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KDI 인구요인 영향 보고서]
20년새 기대수명 6.5세 늘면서
평균 소비 성향은 3.6%P 하락
"임금제 개선·퇴직자 재고용 등
고령층 노동·소득 확대책 필요"
이미지투데이

[서울경제]

우리나라 국민들의 ‘평균소비성향’이 전 연령층에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소비성향은 민간소비를 국내총생산(GDP)으로 나눈 값으로 우리 국민들이 벌어들이는 경제성장 규모에 비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고령화에 대한 우려 때문에 전 연령층에서 저축은 늘리고 소비는 줄이는 경향이 심화하고 있다”며 “퇴직 이후 재고용 등을 통해 노동시장 경직성을 해소하고 고령층 소득을 높여 평균소비성향 감소를 해소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23일 KDI가 발표한 ‘인구 요인이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20년간 기대 수명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4년 기대 수명은 77.8세였지만 2024년은 84.3세로 20년간 6.5세 증가했다. 같은 기간 평균소비성향은 52.1%에서 48.5%로 3.6%포인트 하락했다.

KDI는 기대 수명이 늘면서 소비가 줄어들고 있다고 보고 있다. 기대 수명이 1년 증가할 때 평균소비성향이 0.48%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평균소비성향 하락폭인 3.6%포인트 가운데 약 3.1%포인트는 기대수명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밖에 경기 둔화 등 다른 요인들도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같은 소비 지출 감소는 은퇴 이후 여생이 길어지면서 저축 동기가 늘어나는 것이 주된 원인이다. 특히 전체 평균소비성향이 하락하는 데는 50~60대 중년층 가구의 씀씀이(가처분소득 대비 지출 규모)가 줄어든 것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우선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은 60대 가구의 비중이 크게 증가한 것이 평균소비성향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다. 60대 가구는 소득은 줄었지만 기대 수명은 증가하면서 길어진 노후에 대비해 지갑을 닫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아울러 높은 교육비 지출로 인해 소득이 높고 씀씀이도 큰 30~40대 가구의 비중이 감소한 것도 평균소비성향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처럼 기대 수명이 상승한 것은 민간소비 침체 요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최근 20년간 민간소비 증가율은 연평균 3.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같은 기간 GDP 연평균 성장률인 4.1%를 하회했다. 김미루 KDI 연구위원은 “기대 수명은 증가하지만 퇴직 연령에는 큰 변화가 없어 퇴직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 저축을 많이 하게 되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평균소비성향은 추가적인 하락세를 이어가다 2034년 저점을 찍고 반등할 것으로 전망된다. 소득 감소 폭에 비해 소비는 덜 줄이는 75세 이상 초고령층의 비중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생애 전반에 걸쳐 일정한 소비 수준을 유지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노년층의 씀씀이는 상대적으로 큰 편이다. 이에 관해 김 연구위원은 “지난 20년간 기대 수명은 약 6.5세 증가한 반면 향후 20년간 기대 수명 증가는 약 3.5세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며 “저출생 기조가 지속되며 고령층 인구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면 이들이 소비 수준을 유지하려 함에 따라 평균소비성향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KDI는 평균소비성향 하락에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가 투영된 만큼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생애 주 직장 퇴직 연령은 거의 변하지 않고 있지만 기대수명만 늘어나면서 고령층이 고용절벽으로 내몰리는 경직된 노동 구조가 평균소비성향 하락의 원인인 만큼 이를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율을 높여 은퇴 시점을 늦추거나 노후 소득을 높이면 평균소비성향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 위원은 “연공서열형의 경직적인 임금 구조를 개선하고 직무 및 성과 중심의 임금 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정년퇴직 후 재고용 제도를 활성화 해야 한다”며 “노동시장의 마찰적 요인을 해소해 노동 수요도 고령층 노동 공급에 발맞춰 확대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고령 인력의 적절한 활용이 확대될 경우 향후 저출생 고령화에 따른 잠재성장률 하락 압력을 부분적으로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990 1년 우산 4000만개 폐기···우산수리센터 찾아 고쳐 써 볼까 랭크뉴스 2025.04.24
47989 금감원도 5월부터 대선 모드… 정치 테마주 특별단속 강화 랭크뉴스 2025.04.24
47988 [속보] 트럼프, 中과 직접 협상 여부 묻자 "매일 하고 있어" 랭크뉴스 2025.04.24
47987 “황금시대 연다더니”…100일도 못 돼 ‘트럼프노믹스’에 등돌린 美 랭크뉴스 2025.04.24
47986 이준석 “홍준표라도 단일화 없다···국민의힘은 없어지는 게 맞다”[인터뷰] 랭크뉴스 2025.04.24
47985 "한국 왜 떠났냐 대신 왜 남았냐 묻는 상황"…이공계 인재 흔들린다 [인재 빨아들이는 中] 랭크뉴스 2025.04.24
47984 "사무직 먼저 내보낸다"…24년 만에 500명 희망퇴직 받는 '이 회사'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24
47983 “트럼프, 車업체 위해 일부 부품 관세 면제 검토” 랭크뉴스 2025.04.24
47982 홍준표 “중범죄자 통치 막는 길, 무엇이라도 한다” 랭크뉴스 2025.04.24
47981 [속보] 트럼프 "2∼3주 안에 對中 관세율 정할 것"…재조정 시사 랭크뉴스 2025.04.24
47980 [르포] 운구 행렬 때도 열려 있던 교황의 관... '가깝고 낮게' 조문객 맞는다 랭크뉴스 2025.04.24
47979 우크라 종전 협상 삐걱…‘영토 압박’ 미국 압박에 우크라 강력 반발 랭크뉴스 2025.04.24
47978 '김 여사 친분'은 곧 공천장?‥줄줄이 소환 랭크뉴스 2025.04.24
47977 오늘 밤 '한미 관세 협상'‥'중국 빅딜' 변수 랭크뉴스 2025.04.24
47976 일본군에 화형 당할 뻔한 강 할머니, 치매 앓는 그에게 딸이 하고 싶은 이야기는··· 랭크뉴스 2025.04.24
47975 [단독] 성당·사찰 도는 김혜경…이재명 후방지원 재시동 걸었다 랭크뉴스 2025.04.24
47974 안철수 "반이재명 빅텐트 내가 적임자, 이준석도 이낙연도 와라" [인터뷰] 랭크뉴스 2025.04.24
47973 "얼맙니까?" 술값 다 냈다…스폰서 물먹인 초임 한동훈 랭크뉴스 2025.04.24
47972 홍·한, 서로 “너 나와” 지목… ‘반탄-찬탄’ 1:1 토론 성사 랭크뉴스 2025.04.24
47971 산업부 장관도 미국 도착…오늘 밤 미국과 2+2 통상 협의 랭크뉴스 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