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상호관세 유예 종료되는 ‘7월8일’까지
관세·경제안보·환율 등 4개 분야 협의키로
방위비·대중국 압박 동참은 논의 없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포함한 주요 무역 상대국을 상대로 고율의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한-미 간에 첫 고위급 회의가 24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재무부에서 열렸다. 회의에 앞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부터)과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한·미 양국이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조치 종료 기간인 ‘7월8일’을 데드라인 삼아 상호관세 및 품목별 관세 폐지를 위한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한국 정부가 밝혔다. 논의 대상은 ‘관세·비관세조치’ 등 4개 분야다.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대중국 압박 동참 요구 등은 논의 테이블에 올라오지 않았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4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디시(D.C.) 주미대사관에서 진행한 ‘한미 2+2 고위급 통상 협의’ 결과 브리핑에서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8일 이전까지 관세 폐지를 목적으로 하는 ‘줄라이(7월) 패키지’를 마련하자는데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어 “‘관세·비관세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환율)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해 나가는 데에도 한미가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협의의 출발점인 ‘2+2 회의’를 통해 협의 과제를 좁히고 논의 일정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협의의 기본틀, 즉 프레임워크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각) 오후 미국 워싱턴 디시(D.C.)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2+2 고위급 통상 협의’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워싱턴 특파원 기자단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2 통상협의’에 이어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와 별도 면담을 갖고 “상호관세 및 일체의 관세를 면제해줄 것을 재차 요청했다”고 밝혔다. 다음달 15일부터 이틀간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하는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와 안 장관 간 추가 고위급 협의도 잡혔다.

환율정책과 관련해 최 부총리는 “한국 기재부와 미국 재무부 간 별도로 논의해 나가기로 양국이 합의했다”며 “조만간 실무협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협의에선 자동차와 조선분야가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최 부총리는 “특히 우리 경제에 부정적 효과가 가장 큰 자동차 분야에 대해 중점 설명했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조선 산업 협력의 비전에 대해서 상당히 공감대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줄라이(7월) 패키지’가 의미하는 ‘7월8일 협상 데드라인론’과 관련해 다소 다른 입장을 보였다. 베선트 장관은 ‘2+2 협의’ 뒤 백악관에서 “오늘 우리는 한국과 매우 성공적인 양자 회의를 가졌다”며 “우리는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이르면 다음 주부터 기술적인 조건들에 대해 논의하게 될 것이며, 다음 주 중 ‘이해에 기반한 합의’(agreement on understanding)에 이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인들은 일찍 (협상하러) 왔다. 그들은 자기들의 최선의 제안(A game)을 가져왔고 우리는 그들이 이를 이행하는지 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협상이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 셈이다.

최 부총리는 “4개 분야로 한정해 7월8일까지 협상하자는 ‘줄라이 패키지’에 미국이 공감한 게 맞는다”고 거듭 확인했다. 베선트 장관이 밝힌 ‘이해에 기반한 합의’라는 표현과 관련해 안 장과은 “통상 분야에서 쓰는 표현이 아니다. 처음 들어보는 표현”이라며 “‘다음 주부터 실무 협의를 공식적으로 개시하기로 합의가 될 것’이라는 걸 설명하려고 쓴 표현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801 민주당·혁신당 의원들 “류희림 사표 냈다고 끝 아냐···출국금지·철저 수사를” 랭크뉴스 2025.04.25
48800 대선 전 ‘이재명 선고 불가’ 3가지 이유…할테면 헌재처럼 ‘전원일치’로 하라 [논썰] 랭크뉴스 2025.04.25
48799 고개 숙인 SKT “가입자 유심 무료 교체… 악용사례 현재까진 파악 안 돼” 랭크뉴스 2025.04.25
48798 이재명 호남·수도권 표심잡기…김경수·김동연 “검찰 개혁” 랭크뉴스 2025.04.25
48797 김문수 “층간소음 방지” 민생 공약…안철수·이준석 ‘AI 정책 연대’ 랭크뉴스 2025.04.25
48796 [속보]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관세, 3~4주 내 합의할 것” 랭크뉴스 2025.04.25
48795 한국 맛 담은 ‘K-소스’, 라면 열풍 이을까… 식품업계 잇단 참전 랭크뉴스 2025.04.25
48794 검찰, 尹 선거법 위반 고발 사건 수사 재개…내달 고발인 조사 랭크뉴스 2025.04.25
48793 홍준표-한동훈 맞수 토론…“사사건건 깐족” “윤 옆에서 아부” 랭크뉴스 2025.04.25
48792 “깐족댄다”만 10번 넘게···한동훈 네거티브에 인신공격으로 받은 홍준표 랭크뉴스 2025.04.25
48791 檢, 김건희 '도이치모터스 사건' 재수사…공천개입·건진법사 의혹 수사도 속도 랭크뉴스 2025.04.25
48790 '민원 사주 의혹' 류희림 방심위원장 사의 표명..."일신상의 사유" 랭크뉴스 2025.04.25
48789 [단독]의료계 커뮤니티에 “학사 유연화 협상 중” 주장···교육부 “전혀 아니다” 랭크뉴스 2025.04.25
48788 김건희 여사 “심신쇠약”…국회 청문회 불출석 사유서 내 랭크뉴스 2025.04.25
48787 한덕수 ‘대선 출마’ 초읽기? 이르면 주말 정대철 만나 거취 논의할 듯 랭크뉴스 2025.04.25
48786 [속보] 트럼프 “시진핑이 전화 걸어와···관세 문제, 3~4주 내 합의할 것” 랭크뉴스 2025.04.25
48785 한동훈·홍준표의 '제살 깎아먹기' 토론, 서로 "깐족거린다" 비난 랭크뉴스 2025.04.25
48784 이재명, 호남서 총력전‥문재인 만나 '검찰해체' 외친 김경수·김동연 랭크뉴스 2025.04.25
48783 신동빈 롯데 회장, 잠실구장 방문해 자이언츠 응원… 올해 첫 직관 랭크뉴스 2025.04.25
48782 "아이스크림 좋아하던 단골손님"…상인들도 친근했던 교황 애도 랭크뉴스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