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수십㎞ 광케이블 끌며 적진 돌격해 자폭…초저공 비행도 가능
우크라, 생산량 밀리자 러 유일 광케이블 공장 폭격 시도도


쿠르스크 수자 외곽의 나무에 걸려 있는 광케이블 뭉치
[타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광케이블을 이용한 유선(有線) 조종 자폭 드론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양측 병사들에게 악몽의 대상이 되고 있다.

전파방해가 통하지 않는 데다 기존 무선(無線) 드론과 달리 초저공으로 장거리 비행을 할 수 있어서 미리 알아채고 막아내는 게 사실상 불가능한 까닭이다.

23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최전선에서는 드넓은 평원 한가운데에 실처럼 가느다란 광케이블이 놓여 있거나 한데 얽혀 있는 모습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러시아군, 혹은 우크라이나군이 사용한 유선 드론이 남긴 흔적이다.

이런 드론은 보통 동체 아래에 길쭉한 원통형의 케이블 릴이 붙어있다. 둘둘 말린 채 수납된 길이 10∼20㎞의 광케이블을 뿌리듯 풀어내면서 상대방을 향해 날아가 자폭하는 방식이다.

작년 하순 처음 전장에 모습을 드러낸 이 무기는 전파로 조종하는 게 아닌 까닭에 기존의 전자전 수법으로는 무력화할 수가 없다.

또, 일반적인 드론과는 다르게 전파가 잘 닿지 않는 장소에서도 날 수 있었기에 급속도로 사용 빈도가 늘어났다고 우크라이나군 드론 특수부대 아킬레스 연대의 유리 페도렌코 대위는 말했다.

그는 "숙련된 조종사는 이런 드론을 숲이나 줄 지어선 나무들 사이로도 날게 할 수 있다. 만약 일반 드론이라면 근처에 재송신기가 없는 한 (전파) 신호가 나무에 막히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런 까닭에 가로수가 많은 길을 보급로로 활용, 드론 공격에 노출되는 빈도를 줄이는 기존의 전법도 쓰기가 어려워진 상황이라고 페도렌코 대위는 덧붙였다.

동체 하단에 연결된 광케이블을 끌며 날아가는 우크라이나군 유선 드론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미 해군분석센터(CNA)의 드론 전문가 새뮤얼 벤데트는 "이런 드론은 전자전으로 교란할 수 없기에 최초의 공격에서 적의 전자전 및 전파교란 장비를 노리는 데 쓰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일반적인 무선 일인칭 시점 드론(FPV)이 타격에 나설 길을 여는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른 광케이블을 쓰기 때문에 적진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확보하는 등 더 상세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다수의 유선 드론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서로 케이블이 얽힐 수 있고, 케이블 길이에 한계가 있는 등 단점을 고려해도 충분히 유용한 무기인 셈이다.

이에 우크라이나는 키이우 북동쪽 비밀 공방 등에서 유선 드론 제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로선 광케이블 수급량이 많은 러시아가 유선 드론 활용에서 훨씬 앞서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

실제 러시아군은 최근 쿠르스크 전선에 대량의 유선 드론을 투입, 우크라이나군에 상당한 피해를 준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사란스크에 위치한 러시아 유일의 광케이블 생산 공장은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600㎞ 넘게 떨어져 있는데도 지난 19일과 20일 이틀에 걸쳐 장거리 드론 공격을 받았는데, 이는 러시아의 유선 드론 생산 능력을 약화하려는 우크라이나군의 작전에 따른 것일 가능성이 있다.

광케이블을 끊거나 태워 유선 드론의 침투를 막는 등 방안도 연구되고 있다.

아킬레스 연대 관계자는 현재 생산되는 드론의 약 10분의 1가량이 유선 드론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드론 전문가 벤데트가 추산한 비율과 대략 일치하는 수준이라고 가디언은 전했다.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발생하는 양측 사상자의 70∼80%가 드론 공격에 당해 다치거나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산해 왔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970 "정년" 국가석학 1∙2호 내친 韓, 중국은 연구소 지어 모셔갔다 [인재 빨아들이는 中] 랭크뉴스 2025.04.24
47969 "아이 낳으면 700만원"…한국 보다 출산율 2배 높은데 지원 쏟아지는 '이 나라' 랭크뉴스 2025.04.24
47968 서울 상가, 경매서 '찬밥'…유찰로 첫 감정가 대비 10% 수준도 랭크뉴스 2025.04.24
47967 '1억' 사이버트럭 향해 날아차기 '퍽'…그대로 튄 황당男, 중국인이었다 랭크뉴스 2025.04.24
47966 ‘尹 공천개입 의혹’ 전 강서구청장 조사… 尹부부 수사 속도 랭크뉴스 2025.04.24
47965 [르포] “국민의힘 후보 중 아직 결정을 못했어요”···관망하는 대구 민심 랭크뉴스 2025.04.24
47964 일론 머스크 복귀 발표하자…국내 2차전지株 일제히 '들썩' [줍줍리포트] 랭크뉴스 2025.04.24
47963 “보험사기 신고했더니 억소리”…작년 포상금만 15억원 [S머니-플러스] 랭크뉴스 2025.04.24
47962 [교황 선종] "뇌졸중이 심장 멈춰 세웠다"…의료 전문가가 본 사인 랭크뉴스 2025.04.24
47961 "윤석열 고향은 무슨, 이번엔 다를겨" "충청사위 이재명? 해준 것도 없구만" 요동치는 충청 민심 [르포] 랭크뉴스 2025.04.24
47960 "일 못하고, 나대면 잘린다"… 이재명 '최애' 참모는 쓴소리하는 '위징'[캠프 인사이드] 랭크뉴스 2025.04.24
47959 올해 출산율 0.80명 근접할 듯…"교육비 낮춰야 출생아 늘어난다"[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4.24
47958 ‘사면령 남발이 문제였나’…1400명 사형시킨 세종의 두 얼굴[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랭크뉴스 2025.04.24
47957 [교황 선종] 차기 교황 거론되는 유흥식 "주님은 동서양 구분 안해" 랭크뉴스 2025.04.24
47956 안덕근 “車관세, 대미 교역에 큰 문제… 신속 해결" 랭크뉴스 2025.04.24
47955 대법 전원합의체, 이재명 사건 두번째 심리…주요쟁점 다룬다 랭크뉴스 2025.04.24
47954 [단독] 도 넘는 '좌표찍기'… 판사 절반 "외부 압력받았다" 랭크뉴스 2025.04.24
47953 이스탄불 인근서 규모 6.2 지진…"151명 부상"(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24
47952 '대공 용의점 없다' 풀려난 중국인들, 미군기지 또 촬영(종합) 랭크뉴스 2025.04.24
47951 가격 7배인데 '장애인 위한 키오스크' 의무화…사장님 비명 질렀다 랭크뉴스 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