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24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한국과 미국 재무·통상 장관 간 2+2 협의에 대해 “성공적”이었다며 이르면 다음주부터 기술적 논의를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상호관세를 둘러싼 협상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요나스 가르 스퇴르 노르웨이 총리의 정상회담에 앞서 취재진에 공개된 자리에서 “오늘 한국 정부와 매우 성공적인 양자 회담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그러면서 “우리는 생각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도 있다”며 “우리는 이르면 다음주부터 기술적인 사항(technical terms)에 대해 논의하면서, 양측이 양해에 관한 합의(agreement on understanding)에 빠르면 다음주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한국 측이 협상과 관련 “일찍 왔고, 최상의 협상안(A game)을 가지고 왔다”고도 했다. 이어 “우리는 그들이 그것을 이행할 지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오전 미 재무부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함께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1시간여 동안 협의를 진행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요나스 가르 스퇴르 노르웨이 총리의 정상회담에 앞서 취재진에 공개된 자리에서 “오늘 한국 정부와 매우 성공적인 양자 회담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그러면서 “우리는 생각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도 있다”며 “우리는 이르면 다음주부터 기술적인 사항(technical terms)에 대해 논의하면서, 양측이 양해에 관한 합의(agreement on understanding)에 빠르면 다음주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한국 측이 협상과 관련 “일찍 왔고, 최상의 협상안(A game)을 가지고 왔다”고도 했다. 이어 “우리는 그들이 그것을 이행할 지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오전 미 재무부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함께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1시간여 동안 협의를 진행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재무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에 앞서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최 부총리 오른쪽은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기획재정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