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對中 관세 인하 시사 이어 시점까지 언급…中의 대응에 관심 쏠려
美재무 "美中의 관세 지속 가능 수준 아냐…美中, 빅딜 기회 있다"
트럼프, 우크라종전 협상엔 "러는 준비돼…젤렌스키와 협상 더 힘들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워싱턴 AF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박성민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중국과의 관세 전쟁 와중에 145%까지 끌어올린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 하향 조정의사를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 후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에서 취재진이 '얼마나 빨리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내릴 수 있느냐'고 묻자 "그건 중국에 달렸다"고 답했다.

이어 현재 "90개국과 관세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결국 우리는 훌륭한 거래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향후 2∼3주 안에 관세율을 (새로) 정할 것"이라며 "(이 새로운 관세율에는) 중국이 포함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언급은 중국의 협상 태도를 전제로 한 것이지만, 145%에 달하는 대중(對中) 관세가 너무 높다며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데 이어 인하 시점까지 거론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에 따라 향후 중국의 대응이 주목된다.

중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적극적으로 화답할 경우 전면적인 무역전쟁으로 치닫던 미중간 '관세 샅바싸움'은 새로운 국면을 맞을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무역상대국과의 관세 협상을 총괄하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이날 국제금융연구소 주최로 열린 대담에서 미중간 관세문제에 대해 "양측 모두 그것이 지속 가능한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이는 무역 금수 조치(embargo)에 상응하는 것이며, 양국간 무역 중단은 양국 모두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베선트 장관은 "내가 이전에 말했지만 (미중간) 빅딜의 기회는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워싱턴 AF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취재진과의 문답에서 중국과의 직접 협상이 이뤄지고 있느냐는 질의에는 "그렇다. 매일 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對中) 관세와 캐나다·멕시코에 부과한 25%의 관세를 통해 많은 돈이 흘러들어오고 있다면서 "그 돈은 큰 규모의 세금 감면에 사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25%의 관세를 부과 중인 외국산 자동차 품목관세와 관련, 캐나다에 대해서는 "현재는 고려하고 있지 않지만, 언젠가는 인상될 수 있다"며 "캐나다가 우리를 위해 자동차를 생산하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전날 해고설을 일축한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과 통화를 했느냐는 물음엔 "통화할 수 있지만, 하지 않았다"며 "그가 금리를 낮추지 않는 것은 실수"라고 거듭 금리 인하를 촉구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과 관련, "러시아는 준비가 됐다고 생각한다. 많은 이들이 러시아가 전체를 원한다고 말했는데 나는 러시아와 합의가 성사될 것으로 본다"며 "우리는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와도 합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젤렌스키와 협상하는 게 더 쉬울 것 같았지만, 지금까지는 더 힘들었다. 그러나 나는 두 나라와 합의에 이를 것으로 본다. 그들이 그렇게 하기를 바란다"면서 "왜냐하면 나는 절약을 원한다. 알다시피, 우리는 많은 돈을 썼지만, 이는 매우 인도적 문제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종전안에 크림반도를 러시아 영토로 인정하는 내용이 있는지를 묻자 직접 언급하지 않으면서 "나는 어느 쪽을 선호하지 않는다. 그저 전쟁이 끝나기를 바란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에서 젤렌스키 대통령과 만날 가능성을 묻자 "그가 장례식에 올지 안 올지 모르겠다"고 했으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다음 달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때 만날 수 있느냐는 물음엔 "가능성이 작다. 그 직후에 만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 내 대학들이 외국으로부터 받은 기부금 관련 정보를 공개하도록 지시하는 행정명령, 대학들이 지닌 장학금 대출 등 인증 자격 박탈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명령 등에 서명했다.

이는 하버드대 등 자신의 정책에 반기를 든 일부 대학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는 것으로 여겨진다는 게 미국 언론들의 분석이다.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203 NBS "'차기 대통령 적합도' 이재명 41%‥홍준표·김문수 10%, 한동훈 8%" 랭크뉴스 2025.04.24
48202 농구교실 1억8000만원 횡령·배임···강동희 전 프로농구 감독 징역 1년 2개월 랭크뉴스 2025.04.24
48201 '탈원전' 거리 둔 이재명 "원전, 필요성·위험성 병존…일방적 선택 어려워" 랭크뉴스 2025.04.24
48200 “사무직부터 정리” 일본 마쓰다, 24년 만의 ‘희망 퇴직’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24
48199 이웃 폭행 탓 뇌사한 제천 60대 장기기증…시민 3명에 새 삶 랭크뉴스 2025.04.24
48198 “내가 죽으면 산에 뿌려줘”…‘산분장’ 언제 활성화될까? 랭크뉴스 2025.04.24
48197 [속보] 문재인, 검찰 기소에 “터무니없고 황당···윤석열 탄핵에 대한 보복” 랭크뉴스 2025.04.24
48196 소방대원 사칭해 같은 날 장어집 3곳에 장어 주문 뒤 '노쇼' 랭크뉴스 2025.04.24
48195 “해당행위” “철딱서니”라더니…돌연 “총리님과 함께” 랭크뉴스 2025.04.24
48194 '가게에 사람이 없다' 매장판매종사자 10만명 감소...내수 경기 침체·키오스크 확산 때문 랭크뉴스 2025.04.24
48193 “조사 한번 없이…” “사위 월급이 뇌물?” 文 깜짝 기소 맹비난 랭크뉴스 2025.04.24
48192 [속보] "文, 검찰 기소에 '터무니없고 황당... 尹 탄핵에 대한 보복'" 랭크뉴스 2025.04.24
48191 “진열대 텅 빌 것” 유통업체 경고에, 트럼프 관세 한 발 물러섰다 랭크뉴스 2025.04.24
48190 ‘文 뇌물죄 기소’에… 민주 “정치 검찰 해체” 국민의힘 “수사팀 경의” 랭크뉴스 2025.04.24
48189 이복현 “MBK·홈플 상당기간 기업회생 계획… 자구책 없다” 비판도 랭크뉴스 2025.04.24
48188 "토허제 할애비가 와도 못 말린다"…한달새 집값 10억 뛴 이곳 랭크뉴스 2025.04.24
48187 ‘사기 혐의’ 전 프로야구 선수 임창용 1심서 징역 8개월…법적 구속은 면해 랭크뉴스 2025.04.24
48186 경찰과 4시간 대치하다 체포된 살인범, 취재진 질문에 침묵 랭크뉴스 2025.04.24
48185 월드옥타, 박종범 회장 부인이 문화행사 총괄 '적절성 논란' 랭크뉴스 2025.04.24
48184 “유재석 보고 샀는데”…고려은단 비타민, 식약처 ‘회수’ 조처 랭크뉴스 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