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민의힘 2차 경선 맞수토론서 탄핵 공방
金 "이재명 친형 강제입원과 다를 바 없어"
韓 "김, 이재명보다 확정된 전과 숫자 많아"
24일 서울 종로구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오픈스튜디오에서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진출자인 김문수(왼쪽)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한동훈 전 대표가 일대일 맞수토론 시작 전 대화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윤석열 전 대통령께 인간적으로 못할 짓을 했다고 찾아봬야 한다. 당원께도 탄핵 성사를 정중하게 사과 하거나 후보직을 사퇴하는 게 옳지 않나.”(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계엄이 잘못된 게 아니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이 자리에서 국민께 같이 사과할 생각 있나.”(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비전은 없고 책임 공방만 넘쳐났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해온 김문수 전 장관과 탄핵 찬성 입장인 한동훈 전 대표가 24일 국민의힘 대선후보 경선 첫 일대일 맞수토론에서 비상계엄 사태와 대통령 탄핵을 놓고 선명하게 대치했다.

포문은 토론 주도권을 가진 김 전 장관이 열었다. 그는 “제가 만약 한 후보처럼 대통령과 긴밀한,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선후배 관계였다면 국정을 훨씬 잘 수행하도록 조언하고 계엄을 막았을 것”이라며 “
윤 전 대통령이 계엄하고 탄핵 당한 모든 과정에 한 후보 책임이 제일 크지 않느냐
”고 지적했다. 김 전 장관의 지지 기반인 탄핵 반대층의 ‘
배신자 프레임
’을 꺼내든 것이다.

김 전 장관은 토론 내내 과거 친밀했던 한 전 대표와 윤 전 대통령의 사적 관계를 거론하며 “인간의 도리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고 질타했다. 탄핵 찬성을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친형 강제입원 논란’에 빗대기도
했다. 김 전 장관은 “이 전 대표는 친형이 자신을 정치적으로 반대하자 무리하게 정신병원에 입원시켰다”면서 “
한 후보가 윤 전 대통령을 탄핵하고 ‘내란’이라 단정한 것이 이재명과 다를 게 뭐가 있느냐
. 절망을 느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자 한 전 대표는 “제가 대통령의 잘못을 바로 잡으려 나섰을 때
함께 나서주지 않았던 많은 정치인들에게 책임이 있다
고 생각한다”며 “
그 중 한 분이 김 후보
일 수 있다”고 응수했다. ‘윤 전 대통령이 법무장관과 당 비대위원장도 시켜주지 않았느냐’는 질문에는 “공직을 개인의 소유물이나 하사품이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또 “계엄은 아버지가 와도 막아야 하는 것이다. 그 부분에 대해 인간이 아니라 하는 건 민주주의자가 맞나”라고 반문했다.

김 전 장관이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집합금지명령을 위반하고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가 주관한 예배에 참석해 이날 벌금형을 확정 받은 사실을 거론하며 반격하기도 했다. 한 전 대표는 “
확정된 전과 숫자로 보면 이 전 대표보다 김 후보가 더 많다
”면서 “기본적인 수칙을 지키지 않은 후보가 법치의 상징인 대통령이 될 수 있느냐”고 쏘아붙였다. 전 목사와의 관계도 끈질기게 캐물었다.

출마설이 끊이지 않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의 단일화에 대해선 입장이 미묘하게 갈렸다. 김 전 장관은 “한덕수든 김덕수든 다 합쳐서 무조건 이재명을 이겨야 한다”고 말했지만, 한 전 대표는 “치열한 경선 과정에서 그걸(단일화를) 미리 앞장서서 얘기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명확하게 찬성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93 "'난 냄새 안 나' 착각말라, 1일 1샤워 권장"…이런 공지에 반응 랭크뉴스 2025.04.25
48392 "내란으로 정신적 피해 입어"…尹에 위자료 청구소송 시작, 금액은? 랭크뉴스 2025.04.25
48391 사실혼 여성 살해 후 도주했다가 경찰 특공대에 체포된 50대 구속 랭크뉴스 2025.04.25
48390 유튜브 20년… 중요한 순간들에 ‘강남 스타일’ 꼽혀 랭크뉴스 2025.04.25
48389 "보잉기 인수 거부? 中이 해오던 일의 작은 예"…다시 날 세운 트럼프 랭크뉴스 2025.04.25
48388 무슨 신발이길래?… 인천 백화점 ‘오픈런’에 경찰까지 출동 랭크뉴스 2025.04.25
48387 美, 장거리 극초음속 무기 이름 '다크이글'…"힘·결의 상징" 랭크뉴스 2025.04.25
48386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협상 주시하며 상승 출발 랭크뉴스 2025.04.25
48385 "나경원 절대 탈락할 수 없는데…국힘 경선도 조작" 황교안, 또 '부정선거' 격분 랭크뉴스 2025.04.25
48384 맛 구별 못하겠지…파리 관광지 식당서 와인 바꿔치기 랭크뉴스 2025.04.25
48383 이란, 영·프·독에 핵협상 협의 제안 랭크뉴스 2025.04.25
48382 더 낮고 가깝게…교황 떠나는 길 ‘마지막 인사’ 랭크뉴스 2025.04.25
48381 고위공직자 38명 재산공개… 이동운 부산국세청장 120억원 랭크뉴스 2025.04.25
48380 “백화점서 안 팝니다”… 시들한 인기, 갈 곳 잃은 구두 랭크뉴스 2025.04.25
48379 다시 中에 날 세운 트럼프…中의 보잉 항공기 인수 거부 비판 랭크뉴스 2025.04.25
48378 '검수완박 시즌2' 나선 민주당…"사법시스템 심각한 공백" 법조계 우려 랭크뉴스 2025.04.25
48377 “검찰 스스로 해체 길 선택”…‘문재인 기소’로 검찰개혁 재점화 랭크뉴스 2025.04.25
48376 [사설] 검찰, 문 전 대통령 기소... 3년 수사 끌다 하필 이 시기에 랭크뉴스 2025.04.25
48375 이재명 싱크탱크 ‘성장과통합’ 내부 주도권 다툼에 와해 위기 랭크뉴스 2025.04.25
48374 김문수 “윤 찾아 사과해야”…한동훈 “아버지가 계엄해도 저지” 랭크뉴스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