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올들어 생애 첫 부동산 구입 20~30대 18% 늘어
과거 ‘학습 경험’ 영향, 집값 오를까 초조해진 심리
전문가 “청약 개선 등 불안감 덜어주는 정책 필요”
서울 중구 남산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의 아파트 단지 모습. 문재원 기자


서울시 서대문구의 아파트에 전세로 살고 있는 이모씨(35)는 지날 2월 말 예비 배우자와 함께 이른바 ‘갭투자’로 아파트를 샀다. ‘신생아 특례 대출’ 등 정부의 주택 구매 지원 정책이 나올 때마다 서울 아파트값이 들썩이는 현상을 보며 ‘오르기 전에 미리 사두자’는 생각이 확고해졌기 때문이다. 서울·수도권에 신축 아파트 공급이 줄어드는 소식도 매수 결정을 하는 데 기름을 부었다.

경기도 분당의 부모님 집에서 강남으로 출퇴근하는 30대 직장인 우모씨도 최근 예비 배우자와 ‘영끌’ 해서 아파트를 살 생각을 하고 있다.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을 해제했다 재지정·확대하는 과정에서 강남 집값 상승을 보면서 불안감이 커졌다. 우씨는 “집값이 안정적이라면 몇 년간 현금을 모아 대출받을 계획을 세우겠지만, 지금 보면 2021년 같은 ‘불장’이 안 온다는 보장이 없는 것 같다”고 불안해했다.

정부와 서울시의 토허구역 확대 재지정 이후 한달간 서울 아파트 시장은 일단 진정되는 모양새이나 젊은 무주택자들 사이에선 ‘정권이 바뀌고 집값이 오르면 어떡하냐’는 초조함도 커지고 있다. 올들어 생애 첫 부동산을 구입한 20~30대가 전년보다 약 18%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의 22일 자료를 보면, 올해 1월부터 4월 21일까지 서울에서 생애 첫 집합건물(빌라·아파트 등)을 산 사람은 1만346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2753명)보다 711명(5.6%) 늘어났다.

주목할 점은 20대와 30대의 매수자가 지난해에 비해 유독 늘었다는 점이다. 올해 서울에 생애 최초 집합건물을 사들인 30대는 641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344명)과 비교할 때 20% 증가했다. 20대도 1540명으로 1년전(1422명)보다 8.3% 많았다. 20~30대를 합치면 전년보다 17.5% 늘었다. 반면 40대 이상은 지난해와 비교할 때 매수자가 줄었다. 40대는 -5.9%, 50대 -16.4%, 60대 -1.4% 등이다.

토허구역 확대 재지정 후인 4월 한달간 매수자 수만 살펴보면 연령별 차이가 더 뚜렷하다. 4월 1일부터 21일까지 생애 첫 집합건물을 매수한 20대는 336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252명)보다 33.3% 늘었다. 30대는 996명으로 전년(852명)보다 16.9% 늘었다. 반면 40대 매수자는 423명으로 전년(478명)보다 11.5% 줄었고, 50대는 213명으로 전년(279명)보다 23.7%, 60대는 106명으로 전년(138명)보다 23.2%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에서 주택 구매가 다른 세대보다 급증한 건 과거의 ‘학습 경험’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들의 부모세대에서 아파트 소유 여부로 자산의 양극화를 경험하면서 대출을 받아서라도 ‘서울’에서 집을 사야 한다는 경험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지난해 1월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정책적 금융지원이 늘어난 것도 큰 이유로 작용한다. 여기에 6·3 대선 이후 정책 변화에 따라 집값이 오를 수 있다는 심리적 요인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풀이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빚내기가 자산 마련의 기본이라고 여기는 젊은 세대의 특성에 신생아 특례대출, 생애최초 주택담보대출 등 정부의 정책자금이 더해진 결과”라고 분석했다.

송인호 KDI경제정보센터 소장은 “20~30대의 자산 포트폴리오 비중이 부동산에만 집중되면 중장년에 들어섰을 때 자산 관리에 불리함이 클 수 있다”며 “청년에게 불리한 기존 주택청약 제도를 획기적으로 바꾸는 등 자산 격차 확대에 대한 청년의 불안감을 덜어주는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84 흉기 들고 경찰과 대치하던 살인범, 특공대가 7초 만에 제압 랭크뉴스 2025.04.23
47683 처음 본 10대 추행한 70대 퇴직 경찰관, 항소심도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5.04.23
47682 “기흥역에 폭탄, 30일 오후 6시 터진다”…경찰, 작성자 추적 중 랭크뉴스 2025.04.23
47681 정청래, 대법원 이재명 심리 속행에 “역천자는 망한다” 랭크뉴스 2025.04.23
47680 동네마트 살해범, 경찰 오자 태연히 "기다려, 담배 한대 피울 게" 랭크뉴스 2025.04.23
47679 검찰, '尹부부 공천개입 의혹' 전 포항시장 예비후보 조사 랭크뉴스 2025.04.23
47678 국힘 이철규 며느리도 '대마 양성'…아들은 구속 심사 랭크뉴스 2025.04.23
47677 국힘 “대법, 이재명 유·무죄 명확히 밝혀야···대통령 되면 재판 멈추는지도” 랭크뉴스 2025.04.23
47676 한밤 56명 죽이고 수류탄 자폭한 우순경…경남청장 43년만에 사과 랭크뉴스 2025.04.23
47675 “현재 우크라 점령지만 인정하면 종전”…푸틴, 트럼프에 제안 랭크뉴스 2025.04.23
47674 '명태균 의혹' 김건희 여사, 변호인 선임... 검찰 소환 일정 조율 랭크뉴스 2025.04.23
47673 [속보]11년 만에 ‘2월 출생 증가’…혼인도 11개월째 늘어 랭크뉴스 2025.04.23
47672 李캠프 "원전비중 유지하되 사회적 합의로 줄여가는게 큰 방향" 랭크뉴스 2025.04.23
47671 후배가 나보다 더 받는다고?… 롯데가 도입한다는 ‘직무급제’가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23
47670 이재명 '대북송금' 재판부 "객관적 사실로 공소사실 정리해달라" 랭크뉴스 2025.04.23
47669 전 축구선수 강지용, '이혼숙려캠프' 출연 두 달 만 사망... 방송분은 비공개 랭크뉴스 2025.04.23
47668 이철규 아들 이어 며느리도 대마 양성... 아들 구속 심사 랭크뉴스 2025.04.23
47667 ‘마약 투약 혐의’ 이철규 아들 구속 심사…며느리도 대마 양성 반응 랭크뉴스 2025.04.23
47666 "담배냄새 싫으면 징징대지 말고 창 닫아"...적반하장 '층간흡연' 논란 랭크뉴스 2025.04.23
47665 이재명, 조갑제·정규재와 만찬... "장관, 보수 진보 가리지 않고 모시겠다" 랭크뉴스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