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민의힘 2차 경선 맞수 토론
한, 특활비·과거 언행 등 공세
홍, 인신공격성 비꼬기로 대응
25일 서울 종로구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오픈스튜디오에서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진출자인 한동훈, 홍준표 후보가 리허설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에 오른 한동훈 후보와 홍준표 후보의 25일 맞수 토론은 한 후보의 연이은 네거티브 공세와 “깐족댄다” 등 홍 후보의 인신공격식 답변이 이어지며 제대로 된 정책 토론이 되지 못했다.

두 사람은 이날 서울 종로구 채널A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국민의힘 2차 경선 맞수 토론을 벌였다. 두번의 토론 중 한 후보가 주도권을 쥔 1차 토론에서 한 후보는 홍 후보의 문제가 될만한 과거 언행을 집요하게 파고들었다. 여기에 홍 후보가 까칠하게 반격하는 양상이 이어졌다.

한 후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부부의 법인카드 사적 유용을 기소한 검찰의 판단을 비판했던 홍 후보에게 “특수활동비 나오면 집에 생활비로 준 일 때문에 법인카드 유용은 별 것 아니라 생각하냐”고 몰아붙였다. 홍 후보는 “내 정치비용은 특활비로 쓰고 세비를 전액 집에 갖다줬다는 뜻”이라며 “이런 식으로 수사를 하니 이재명 후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양승태 전 대법원장이 전부 무죄가 나지”라고 반박했다.

한 후보는 “춘향전은 춘향이 따먹으려는 얘기”, “분칠이나 하고 화장하는 최고위원 뽑으면 안된다” 등 홍 후보의 과거 여성 비하 발언을 꺼내 공세를 폈다. 홍 후보는 “그리 분탕질 치고 그러니까 대통령이 화가 나서 계엄 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한 후보가 과거 여성 기자에게 “너 맞는 수 있다”라고 한 발언을 문제 삼자 홍 후보는 “정책을 물어라. 품격이 맞았으면 윤 전 대통령이나 김건희 여사가 이를 갈았겠나”라며 “겉으로 품격있는 척하고 뒤로 엉뚱한 짓 하니 나라가 개판 된 것 아닌가”라고 따졌다.

한 후보는 지난 대선 때 홍 후보의 한국은행 CBCD 사업 공약에 관해 설명하지 못하자 “책을 직접 썼으면 이렇게 모르실 수 없다.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고 공격했다. 홍 후보는 “장학퀴즈 하듯이 한다”며 “큰 흐름을 물어보라”고 대응했다. 그는 “고동진(한 후보 캠프에 있는 국민의힘 의원)인가 삼성전자 사람한테 열심히 과외받고 왔구먼”이라고도 비꼬았다.

한 후보가 미국 알래스카 지역 천연가스 개발의 경제성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냐고 묻자 홍 후보는 “그건 기업하고 협의해야지 나한테 물으면 어떡하냐”고 대답했다. 한 후보는 홍 후보의 모병제 공약에 대해 “2017년에 턱도 없는 얘기라고 하다가 바뀌었다”고 지적했다. 홍 후보는 “세월이 지났으니 생각이 변했나보죠”라고 답했다. 한 후보가 “없는 집에서만 군대 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따지자 홍 후보는 “그건 강남좌파들 생각”이라며 “최태원 SK그룹 회장 따님도 군대 갔다”고 반박했다.

홍 후보는 한 후보에게 “깐족댄다”는 표현을 잇달아 사용했다. 그는 토론 초반 윤 전 대통령이 계엄을 한 이유를 설명할 때 “사사건건 깐족대고 사사건건 시비 거는 (한동훈) 당대표를 두고 대통령이 참을 수 있었겠나”라고 말했다. 한 후보가 김기현 전 국민의힘 대표를 깎아내린 홍 후보 발언을 문제 삼자 “한 후보는 대통령에게 깐족대고 조롱한 일 없나”고 응수했다. 또 한 후보가 차기 대통령 임기 3년으로 줄이는 데 대해 “홍 후보가 이상하게 생각한다면 어쩔 수 없다”고 말하자 “그런 식으로 하는 게 깐족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홍 후보는 이어진 2차 토론에서 전술핵을 어디에 배치할 것인지, 나토식 핵배치는 어떻게 할 것인지 집요하게 묻는 한 후보를 향해 “한 후보처럼 그렇게 깐족거리며 토론하는 사람하고는 더 얘기하기 어렵다”며 “진짜 방송 그만하고 싶다”고 말했다.

한 후보는 “면전에서 쓰면 안되는 말”이라며 “홍 후보가 페이스북에 썼던 여러 폄하·막말이 깐족”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홍 후보가 깐족이라는 말을 몇 번 쓰는지”라고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홍 후보는 “한 열댓 번 쓸 것”이라며 “앞으로 계속 쓰겠다”고 맞받았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875 계엄 책임… “韓 깐족대니 尹참겠나” “洪처럼 아부한 사람 탓” 랭크뉴스 2025.04.26
48874 美뉴욕 유엔본부에 새 시리아 국기 걸려…“14년 동안 기다렸다” 랭크뉴스 2025.04.26
48873 [사설] 이재명, 권력 분산 개헌 진심 보여라 랭크뉴스 2025.04.26
48872 "열흘 전, 설악산 둘레길서 여성 살해했다" 술 취해 자수한 남성…경찰 조사 나다 랭크뉴스 2025.04.26
48871 현역 군인 포섭해 군사기밀 유출 시도한 중국인 구속기소 랭크뉴스 2025.04.26
48870 이준석 얼싸안은 안철수…'앙숙' 두 남자의 반전 모습, 왜 랭크뉴스 2025.04.26
48869 이재명 "정치보복 안돼…누굴 괴롭힐 때 행복하지 않아" 랭크뉴스 2025.04.26
48868 이재명 “정치보복 의심, 방법 없나”…김경수 “내란 처벌과 구분해야” 랭크뉴스 2025.04.26
48867 USTR "한미, 상호 균형적 무역 향한 진전 중요하다는 데 합의"(종합) 랭크뉴스 2025.04.26
48866 이재명·김동연 “상법 신속 개정, 자사주 의무 소각” 랭크뉴스 2025.04.26
48865 ‘명태균 여론조사비 대납 의혹’…홍준표 측근 2명 출국금지 랭크뉴스 2025.04.26
48864 민주 후보들 “검 수사·기소권 분리”…이재명 “정치보복 안 한 대도 안 믿어” 랭크뉴스 2025.04.26
48863 김건희 혼자 빠져나간 도이치 사건, 검찰 재수사 나섰지만··· 랭크뉴스 2025.04.26
48862 “중국, 미 반도체 125% 관세 철회···에탄·의료장비도 면제 검토” 랭크뉴스 2025.04.26
48861 숫자로 보는 트럼프 2기 100일…행정명령 137개·평균지지율 45% 랭크뉴스 2025.04.26
48860 [사설] 文 “9·19 합의 복원”…대북 정책 과오부터 반성해야 랭크뉴스 2025.04.26
48859 [사설] 한미 “7월 패키지”…새 정부가 촘촘한 대응으로 국익 지켜야 랭크뉴스 2025.04.26
48858 "정치 보복 없다" 협치·통합 어필한 이재명... 마지막까지 대립각 없이 싱거운 토론 랭크뉴스 2025.04.26
48857 트럼프 "3, 4주 내 관세 협상 끝낸다…방위비 분담 별개로 다룰 것" 랭크뉴스 2025.04.26
48856 한동훈과의 토론인데 홍준표 “김문수, 김문수, 김문수”···자꾸 소환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