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상호관세 유예 종료되는 ‘7월8일’까지
관세·경제안보·환율 등 4개 분야 협의키로
방위비·대중국 압박 동참은 논의 없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포함한 주요 무역 상대국을 상대로 고율의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한-미 간에 첫 고위급 회의가 24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재무부에서 열렸다. 회의에 앞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부터)과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한·미 양국이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조치 종료 기간인 ‘7월8일’을 데드라인 삼아 상호관세 및 품목별 관세 폐지를 위한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한국 정부가 밝혔다. 논의 대상은 ‘관세·비관세조치’ 등 4개 분야다.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대중국 압박 동참 요구 등은 논의 테이블에 올라오지 않았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4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디시(D.C.) 주미대사관에서 진행한 ‘한미 2+2 고위급 통상 협의’ 결과 브리핑에서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8일 이전까지 관세 폐지를 목적으로 하는 ‘줄라이(7월) 패키지’를 마련하자는데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어 “‘관세·비관세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환율)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해 나가는 데에도 한미가 공감대를 형성했다”며 “협의의 출발점인 ‘2+2 회의’를 통해 협의 과제를 좁히고 논의 일정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협의의 기본틀, 즉 프레임워크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각) 오후 미국 워싱턴 디시(D.C.)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2+2 고위급 통상 협의’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워싱턴 특파원 기자단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2 통상협의’에 이어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와 별도 면담을 갖고 “상호관세 및 일체의 관세를 면제해줄 것을 재차 요청했다”고 밝혔다. 다음달 15일부터 이틀간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하는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와 안 장관 간 추가 고위급 협의도 잡혔다.

환율정책과 관련해 최 부총리는 “한국 기재부와 미국 재무부 간 별도로 논의해 나가기로 양국이 합의했다”며 “조만간 실무협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협의에선 자동차와 조선분야가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최 부총리는 “특히 우리 경제에 부정적 효과가 가장 큰 자동차 분야에 대해 중점 설명했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조선 산업 협력의 비전에 대해서 상당히 공감대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줄라이(7월) 패키지’가 의미하는 ‘7월8일 협상 데드라인론’과 관련해 다소 다른 입장을 보였다. 베선트 장관은 ‘2+2 협의’ 뒤 백악관에서 “오늘 우리는 한국과 매우 성공적인 양자 회의를 가졌다”며 “우리는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이르면 다음 주부터 기술적인 조건들에 대해 논의하게 될 것이며, 다음 주 중 ‘이해에 기반한 합의’(agreement on understanding)에 이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인들은 일찍 (협상하러) 왔다. 그들은 자기들의 최선의 제안(A game)을 가져왔고 우리는 그들이 이를 이행하는지 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협상이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 셈이다.

최 부총리는 “4개 분야로 한정해 7월8일까지 협상하자는 ‘줄라이 패키지’에 미국이 공감한 게 맞는다”고 거듭 확인했다. 베선트 장관이 밝힌 ‘이해에 기반한 합의’라는 표현과 관련해 안 장과은 “통상 분야에서 쓰는 표현이 아니다. 처음 들어보는 표현”이라며 “‘다음 주부터 실무 협의를 공식적으로 개시하기로 합의가 될 것’이라는 걸 설명하려고 쓴 표현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43 "생닭 물에 씻지 마세요" 현미경 보니 '드글드글' 이것에 충격 랭크뉴스 2025.04.25
48542 김건희, 국회에 낸 청문회 불출석 사유서엔 "심신 쇠약" 랭크뉴스 2025.04.25
48541 트럼프 깜짝등판·방위비 논의 없어…韓美, 美日협의와는 달랐다 랭크뉴스 2025.04.25
48540 ‘문재인 사위 월급=뇌물’ 기소, 검찰은 이게 통한다고 보는가?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5.04.25
48539 “심신쇠약이라…” 김건희, 국회 청문회 안 나온다 랭크뉴스 2025.04.25
48538 무안서 80대 몰던 1t 화물차가 횡단보도·인도 덮쳐 2명 사상 랭크뉴스 2025.04.25
48537 이재명 "서울 용적률 상향·분담금 완화 추진한다" 랭크뉴스 2025.04.25
48536 프랑스 반기 꺾였다... ‘팀코리아’ 체코 원전 계약 임박 랭크뉴스 2025.04.25
48535 지금도 한전 적자 심한데… 이재명 ‘에너지 고속도로’ 현실성은 랭크뉴스 2025.04.25
48534 [속보]경찰·노동부 ‘신안산선 붕괴사고’ 관련 포스코이엔씨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25
48533 트럼프 ‘깜짝 등장’ 이변 없었다...한국 정부 “상당히 좋은 출발” 랭크뉴스 2025.04.25
48532 무안서 1t 트럭이 보행자 2명 치고 주택 담장 ‘쾅’…1명 사망·1명 중상 랭크뉴스 2025.04.25
48531 여고생이 교실서 숨졌다…대낮 남학생 칼부림에 佛 발칵, 뭔일 랭크뉴스 2025.04.25
48530 경찰·고용부, ‘신안산선 붕괴’ 포스코이앤씨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25
48529 한미, 관세 폐지 위한 ‘7월 패키지’ 추진…“방위비 언급 없어” 랭크뉴스 2025.04.25
48528 80대 몰던 1t 화물차, 횡단보도→인도 돌진…2명 사상 랭크뉴스 2025.04.25
48527 이재명 53% vs 한덕수 38%…李, 누구와 붙어도 52% 넘었다 [갤럽] 랭크뉴스 2025.04.25
48526 [인터뷰] 홍준표 “미워도 이재명 인정하자는 이유는 국익… 집권하자마자 개헌 추진” 랭크뉴스 2025.04.25
48525 “없어서 못 팔았는데”...‘박재범 소주’ 충격 근황 랭크뉴스 2025.04.25
48524 고용노동부, ‘신안산선 터널 붕괴’ 포스코이앤씨 본사 등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