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해맥 총재 “지표 명확해지면 6월 조정”
5월 인하론엔 “너무 이르다” 선그어
월러 이사, 7월 이후 실업률 상승 우려
“물가 상승은 일시적, 고용 타격시 인하”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이사가 지난해 8월 21일 미국 와이오밍주 캔자스시티에서 열린 정례 경제정책심포지엄(잭슨홀 미팅)에 참속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서울경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들어 금리를 잇따라 동결하며 관망기조를 이어가는 가운데, 연준 고위 관계자들이 6월 이후 금리 조정 가능성을 언급했다. 여전히 지표 등 경제 방향이 명확해져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지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이 금리 조절 시점을 언급한 것은 올 들어 이번이 처음이다.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24일(현지 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만약 우리가 명확하고 뚜렷한 경제 지표를 6월까지 확인할 수 있고, 그 시점에서 금리의 바른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면 위원회(FOMC)가 금리를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맥 총재는 다음달 6일과 7일로 예정된 5월 FOMC까지는 금리를 내리거나 올릴 만큼 충분한 정보를 확보할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그는 5월 인하 가능성에 대해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며 “우리는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지 확인할 때”라고 선을 그었다. 5월은 금리를 인하하기에 아직 이르지만 6월까지는 금리를 움직일 수 있을 만큼의 정보를 확보할 가능성이 있다는 발언이다.

연준은 지난해 9월부터 세 차례 연속 금리 인하를 단행한 뒤 올 들어 동결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연준은 지난 1월과 3월 회의에서 두 차례 연속으로 기준금리 목표범위를 4.25~4.5%로 유지했다. 금리 선물시장에서는 5월 FOMC에서도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을 약 96%로 보고 있다.

그동안 메리 데일리 댈러스 연은 총재와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등 주요 연준 관계자들은 관세 정책의 경제 영향이 불확실하다는 점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한동안 유지한 채 지켜보는 것이 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해맥 총재도 “지금은 선제적으로 대응하기에 좋은 시기가 아니다”라며 관망 기조를 강조했지만 금리 조절 가능성과 시기에 대해 언급한 것은 최근 연준의 분위기에서 이례적이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총재도 추후 관세로 인해 고용 시장이 약해질 수 있다며 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했다. 월러 이사는 이날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대규모 관세가 다시 부과된다면 앞으로 더 많은 해고와 실업률 상승이 나타나도 놀랄 일이 아니다”라며 “노동 시장이 심각하게 악화되기 시작하면 더 빠른 시일 내에 더 많은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월러 이사는 이날 인터뷰에서 관세에 따른 물가 영향은 일시적일 것이란 자신의 기존 견해를 재확인했다. 그는 관세의 경제 여파가 7월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보면서, 이후 고율 관세가 7월 이후 다시 적용될 경우 그 후폭풍이 물가가 아닌 실업률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9일 국가별로 최고 49%에 이르는 상호관세를 90일간 10%로 낮춰 적용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7월 초 이 조치를 연장하지 않고 주요국과의 협상을 마무리 하지 못할 경우 각국에는 다시 고율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 월러 이사는 “관세가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든 검토할 의향이 있다”면서도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이 있다면 과민 반응하지는 않을 것이고 노동 시장이 크게 위축된다면 우리가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 이사. AFP연합뉴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40 ‘문재인 사위 월급=뇌물’ 기소, 검찰은 이게 통한다고 보는가?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5.04.25
48539 “심신쇠약이라…” 김건희, 국회 청문회 안 나온다 랭크뉴스 2025.04.25
48538 무안서 80대 몰던 1t 화물차가 횡단보도·인도 덮쳐 2명 사상 랭크뉴스 2025.04.25
48537 이재명 "서울 용적률 상향·분담금 완화 추진한다" 랭크뉴스 2025.04.25
48536 프랑스 반기 꺾였다... ‘팀코리아’ 체코 원전 계약 임박 랭크뉴스 2025.04.25
48535 지금도 한전 적자 심한데… 이재명 ‘에너지 고속도로’ 현실성은 랭크뉴스 2025.04.25
48534 [속보]경찰·노동부 ‘신안산선 붕괴사고’ 관련 포스코이엔씨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25
48533 트럼프 ‘깜짝 등장’ 이변 없었다...한국 정부 “상당히 좋은 출발” 랭크뉴스 2025.04.25
48532 무안서 1t 트럭이 보행자 2명 치고 주택 담장 ‘쾅’…1명 사망·1명 중상 랭크뉴스 2025.04.25
48531 여고생이 교실서 숨졌다…대낮 남학생 칼부림에 佛 발칵, 뭔일 랭크뉴스 2025.04.25
48530 경찰·고용부, ‘신안산선 붕괴’ 포스코이앤씨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25
48529 한미, 관세 폐지 위한 ‘7월 패키지’ 추진…“방위비 언급 없어” 랭크뉴스 2025.04.25
48528 80대 몰던 1t 화물차, 횡단보도→인도 돌진…2명 사상 랭크뉴스 2025.04.25
48527 이재명 53% vs 한덕수 38%…李, 누구와 붙어도 52% 넘었다 [갤럽] 랭크뉴스 2025.04.25
48526 [인터뷰] 홍준표 “미워도 이재명 인정하자는 이유는 국익… 집권하자마자 개헌 추진” 랭크뉴스 2025.04.25
48525 “없어서 못 팔았는데”...‘박재범 소주’ 충격 근황 랭크뉴스 2025.04.25
48524 고용노동부, ‘신안산선 터널 붕괴’ 포스코이앤씨 본사 등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25
48523 "이 빨갱이! 심상정 어딨어!" 통닭구이 고문 버틴 김문수 [대선주자 탐구] 랭크뉴스 2025.04.25
48522 [속보] 경찰·노동부, ‘신안산선 붕괴’ 포스코이앤씨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25
48521 대법, ‘李 선거법 위반 사건' 다음 기일 지정 안 해 랭크뉴스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