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공항서 소개… “튼튼한 한미동맹 위한 논의”
비관세장벽 다룰 듯… 美, 방위비 꺼낼 수도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미국 워싱턴 인근 덜레스국제공항에서 특파원들과 만나고 있다. 워싱턴=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통상 협의’를 하기 위해 미국을 찾은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의 관심사를 듣고 우리 입장을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22일(현지시간) 워싱턴 인근 덜레스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에 입국한 직후 특파원들과 만나 “미국 측 관심 사항을 경청하고 우리 입장도 적극적으로 설명하면 서로에게 도움이 되고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으니 그렇게 노력하려 한다”고 밝혔다. “한미 동맹을 더 튼튼하게 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하러 왔다”면서다.

대미 협의에 임하는 각오와 관련해서는 “최선을 다하겠다. 그(협의) 결과는 목요일(24일)에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이번에 최 부총리가 미국을 방문한 것은 23, 24일 워싱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와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춘계 총회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한미는 G20 재무장관 회의 때 통상 양국 재무장관 회담을 열고 외환·금융 등 소관 분야 현안을 논의해 왔다. 최 부총리가 미국 측 카운터파트(외교 상대방)인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만나는 것은 처음이다.

이번 협의의 의제에 대해 최 부총리는 출국 전 “미국과 조율 중이며 확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다만 의제가 재무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분명하다.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2일 57개 무역 파트너(유럽연합 포함)를 상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뒤 국가별 양자 통상 협의에 착수한 상태다. 한국은 일본 등과 함께 5개 우선 협상 대상에 포함됐다.

최 부총리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뒤 미국을 찾은 최고위급 한국 정부 인사다. 한미가 본격 협상을 시작하게 되는 셈이다. 형태는 양국 재무·통상장관이 마주앉는 ‘2+2’이며, 합의와 결과물을 도출하는 협상 대신 상호 입장과 의견을 교환하는 협의 방식으로 진행된다. 명칭은 ‘한미 2+2 통상 협의’다. 미국이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24일 열리는 이번 협의에는 한국에서 최 부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측에서는 베선트 장관과 통상협상 책임자인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각각 참석할 예정이다. 안 장관은 23일 워싱턴에 도착한다. 미국에서 통상 정책 집행을 총괄하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참석하지는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핵심 의제는 명칭대로 통상 이슈다. ①무역 적자 문제 ②미국의 조선업 재건 협력 ③액화천연가스(LNG) 관련 협력이 대표적이다. 아울러 비관세 장벽 문제도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20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환율 조작과 부가가치세, 자국 산업 보호용 농업 기준 등 8가지를 ‘비관세 부정행위’ 유형으로 열거했는데 한국과의 협상을 염두에 뒀다는 해석이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원스톱 쇼핑’ 방식의 협상을 요구해 온 만큼 주한미군 주둔 비용과 관련한 방위비 분담금 이슈가 의제로 다뤄질 가능성도 있다.

협의 장소는 백악관 옆 재무부 청사로 정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협의 장소에 깜짝 등장할 가능성은 작아졌지만 결과는 예측할 수 없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16일 통상 협의를 위해 미국을 방문한 일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장관을 백악관 집무실에서 만나 주일미군 주둔비 분담금의 증액을 요구하는 등 협상을 주도한 바 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31 美재무 "미·중 무역 갈등 완화될 것"…나스닥 2.7% 급반등 랭크뉴스 2025.04.23
47530 트럼프 "中, 협상안하면 우리가 숫자 결정…파월 해고 생각안해" 랭크뉴스 2025.04.23
47529 트럼프 “중국산 관세 크게 낮아질 것…강경 대응 않겠다” 랭크뉴스 2025.04.23
47528 대장(★★★★) 보다 의전서열 아래 국방차관, 50만 대군 지휘한다고?[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4.23
47527 [속보] 트럼프 "파월 해고할 생각은 없다"… 中 관세 인하 가능성도 언급 랭크뉴스 2025.04.23
47526 [르포]미중 갈등에도 "대체 불가 중국 포기 못해"...글로벌 완성차들의 구애는 더 세졌다 랭크뉴스 2025.04.23
47525 사모펀드가 인수한 보험사, 건전성 하락하며 몸값도 ‘추락’ 랭크뉴스 2025.04.23
47524 서울 미아동 마트서 흉기 난동…60대 여성 사망 랭크뉴스 2025.04.23
47523 트럼프, "中에 강경 태도 안 취해…파월 해고 의사 없다" 랭크뉴스 2025.04.23
47522 [르포] "목소리 내길 두려워 않던 분"… 바티칸 메운 추모 행렬 랭크뉴스 2025.04.23
47521 ‘한덕수 등장’에 김문수 뚝…‘오세훈 불출마’ 한동훈 최대 수혜 랭크뉴스 2025.04.23
47520 서울 미아역 인근 마트서 흉기 난동‥1명 사망 랭크뉴스 2025.04.23
47519 방미 최상목 “미국 관심 경청, 한국 입장 적극 설명할 것” 랭크뉴스 2025.04.23
47518 [단독] “췌장·소화기 장애 신설”…‘장애 기준’ 연구 보고서 입수 랭크뉴스 2025.04.23
47517 "요즘 집 고를 때 역세권보다 병세권"… 2050년 고령인구 40% 시대[집슐랭] 랭크뉴스 2025.04.23
47516 “0.1%, 일그러진 권력…세상을 좌지우지하려는 오만함에 분노”[박주연의 색다른 인터뷰] 랭크뉴스 2025.04.23
47515 정권 바뀌면 다시 ‘불장’?···‘빚 내서 집 사기’ 서두르는 2030 무주택자들 랭크뉴스 2025.04.23
47514 테슬라 1분기 자동차 매출 20% 감소…주가는 8%대 급등, 왜 랭크뉴스 2025.04.23
47513 얼굴 강조·노란 자막·자극적 제목…유튜브 추천 정치채널 소름돋게 같았다 랭크뉴스 2025.04.23
47512 [팩트체크] 역대 대통령선거에 나랏돈 얼마나 들었나 랭크뉴스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