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재건축, 용적률 상향·분담금 완화"
1기 신도시 재정비에 4기 신도시까지 언급
윤후덕 "文 정부, 미리 준비 못해"… 공급 차별화
"여의도-용산을 금융·비즈니스 중심지로"
경기 남부 반도체 클러스터·북부 SOC 대개발
인천, 글로벌 물류 허브로… 국제기구도 유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5일 전남농업기술원에서 농업과학기술진흥 간담회를 갖고 에너지자립형 온실을 둘러보고 있다. 나주=뉴스1


유력 대권주자인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공급'에 초점을 맞춘 부동산 공약을 발표했다. 서울 노후 도심을 중심으로 재개발·재건축 진입장벽을 낮추고, 4기 신도시를 개발해 부족한 수도권 주택 물량을 대폭 늘려 부동산 시장 안정을 꾀하겠다는 구상이다. 다주택자 세금 규제로 집값 때려 잡기에 올인(다걸기)했던 문재인정부와 차별화되는 대목이다. 그러나 시장에선 부동산 시장을 자극해 집값 상승만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주택 공급'에 방점… 윤후덕 "5년간 250만 호 적당"



이 전 대표는 25일 페이스북에 수도권 공약을 소개하면서 부동산 정책 구상을 드러냈다. 먼저 서울의 노후 도심 관련 "재개발·재건축 진입장벽을 낮추고, 용적률 상향과 분담금 완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부동산 관련 언급을 자제해왔던 이 전 대표가 재건축 재개발 규제 완화를 콕집어 시사한 것이다. 집값 안정을 위해 부동산 시장을 인위적으로 억누르기보다는, 똘똘한 한 채 수요에 맞춘 주택 공급 확대를 기조로 잡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전 대표에게 서울 부동산은 트라우마로 남아 있다. 민주당은 지난 대선의 패배 원인을 문재인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로 꼽고 있다. 실제 지난 대선 서울 지역 25개 자치구 중 '마용성'(마포·용산·성동) 등 한강벨트를 포함한 14개구에서 쓴맛을 봤다. 이후 민주당의 부동산 기조는 '문재인정부를 반복하지 않는다'로 잡혔다. 시장 기조에 반하지 않는 규제 완화와 공급 확대에 방점을 찍겠단 것이다.

그 연장선상에서 1기 구신도시 재정비는 물론 4기 신도시까지 띄웠다. 이 전 대표는 "1기 신도시는 노후 인프라를 재정비해 도시 기능과 주거 품질을 함께 높이고 수원, 용인, 안산, 인천 연수·구월 등 노후 계획도시 정비도 적극 지원하겠다"며 "교통이 편리한 4기 스마트 신도시 개발을 준비해 청년과 신혼부부 등 무주택자에게 쾌적하고 부담 가능한 주택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4기 신도시 관련 부지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거론하지 않았다.

집권 이후 5년간 250만 호 공급 목표도 내걸었다. 지난 대선 당시 전국에 총 311만 호 주택 공급을 약속했던 것보다는 낮아진 수치다. 이 전 대표 캠프의 윤후덕 정책본부장은 "주택 경기가 과열돼 공급이 매우 중요했던 3, 4년 전과는 시장이 많이 달라졌다"며 "지금은 5년간 250만 호를 공급하는 게 적당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새 정부가 출범하마자마 주택 공급에 드라이브를 걸겠다며 속도전을 강조했다. 윤 본부장은 "연간 50만 호는 공급돼야 하는데, 지난해 35만 호밖에 공급이 안 돼서 새 정부가 들어서면 공공 분야부터 빨리 공급할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 때는 미리 준비된 게 없어 힘들었던 만큼,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게 미리 공급을 계획하고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캠프 정책본부장인 윤후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 강원·제주 지역 공약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주요 거점 1시간 경제권"… GTX 플러스 검토



'수도권 1시간 경제권' 교통 공약도 내놨다. 주요 거점을 1시간 이내 이동할 수 있도록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를 확대 개편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GTX-A·B·C 노선을 수도권 외곽, 강원도까지 연결하고, 경기도가 제안한 ‘GTX 플러스’ 노선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기존 철도와 고속도로 지하화 공약도 포함했다.

이 전 대표는 서울과 경기, 인천을 특화된 경제 거점으로 키우겠다며 'K수도권' 구상도 밝혔다. 먼저 서울은 뉴욕, 런던, 파리와 경쟁하는 글로벌 경제수도로 만들겠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여의도 금융허브와 용산 국제업무지구를 연결해 글로벌 자본과 기업이 모이는 세계적 금융·비즈니스 거점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경기도에 대해서는 "세계 반도체 산업 중심지로 키우겠다"며 경기 남부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언급했다. '소외 접경지' 경기 북부의 경우 "국가가 주도해 산업과 SOC(사회간접자본) 대개발을 과감히 추진하겠다"며 규제 완화를 예고했다. 인천은 '글로벌 물류 허브' 비전을 내세우면서 "유엔 산하기구를 비롯한 국제기구를 유치해 글로벌 교류의 중심지로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121 [속보] 인제 하남리 산불 '소방대응 2단계' 발령‥주민 대피령 랭크뉴스 2025.04.26
49120 [속보]인제 산불 확산…산불 대응 2단계 격상, 주민 대피령 랭크뉴스 2025.04.26
49119 건조주의보 속 강원 인제 산불…산림청 산불 1단계 발령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26
49118 시진핑 “AI 역량 여전히 부족, 주도권 확실히 잡아야” 랭크뉴스 2025.04.26
49117 간부 딸 결혼식서 ‘꽃가마’ 들었다…코레일 직원들 가마꾼 동원 논란 랭크뉴스 2025.04.26
49116 국민의힘 "이재명 '정치보복 안 한다' 발언? 강한 부정은 강한 긍정" 랭크뉴스 2025.04.26
49115 文, 김정숙 여사와 함께 찍은 사진 올리며 "아무 걱정하지 말아요" 랭크뉴스 2025.04.26
49114 불안한 SKT 가입자들, 무상 교체 전부터 유심 바꾸려 긴 줄 랭크뉴스 2025.04.26
49113 익산서 부모 살해 30대 긴급체포…범행 후 흉기 난동(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26
49112 재건축·재개발에서 사감정을 하는 이유[박효정의 똑똑한 감정평가] 랭크뉴스 2025.04.26
49111 [속보] 강원 인제 하남리 산불 확산… 인근 주민들 대피 랭크뉴스 2025.04.26
49110 인제 하남리 산불, 대응 2단계 격상…산불 인근 주민 대피 랭크뉴스 2025.04.26
49109 한동훈 측 “지지율 상승세… 한덕수 변수 영향 안 받을 것” 랭크뉴스 2025.04.26
49108 작가의 기억 오류냐, 감정 실패냐... 천경자 '미인도' 위작 논란 진실은 [사건 플러스] 랭크뉴스 2025.04.26
49107 [속보] 인제 산불로 서울양양고속도로 인제IC 인근 양방향 통제 랭크뉴스 2025.04.26
49106 고양 도로 오수관 공사현장 매몰 사고…사상자 2명 랭크뉴스 2025.04.26
49105 “내 아들 건드리면 죽인다”… 50대 母, 전과자 전락 랭크뉴스 2025.04.26
49104 우순경 총기난사 비극 43년 만에… 유가족에 고개 숙인 경찰 랭크뉴스 2025.04.26
49103 '올여름 日대지진 난다'…홍콩 SNS 확산에 日정부 공식 입장 랭크뉴스 2025.04.26
49102 관악산에서 하산하던 60대 등산객 추락해 사망 랭크뉴스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