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가 설치는 없을 것으로 전망…中, 기존 시설 이동에는 난색
韓 "깊은 유감"·中 "영유권 무관"…"걸림돌 돼선 안돼" 양국 공감


제3차 한중 해양협력대화
(서울=연합뉴스) 지난 23일 서울 시내 모처에서 제3차 해양협력대화가 열리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 양국의 200해리 배타적경제수역(EEZ)이 겹치는 서해 잠정조치수역에 중국이 일방적으로 설치한 구조물 문제가 주요하게 다뤄졌다. 2025.4.24 [외교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이상현 김지연 기자 = 중국이 서해 잠정조치수역에 설치된 구조물과 관련해 한국 측 인사의 현장 조사 방안을 제시했다.

24일 외교부에 따르면 한중 양국이 전날 서울에서 개최한 제3차 해양협력대화에서는 양국의 200해리 배타적경제수역(EEZ)이 겹치는 서해 잠정조치수역에 중국이 일방적으로 설치한 구조물 문제가 주요하게 다뤄졌다.

회의에서 중국은 필요하면 한국 측 관계자들의 서해 시설물 현장 방문을 주선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심해 양식 시설이라며 이 수역에 선란 1호(2018년)와 2호(2024년)를 설치했고, 2022년에는 관리시설이라며 석유 시추설비 형태의 구조물도 설치했다.

이를 두고 중국이 서해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영유권을 주장하기 위한 근거를 만들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자, 한국 당국자나 전문가를 현장으로 초청해 '양식 시설'이라는 점을 입증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이 연장선에서 한국 관계자의 시설물 방문이 이를 용인하는 것처럼 잘못 비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정부도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당국자는 조사단 파견 시점과 관련, "우려 사항을 어떻게 해소할지 내부적으로 검토한 뒤 해야 하기에 타임테이블을 말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한국 수석대표인 강영신 외교부 동북·중앙아국장은 회의에서 구조물에 대한 정부의 깊은 우려를 전달하고, 우리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해양권익이 침해되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특히 우리 측은 이미 설치된 3개 시설의 이동을 요구하고, 추가 시설 설치를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우리는 3개 시설물을 잠정조치수역 바깥으로 이동시킬 것을 요구했다"면서 "이동이 어렵다고 할 경우 비례적 대응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은 분명히 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훙량(洪亮) 외교부 국경·해양사무사(司) 사장(국장)이 수석대표로 나선 중국 측은 기존 시설의 이동에 대해선 난색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측은 시설 2개는 부유식이고, 1개도 영구적으로 고정된 시설물은 아니라고 설명하며 민간 기업들이 이미 자금을 투자한 시설물이라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정부는 중국이 추가 시설 설치는 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당국자는 "우리 측은 어떤 경우에도 추가적 구조물의 일방적 설치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점을 전달했다"며 "중국 측의 여러 행동이나 언급을 종합해서 볼 때 우리 측이 우려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올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방한이 예상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중이 관계 관리에 공감대를 형성한 점, 중국이 서해 구조물 관련 국내 논란에도 예정대로 회의를 진행한 점, 이례적으로 지방정부 관계자의 중앙대표단 파견을 통해 설명에 성의를 보인 점 등을 들었다.

특히 중국 측은 국내에서 커지는 '서해 알박기' 논란을 의식한 듯 해당 구조물이 순수 양식시설로 영유권이나 경계획정 문제와는 무관하다고 먼저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중은 이번에 해양협력대화 산하에 서해 구조물이나 불법조업 등 이견 사안을 다루는 '해양질서 분과위'와 공동치어 방류와 수색구조 등 협력 사안을 다루는 '실질협력 분과위'를 설치해 운영했다.

서해 구조물
[연합뉴스TV 캡처]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양측은 한중 해양업무 대화 협력 수준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소통을 계속 강화하고 해양 관련 분쟁을 적절하게 관리하며, 해역 경계 협상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또 해양 과학 연구, 환경 보호, 수색 구조, 어업, 법 집행, 해상 및 항공 안전, 다자 틀 내 협력을 강화해 상호 신뢰를 증진하고 서해를 평화의 바다, 우정의 바다, 협력의 바다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며,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지속적 발전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서해 구조물과 관련해서는 남황해(南黃海) 어업 및 양식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만 밝혔을 뿐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2019년 12월 한중 외교장관 합의로 신설된 한중 해양협력대화는 2021년 4월 첫 회의와 이듬해 6월 2차 회의 모두 화상으로 개최됐다.

양측은 상호 편리한 시기에 중국에서 제4차 한중 해양협력대화를 개최하기로 했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08 46년 만 권한대행 시정연설‥"할 일, 안 할 일 구별해야" 일침 랭크뉴스 2025.04.24
48307 SKT ‘24시간 내 보고’ 규정 위반…알뜰폰 고객 ‘USIM’은? 랭크뉴스 2025.04.24
48306 문형배, 블로그서 "대통령-국회 사이 갈등, 해결 방도 없어" 랭크뉴스 2025.04.24
48305 김문수 "대선 책임은 한동훈" 한동훈 "아버지가 계엄해도 막아야" 랭크뉴스 2025.04.24
48304 손목밴드 재활용하는 콜드플레이… K팝도 친환경 고민할 때 랭크뉴스 2025.04.24
48303 쌀통에서 건진 '5천만원 돈뭉치'‥한국은행 "개인에게 안 주는데‥" 랭크뉴스 2025.04.24
48302 "해체" 두시간뒤 "아니다"…이재명 싱크탱크 벌써 알력다툼? 랭크뉴스 2025.04.24
48301 임금 이중구조 심화, 타격 더 받는 소규모 업체 종사자 랭크뉴스 2025.04.24
48300 서해 구조물 철거 거절한 中…"양식 시설 직접 보라" 현장 방문 제안 랭크뉴스 2025.04.24
48299 선관위, '韓대행, 심판이 선수로 뛴다'에 "선거관리는 저희가" 랭크뉴스 2025.04.24
48298 윤희숙 "권력에 줄 서는 정치가 계엄 낳아... 진심으로 사죄" 랭크뉴스 2025.04.24
48297 검찰 눈엔 [그림판] 랭크뉴스 2025.04.24
48296 우크라군 "키이우 공습에 북한 탄도미사일 사용" 랭크뉴스 2025.04.24
48295 '아수라장'된 46년 만의 권한대행 시정연설…우원식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구별" 한덕수 직격 랭크뉴스 2025.04.24
48294 영화 '오펜하이머' 비밀도시처럼…中고비사막서 우주선 솟구쳤다 [르포] 랭크뉴스 2025.04.24
48293 “스트레스 풀려고” 새끼 고양이 21마리 죽였다…“징역 1년6개월” 랭크뉴스 2025.04.24
48292 [단독] 광장서 과도 든 노숙인… “흉기소지죄 맞나” 경찰 갈팡질팡 랭크뉴스 2025.04.24
48291 이재명 싱크탱크 ‘성장과 통합’ 일주일 만에 좌초 랭크뉴스 2025.04.24
48290 계엄군 이진우의 거수경례‥계엄 몰랐다던 박안수는 '헬기 승인' 랭크뉴스 2025.04.24
48289 “68억원 사라졌다”는데 ‘훔친 건 40억원’···28억원은 어디에? 랭크뉴스 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