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일반 신자들 조문 시작
조문객들 가까이… 23일(현지시간)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에 안치된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조문객들이 경의를 표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치

허리 높이 관대 더 아래로

오후 기준 10만여명 대기

콘클라베는 내달 초 시작


프란치스코 교황의 시신이 23일(현지시간)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으로 운구되면서 사흘간 일반 신자의 조문이 시작했다.

케빈 패럴 추기경이 집전한 운구 의식에 따라 교황의 시신은 이날 오전 9시 생전 거처였던 산타 마르타의 집에서 성 베드로 대성전으로 옮겨졌다. 교황은 붉은색 제의를 입고 흰색 주교관을 쓴 채 관에 누워 있었다.

패럴 추기경은 교황의 영혼을 위한 간단한 기도로 예식을 시작했다. 그는 “이 집을 떠나면서, 주님께서 당신의 종 프란치스코 교황을 통해 그리스도인들에게 베풀어주신 헤아릴 수 없는 선물에 감사합시다”라며 “자비와 친절로 선종하신 교황께 하늘나라에서 영원한 안식을 주시고 교황 가족, 로마 교회, 그리고 전 세계 신자들을 천상의 희망으로 위로해주시기를 간구합시다”라고 기도했다.

추기경단은 운구 행렬과 함께 산타 마르타의 집에서 출발해 아치형 통로와 성 베드로 광장을 지나 성 베드로 대성전 중앙문으로 향했다. 운구행렬이 성 베드로 광장에 도착하자 성인 호칭 기도와 종소리가 장엄하게 울렸다. 신자 2만여명은 운구 행렬이 광장 한가운데를 지날 때 손뼉을 치며 교황에게 마지막 인사를 보냈다.

교황의 관은 성 베드로 대성전 한가운데에 있는 ‘고백의 제대’ 앞에 놓였다. 고백의 제대는 교황만이 사용할 수 있는 성당의 주제대로, 교황이 미사를 집전하던 장소다. 고백의 제대 위로 베드로 성인의 무덤 위치를 알리기 위해 만들어진 청동 구조물 발다키노(천개·天蓋)가, 그 아래 초대 교회의 수장인 베드로 성인의 무덤이 자리하고 있다.

오전 11시부터 일반 신자의 조문이 시작됐다. 교황의 시신은 목제 받침대 위에 비스듬히 누운 자세로 공개됐다. 과거 교황들은 허리 높이의 관대 위에 안치됐으나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를 원치 않았다. 항상 낮은 자세로 가난하고 소외된 자들을 보듬었던 교황의 생전 겸허한 정신이 바닥에 더 가깝게 위치한 관에도 투영됐다.

조문객들은 희년(교회가 선포하는 은총의 해)에만 개방하는 성 베드로 대성전의 다섯 청동문 중 맨 오른쪽 성문(聖門·포르타 산타)으로 입장한 뒤 중앙 통로를 따라 이동했다.

조문객들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관 앞에서 성호를 긋고 짧은 기도를 올렸다. 휴대전화로 교황의 마지막 모습을 촬영해 간직하려는 이들도 많았다.

교황의 마지막 모습을 보기 위해 정장을 입고 아침 일찍 집을 나섰다는 엔리코 몰리나리(84)는 뉴욕타임스에 “교황의 영혼이 더 이상 이곳에 없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나는 그에게 경의를 표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필리핀에서 온 델타 카넬라(63)는 “프란치스코 교황님과 함께할 때 우리는 항상 사랑받는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교황청은 자정까지 조문을 받을 예정이었으나 예상보다 많은 인파가 몰리자 자정 이후에도 대성전을 개방할 수 있다고 했다. 이탈리아 안사 통신은 이날 오후 기준 10만명이 넘는 신자들이 밖에서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AFP 통신은 조문까지 4시간 이상 기다려야 할 정도로 긴 줄이 늘어섰다고 보도했다.

장례 미사는 26일 오전 10시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엄수된다. 장례 미사 후 교황의 관은 다시 성 베드로 대성전으로 운구된 후 유언에 따라 로마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에 안장될 예정이다.

로이터 통신은 내달 5~11일 사이 후임 교황을 선출하기 위한 콘클라베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콘클라베를 두고 베팅 사이트 등은 ‘바티칸의 2인자’ 교황청 국무원장인 이탈리아 출신 온건파 피에트로 파롤린 추기경과 필리핀 출신 진보 성향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 추기경을 가장 유력한 두 후보로 꼽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다만 역사상 가장 예측 불가능한 콘클라베가 될 것이란 전망도 다수다. 가톨릭 보수파의 대표적 인물인 게르하르트 뮬러 추기경은 영국 일간 더타임스와 인터뷰하면서 “정통파 교황이 선출되지 않는다면 교회가 두 갈래로 쪼개질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영국 고급 부동산 매매 비리 사건에 연루돼 1심 유죄판결을 받은 조반니 안젤로 베추 추기경은 콘클라베에 참가해 투표하겠다고 밝혀 바티칸에 또 다른 고민거리를 안겼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67 대통령 집무실 청와대 복귀 45%, 공수처 조직·기능 강화해야 52%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66 [속보]최상목 “한미 2+2 협의서 방위비 분담금 언급 전혀 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65 러, 우크라 대규모 폭격‥트럼프 "푸틴 멈춰야"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64 이준석 10% 안팎 지지율… 2030 경쟁력 ‘인증’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63 한미, 관세폐지 위한 '7월 패키지합의' 추진‥"서두르지 않겠다"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62 최상목 “미국과 관세 폐지 목적 ‘7월 패키지합의’ 추진”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61 [속보] 안덕근 “2+2협의서 향후 협의 틀 ‘원칙적 합의’”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60 [속보] 최상목 "협의의 기본틀 마련"…통상협의 '공동보도문'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59 [속보] 한미 통상협의 온도 차…한 “차분한 논의” 미 “빠른 진전”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58 이재명, 보수 후보와 ‘양자대결’ TK서도 40% 안팎 지지율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57 [속보] 최상목 “7월 8일 이전까지 관세폐지 합의 공감대”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56 삼성전자 美에 "中 첨단기술 제재, 혁신 저해할 수 있어"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55 최상목 “7월 8일 전까지 관세 폐지 ‘쥴라이 패키지’(July Package) 마련”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54 최상목 "한미, 관세 폐지 목적 '7월 패키지' 마련…환율정책 실무 논의"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53 건진법사의 ‘목걸이와 돈다발’…“선물이면 기록물 아닌가”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52 [속보] 한미, 관세폐지 위한 '7월 패키지합의' 추진‥"서두르지 않겠다"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51 한미 2+2 통상협의 1시간여만 종료…“관세 면제 요청”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50 [속보] 최상목 “한미 2+2서 방위비 분담금 언급 전혀 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49 韓, 조선·에너지 협력 제안…“상호·품목별 관세 면제해달라” new 랭크뉴스 2025.04.25
48448 최상목 “한미 2+2 협의서 관세 폐지 목적 ‘7월 패키지’ 마련…환율정책 실무 논의” new 랭크뉴스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