받음은

손해사정사와 상담·업무의뢰를 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어슈런스가 운영하고 있다. ‘실손보험 손해사정사 선임권’ 서비스를 운영하며 실손보험에 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61 트럼프 좌충우돌에 美 국채 신뢰 '흔들'[양정대의 전쟁(錢爭)외교 시대] 랭크뉴스 2025.04.26
48960 "친구가 다쳤어요" 거짓말…친구 엄마에 1억 뜯은 30대 실형 랭크뉴스 2025.04.26
48959 철통 보안 속 프란치스코 교황 마지막 길…30만명 운집 예상 랭크뉴스 2025.04.26
48958 트럼프 “러시아·우크라, 합의에 매우 근접 …최고위 수준에서 만나야” 랭크뉴스 2025.04.26
48957 집 보여주는 수고비 받겠다?…공인중개사 '임장비' 추진 논란 랭크뉴스 2025.04.26
48956 개인에겐 갈 수 없다는 한은 관봉권…어떻게 건진법사 자택에? 랭크뉴스 2025.04.26
48955 풋고추 한 개·조미김 몇 장…‘1만 2천 원짜리’ 도시락 논란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4.26
48954 [정책 인사이트] 고교학점제 첫 적용 09년생 고1 “자퇴하고 싶어요” 상담 급증 랭크뉴스 2025.04.26
48953 천연 영양제 제철 과일, 건강한 단맛으로 챙기는 봄철 건강 [쿠킹] 랭크뉴스 2025.04.26
48952 홍준표 "조국 수사, 가족 도륙‥법에도 눈물 있어"‥한동훈 "왜 민주당에만 눈물?" 랭크뉴스 2025.04.26
48951 “집만 둘러봐도 돈 지불해야”...공인중개사 ‘임장비’ 추진 랭크뉴스 2025.04.26
48950 "시장 문 열어라"...중국 압박 수위 높이는 트럼프 랭크뉴스 2025.04.26
48949 유시민 4년 전 ‘檢 악마화’ 사과했는데…이번엔 ‘법원 때리기’ 랭크뉴스 2025.04.26
48948 트럼프 “중국이 시장 개방 안하면 145% 관세도 철회 안 해” 랭크뉴스 2025.04.26
48947 유심 복제 우려에 고개 숙인 SKT "2,400만 가입자 무상교체" 랭크뉴스 2025.04.26
48946 '나혼산' 이주승과 반려견 '코코'의 불편한 동거는 왜?  [연예개] 랭크뉴스 2025.04.26
48945 '재건축 특례법' 논의도 안 하면서… 李 "용적률 높이겠다" 랭크뉴스 2025.04.26
48944 트럼프 “중국, 시장 개방하지 않으면 관세 철회 안 할 것” 랭크뉴스 2025.04.26
48943 김정은 앞에서 주머니 손 넣던 ‘북한 2인자’, 어디로 사라졌나 [뒷北뉴스] 랭크뉴스 2025.04.26
48942 "지금 사도 될까요?"…'끝 없는 호재' 조선주, 실적 더 좋아진다 [줍줍 리포트] 랭크뉴스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