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통상 협의를 하기 위해 22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에 도착해 취재진과 인터뷰하고 있다. 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서울경제]
한국과 미국의 2+2 통상협의가 24일(현지 시간) 오전 8시 워싱턴 미 재무부 청사에서 시작됐다.
우리 측은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 측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했다.
오전 9시부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담이 예정돼 있어 이날 만남은 한 시간 남짓한 시간 동안 열릴 것으로 보인다.
우리 측은 기재부 장관이 나서는 첫 만남인 만큼 미 측의 통상 관련 입장을 듣고 우리의 생각을 설명한다는 방침이다. 최 부총리는 22일 워싱턴 인근 덜레스 공항으로 입국해 기자들과 만나 “미국 측 관심 사항을 경청하고 우리 입장도 적극적으로 설명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안 장관도 23일 공항에서 “협의를 본격 시작하게 되면 앞으로 협의를 해나갈 범주나 내용·일정 등이 확정될 것”이라면서 “협의에 대한 전반적인 틀을 갖춰나가고 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우리 측은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관련 관세 문제를 해결하고 근본적으로 25%로 예고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철폐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미국이 관심을 보이는 조선업 등에 대한 우리의 강점을 협상 지렛대로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미국은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및 농산물 검역 문제, 한국의 환율, 중국산 제품의 한국 우회 수출, 디지털 분야 무역 장벽, 정밀 지도 해외 반출 문제를 그동안 지목해왔다. 이 외에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 확대 및 동맹의 미국 국방정책 기여 등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우리 정부는 무역과 안보는 별개 문제라며 일단 자체적인 방어선을 그어 놓은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