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화재가 발생한 서울 관악구 봉천동 한 아파트에서 22일 과학수사대원이 현장 감식을 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지난 21일 발생한 서울 관악구 봉천동 아파트 방화 사건이 ‘층간 소음으로 인한 갈등’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사건 당일 사망한 방화 용의자 A씨가 생전에 층간소음 등을 이유로 난동을 부리고 이웃 주민들을 협박했다는 증언 등이 나왔다. 갈등이 심화하기 전에 정부나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23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A씨는 해당 아파트에 살기 전에 거주했던 빌라에서도 층간소음으로 주민들과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빌라 주민 B씨는 “A씨가 직접적인 해코지를 하지는 않았지만 3층 외관에 ‘죽여버린다’는 암시를 (글로) 썼다”고 말했다. A씨가 협박 글을 남겼다는 빌라 3층 벽에는 “벽 손대(지)마세요” 아래 “X자식아”라는 욕설이 남아있었다.

서울 관악구 봉천동 방화사건이 일어난 아파트 인근에 있는 한 빌라 벽에 ‘벽 손대(지)마세요’ ‘X자식아’ 등의 욕설이 써 있다. 우혜림 기자


A씨는 해당 아파트에 불을 지르기 전 인근에 있는 다른 빌라 건물에도 방화했다. 인근 주민 C씨는 “이 빌라를 지을 때 A씨가 공사장 인부와도 크게 싸웠다고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 D씨는 “A씨가 공사하는 아저씨와 싸우는 걸 본 적이 있는데, 그때 세상에 있는 욕은 다 들은 것 같다”며 “주민들이 길거리에서 이야기만 해도 내려다보고 욕하거나 침을 뱉곤 했다”고 말했다.

A씨는 방화한 아파트에 지난해 11월까지 살며 위층 주민과 층간소음 갈등을 빚었다. 지난해 9월에는 위층 주민과 A씨가 몸싸움을 벌여 경찰이 출동하기도 했다. 경찰은 보복 범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층간소음으로 인한 주민 간 갈등이 강력범죄로 이어진 사례는 전에도 있었다. 지난 2월 경기 양주시의 한 빌라에서 40대 남성이 층간소음 문제로 다투던 이웃을 흉기로 살해했다. 2023년 4월 인천의 한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 문제로 갈등을 빚던 20대 남성이 이웃 여성을 흉기로 협박한 사건도 있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에 따르면 층간소음과 관련해 일어난 살인 등 5대 강력범죄는 2016년 11건에서 2021년 110건으로 급증했다.

한국환경공단이 운영하는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에는 지난해 3만3027건의 상담이 접수됐다. 센터를 개소한 2012년(8796건)과 비교하면 12년만에 4배 가까이 늘었다. 하지만 정부가 조정에 참여하는 분쟁조정위원회는 매우 드물었다. 환경부가 운영하는 중앙환경분쟁조정위는 지난해 상반기까지 한 번만 열렸다. 2023년에는 4건, 2022년에는 2건이 열렸다. 국토교통부가 운영하는 중앙 공동주택관리 분쟁조정위원회는 2024년 상반기에 0건, 2023년에는 40건, 2022년에는 45건 열렸다.

윤은주 경실련 도시개혁센터 부장은 “지방자치단체나 정부가 층간소음을 관리·감독하고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명확하게 하는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며 “층간소음이 발생했을 때 지자체 등 관리 주체가 소음 유발자에게 소음 즉각 중단이나 차단 조치할 수 있게 하고, 협조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게 하는 조항 등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단독]봉천동 방화 피해자 남편 “해코지할까봐 이사 가자 했는데···”지난 21일 발생한 ‘서울 봉천동 아파트 방화 사건’의 피의자 A씨가 지난해 추석 명절쯤 층간 소음을 주장하며 위층 주민들을 찾아가 위협했다는 피해자 가족의 증언이 나왔다. 화재 당시 불길을 피해 창밖으로 떨어진 피해자는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봉천동 아파트 방화 사건 피해자 B씨의 남편 정모씨는 22일 서울의 한 병원에서 기자와 만나 “지난...https://www.khan.co.kr/article/202504221210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88 “간담회 느낌” 민주당 토론…취임 첫 100일에 무슨 일?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23
47787 민주, 세 번 폐기된 양곡법 개정안 또 발의 랭크뉴스 2025.04.23
47786 임성근 “녹음 못하게 하면 불참” 주장에···‘휴대전화 포렌식’ 선별작업 불발 랭크뉴스 2025.04.23
47785 前축구선수 강지용 사망…‘이혼숙려캠프’ 출연 두 달만 랭크뉴스 2025.04.23
47784 日 불륜 스캔들 휘말린 배우 김무준… “친한 동료일 뿐” 랭크뉴스 2025.04.23
47783 광동제약 우황청심원, 안팎으로 ‘우환’…국내선 1위 뺏기고 해외 짝퉁에 몸살 랭크뉴스 2025.04.23
47782 60세 은퇴해도 24년 더 살아…30대마저 지갑 닫았다 랭크뉴스 2025.04.23
47781 법무부 징계위, '채널A 사건 수사' 이정현 검사장에 정직 1개월 랭크뉴스 2025.04.23
47780 ‘5월 황금연휴’ 무산…정부 “2일 임시공휴일 검토 안해” 랭크뉴스 2025.04.23
47779 "李, '장관은 보수·진보 안 가리고 일 잘하는 분으로' 얘기"(종합) 랭크뉴스 2025.04.23
47778 국회 국방위 소위, ‘계엄시 군·경 국회 출입금지’ 계엄법개정안 의결 랭크뉴스 2025.04.23
47777 수협 30대 여직원, 공범과 함께 회삿돈 10억 횡령…구속기소 랭크뉴스 2025.04.23
47776 상고기각·파기환송·파기자판…대법 전원합의체 ‘이재명’ 겨눈 세 가지 길 랭크뉴스 2025.04.23
47775 트럼프 주니어, 신세계 정용진 '콜'에 응답…다음주 방한 랭크뉴스 2025.04.23
47774 '계엄시 군·경찰 국회 출입 금지' 계엄법 개정안, 국방소위 통과 랭크뉴스 2025.04.23
47773 "민간기업에 YTN 지분 매각 강요"‥윤석열·추경호 등 무더기 고발 랭크뉴스 2025.04.23
47772 [속보] '계엄시 군·경찰 국회 출입 금지' 계엄법 개정안, 국방소위 통과 랭크뉴스 2025.04.23
47771 [단독] AI發 일자리 격변…정부 '노동 안전망 구축' 착수 랭크뉴스 2025.04.23
47770 ‘김건희 여사 선물용’…전성배, 수천만 원대 목걸이 수수 의혹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23
47769 李 "대통령되면 야당 많이 만날 것…개헌, 시급히 해야 하는지 의문" 랭크뉴스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