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2차 토론회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선거 경선에 나선 이재명(왼쪽부터), 김동연, 김경수 예비후보가 23일 서울 여의도 오마이TV 스튜디오에서 열린 오마이TV 초청 토론회를 시작하기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스1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3일 개헌과 관련해 "(임기 내) 해야 하지만 시급하게 해야 하는지 의문"이라며 속도조절 뜻을 밝혔다. "현재 국민이 먹고사는 문제에 직결된 것도 아니다"라며 개헌 과제를 후순위로 미뤄두겠다고 했다. 12·3 불법 계엄 이후 어려워진 경제 회복에 집중해야 한다는 뜻으로 읽힌다. 집권 시 최우선 과제로는 '한미 통상 문제 협상'을 꼽았다.

이 전 대표는 이날 오마이TV 생중계로 진행된 민주당 후보 2차 경선 토론회에서 "현재 국민이 먹고사는 문제에 직결된 것도 아니고, 개헌된 헌법이 즉시 시행되는 것도 아니다"라며 경제와 민생 과제에 최우선으로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개헌 카드를 아예 접은 것은 아니다. 이 전 대표는 '대통령 중임제' '기본권·자치분권 강화’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대선 결선투표제 도입’ 등을 골자로 한 개헌안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 전 대표 경선 캠프의 강유정 대변인은 “개헌이 취임 후 100일 안에 할 시급한 일은 아니라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 전 대표는 토론 곳곳에서 '경제·민생 우선' 의지를 밝혔다. 그는 자신의 대표 정책인 기본소득을 두고 “성급하다는 것에 동의한다”라며 “당장 할 수 있는 일도 아니고 당장 해야 되는 것도 아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준비는 해야 된다. 지금은 너무 어려운 시기여서 경제와 성장에 집중할 시기여서 그런 거지, 우리가 이걸 포기한 건 아니다”라고 했다. 선(先)성장 후(後)분배 기조를 재확인한 것이다.

이 전 대표는 대통령이 된다면 야당과 두루 소통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야당이랑 많이 만나야 하지 않겠나”라며 “민주당이 다수당이라 업무의 효율성은 있겠으나 우리가 극복해야 할 것은 국민 분열과 통합 같은 큰 과제이니 야당이든 전문가든 토론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협치 의지를 드러냈다.

경선 경쟁자인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대통령이 된다면 경제 문제에서 가장 먼저 할 조치’를 두고 각각 한미 관세 협상과 5개년 계획 준비를 꼽았다. 김 지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관세를 놓고 바로 만나자, 만나기 전까지 관세 유예 조치를 하자고 제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조기 대선으로) 인수위원회가 없기 때문에 국정기획자문위를 긴급 구성해 5개년 계획을 빨리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내수 진작을 위한 긴급조치가 필요하다”라며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을 제안했다.

이 전 대표는 자영업자 부채 문제를 두고 “부채가 많아 자영업자들이 폐업조차 못 하는 상황”이라며 일부 채무 탕감과 이자 조정 등 실질적 금융지원 필요성을 역설했다. 아울러 지역화폐, 소비 쿠폰 활성화 정책 등을 통해 골목 상권에 숨통을 틔워줘야 한다며 ‘적극적 재정’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 전 대표는 남북관계 '긴장 완화' 필요성도 역설했다. 그는 윤석열 정부에서 북한이 날리던 오물풍선이 사라진 것을 두고 “남에서 북으로 삐라를 안 보내고, 확성기를 안 트니까 북한도 안 한다”라며 “충분히 (남북 긴장을) 통제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했다. 이어 "미러 관계 변화 속에 북한의 전략적 가치가 다시 주목받는 만큼 미국도 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면서 "이 기회를 한국이 주도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2차 토론도 1차 때와 마찬가지로 치열한 검증·경쟁 없는 ‘싱거운’ 분위기로 흘렀다. 김 지사는 “더 큰 민주당, 정권교체 이상의 교체를 위해서는 민주당의 다양성과 역동성이 살아나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 전 지사는 “다음 농사를 위해 씨앗 종자는 남겨두는 현명한 농부의 마음으로 저에게 투표해 달라”고 호소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970 "정년" 국가석학 1∙2호 내친 韓, 중국은 연구소 지어 모셔갔다 [인재 빨아들이는 中] 랭크뉴스 2025.04.24
47969 "아이 낳으면 700만원"…한국 보다 출산율 2배 높은데 지원 쏟아지는 '이 나라' 랭크뉴스 2025.04.24
47968 서울 상가, 경매서 '찬밥'…유찰로 첫 감정가 대비 10% 수준도 랭크뉴스 2025.04.24
47967 '1억' 사이버트럭 향해 날아차기 '퍽'…그대로 튄 황당男, 중국인이었다 랭크뉴스 2025.04.24
47966 ‘尹 공천개입 의혹’ 전 강서구청장 조사… 尹부부 수사 속도 랭크뉴스 2025.04.24
47965 [르포] “국민의힘 후보 중 아직 결정을 못했어요”···관망하는 대구 민심 랭크뉴스 2025.04.24
47964 일론 머스크 복귀 발표하자…국내 2차전지株 일제히 '들썩' [줍줍리포트] 랭크뉴스 2025.04.24
47963 “보험사기 신고했더니 억소리”…작년 포상금만 15억원 [S머니-플러스] 랭크뉴스 2025.04.24
47962 [교황 선종] "뇌졸중이 심장 멈춰 세웠다"…의료 전문가가 본 사인 랭크뉴스 2025.04.24
47961 "윤석열 고향은 무슨, 이번엔 다를겨" "충청사위 이재명? 해준 것도 없구만" 요동치는 충청 민심 [르포] 랭크뉴스 2025.04.24
47960 "일 못하고, 나대면 잘린다"… 이재명 '최애' 참모는 쓴소리하는 '위징'[캠프 인사이드] 랭크뉴스 2025.04.24
47959 올해 출산율 0.80명 근접할 듯…"교육비 낮춰야 출생아 늘어난다"[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4.24
47958 ‘사면령 남발이 문제였나’…1400명 사형시킨 세종의 두 얼굴[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랭크뉴스 2025.04.24
47957 [교황 선종] 차기 교황 거론되는 유흥식 "주님은 동서양 구분 안해" 랭크뉴스 2025.04.24
47956 안덕근 “車관세, 대미 교역에 큰 문제… 신속 해결" 랭크뉴스 2025.04.24
47955 대법 전원합의체, 이재명 사건 두번째 심리…주요쟁점 다룬다 랭크뉴스 2025.04.24
47954 [단독] 도 넘는 '좌표찍기'… 판사 절반 "외부 압력받았다" 랭크뉴스 2025.04.24
47953 이스탄불 인근서 규모 6.2 지진…"151명 부상"(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24
47952 '대공 용의점 없다' 풀려난 중국인들, 미군기지 또 촬영(종합) 랭크뉴스 2025.04.24
47951 가격 7배인데 '장애인 위한 키오스크' 의무화…사장님 비명 질렀다 랭크뉴스 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