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韓, 관세 인하할 산업 협력 방안 제시
美, ‘방위비 패키지’ 관심 보였을 수도
24일 미국 워싱턴DC 재무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에서 양국 대표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 대표. 기획재정부 제공.


24일(현지시간) 미 워싱턴에서 열린 한국과 미국 경제·통상 수장 간 ‘2+2 통상 협의’의 첫 회의가 약 1시간 20분 만에 종료됐다. 회의 성격이 협상 전 협의였던 만큼 상호 의중을 탐색하고 향후 협상 범위에 어느 정도 합의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회의는 미국 재무부 청사에서 미 동부시간 오전 8시(한국시간 오후 9시)부터 시작해 약 1시간 20분 동안 진행됐다. 한국 측에서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각각 대표를 맡아 마주앉았다.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은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지 않고 회의장을 떠났다.

미국은 지난달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 이달 3일부터는 자동차에 25%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5일부터는 품목 관세 대상을 뺀 대부분 한국산 수입품에 기본관세 10%를 매기고 있다. 한국을 상대로 미국이 물리는 상호관세 25%는 7월 초까지 90일간 유예된 상태다.

최상목(오른쪽)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 미국 워싱턴 재무부 청사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 첫 회의를 마친 후 회의장을 떠나고 있다. 워싱턴=권경성 특파원


한국의 목표는 이들 관세를 철폐 또는 인하하거나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다. “미국 측 관심 사항을 경청하고 우리 입장도 적극 설명하겠다”는 최 부총리의 입국 당시 얘기대로 일단 미국이 폐지나 축소를 바라는 한국의 비관세 장벽들을 파악하려 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쇠고기 등 농축산물 위생 규정, 지도 데이터 반출 금지,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 등이 후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비관세 부정행위’ 유형으로 꼽은 환율 조작과 부가가치세 등도 언급됐을 수 있다. 8개 부처 과장급 실무자 수십 명이 협상단에 포함된 것은 이런 폭넓은 분야의 요구에 대비한 포석이다.

한국의 급선무는 대미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 문제 해결이다. 회의 전 안 장관이 콕 집은 게 바로 자동차였다. 안 장관은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백악관에서 발표한 대규모 대미 투자 계획을 적극 부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상호관세 협상 카드는 대미 산업 협력이다. 조선업이 대표적이다. 중국 추격을 위해 미국이 재건하기를 가장 갈망하는 제조 업종이다. “여러 산업 협력 플랜으로 관세 문제가 불거지지 않도록 만들겠다”는 게 안 장관 각오였다.

또 하나의 관심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원스톱 쇼핑’이라 부르며 관세와의 패키지 협상을 요구해 온 방위비 분담금(주한미군 주둔 비용 중 한국 부담액) 문제가 협의에서 거론됐느냐다. 한국은 두 협상의 연계가 적절하지 않다는 기본 입장을 갖고 있다. 국방부 당국자가 이번 대표단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다.

이날 협의는 향후 협상의 틀을 만드는 용도였다. 안 장관 예고대로 앞으로 이어질 협상의 의제 범주와 의제, 내용, 일정 등이 이번 협의를 통해 어느 정도 정해졌을 개연성이 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440 미국서 세계 첫 '정자 시합'…"남성 불임 경각심 높이려" 랭크뉴스 2025.04.27
49439 안철수 '사과 요구'에 김문수 "계엄·탄핵 민주당 탓", 홍준표 "후보되면 검토" 랭크뉴스 2025.04.27
49438 최상목, ‘한덕수 출마설’에 “정치적 불확실성 낮아지길” 랭크뉴스 2025.04.27
49437 인제 산불 이틀 만에 진화‥고속도로 통행 재개 랭크뉴스 2025.04.27
49436 새 교황 선출 채비 본격화…이르면 내달 6일 콘클라베 시작할 듯(종합) 랭크뉴스 2025.04.27
49435 내일부터 유심 교체라는데 ‘재고 부족’…SKT 이용자 불만 속출 랭크뉴스 2025.04.27
49434 "회만 안 먹으면 되는 줄 알았더니"…일본산 땅콩서 '세슘' 나왔다 랭크뉴스 2025.04.27
49433 고공농성 476일 만에 지상으로…옵티칼하이테크 소현숙씨 건강 악화 랭크뉴스 2025.04.27
49432 변기에 생긴 '분홍색 때', 곰팡이 아니라고? '이 병' 유발하는 섬뜩한 정체 랭크뉴스 2025.04.27
49431 파란 정장에 성조기 배지... 트럼프 교황 장례식 복장 '시끌' 랭크뉴스 2025.04.27
49430 "일주일 만에 '8kg' 뺐지만"…최악의 다이어트 방법이라는 '이것'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27
49429 "경찰관이 현관문 뜯었어요"... 손실액 100만 원까지 신속 보상 랭크뉴스 2025.04.27
49428 한동훈 “이재명 박살낼 수 있도록 과반의 지지 달라” 랭크뉴스 2025.04.27
49427 "업무 바꿔달라 하자 복도 '지정석'…사회복무요원 괴롭힘 여전" 랭크뉴스 2025.04.27
49426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본격적으로 나선다 랭크뉴스 2025.04.27
49425 혼인건수 11개월 연속 증가...웨딩 중소기업 매출도 ‘쑥쑥’ 랭크뉴스 2025.04.27
49424 어디까지 커질 거니…자동차는 지금 ‘덩치’ 경쟁 중 랭크뉴스 2025.04.27
49423 ‘2990원→1만1960원’...KTX·SRT 위약금 최대 4배 오른다 랭크뉴스 2025.04.27
49422 나이키는 죽 쑤는데…제니가 신던 '그 신발' 역대 최대 매출 '신기록' 랭크뉴스 2025.04.27
49421 환불 수수료 없으니…열차표 싹쓸이 얌체족, 이젠 돈 물린다 랭크뉴스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