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통상 협의를 하기 위해 22일(현지시각) 미국에 도착해 취재진과 인터뷰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과 고위급 통상 논의를 위해 22일(현지시각) 워싱턴 디시(D.C.)에 도착했다. 최 부총리는 미국 입국 직후 “한미동맹을 더욱 튼튼하게 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하러 왔다”고 방미 목적을 밝혔다.
최 부총리는 23~24일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참석에 이어, 24일에는 ‘2+2’ 형태로 진행되는 한미 고위급 통상협의에도 나선다. 한국 쪽에서는 최 부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쪽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한다. 안 장관은 23일 워싱턴에 도착한다. 한미는 통상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때 양국 재무장관회의를 열고 현안을 논의해왔다. 이번에는 양국 통상 책임자까지 참여하는 ‘2+2’로 회의가 확대됐다.
최 부총리는 미국 관심사에 대해 “충분히 들을 것이며, 우리 입장도 적극적으로 설명하겠다”며 “서로에게 도움이 되고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으니 그렇게 노력하겠다. 결과는 24일 협의 이후 밝히겠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에서 다뤄질 의제는 확정되지 않았다. 미국이 지속해서 제기해온 30개월령 이상 쇠고기 수입 제한, 고정밀 지도 데이터의 해외 반출 제한 등의 비관세 장벽 문제가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문제까지 포함될 가능성도 있다.
회의 장소는 백악관 인근 재무부 청사다.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참석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6일 일본 정부 대표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을 백악관에서 직접 만나 통상 논의를 주도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