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인구 55.7만···2년새 3만명↑
서초 인구도 0.4만명 가량 늘어
학군지·신축아파트·인프라 영향
강남의 '지위재' 역할도 주목
서초 인구도 0.4만명 가량 늘어
학군지·신축아파트·인프라 영향
강남의 '지위재' 역할도 주목
[서울경제]
고물가와 높은 집값 때문에 ‘탈서울’을 택하는 이들이 늘고 있는 와중에 강남구와 서초구 인구는 꾸준히 증가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과 서초 지역의 뛰어난 인프라와 ‘대치동’으로 상징되는 학군지 관련 실수요, 꾸준히 공급되는 아파트 물량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무엇보다 강남과 서초라는 지역이 한국 사회에서 하나의 계급을 상징하는 이른바 ‘지위재(地位財)’ 역할을 하면서 이들 지역 거주 인구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3일 서울시 통계에 따르면 강남구 인구는 2022년 52만9102명에서 지난해 55만7345명으로 3만명 가량 늘었다. 서초구 인구 또한 같은 기간 40만4325명에서 40만8376명으로 증가했다.
서울시 전체 인구가 같은기간 942만8372명에서 933만1828명으로 10만명 가량 줄었다는 점에서 강남·서초구의 인구 증가는 눈에 띌 수밖에 없다.
강남구와 서초구 인구 증가의 직접적 원인은 입주물량 증가 때문이다. 2023년 개포자이 프레지던스 등 개포동을 중심으로 강남지역내 대규모 단지 입주가 줄을 이었으며, 당시 서울 입주 물량의 37%를 강남구가 차지하기도 했다.
특히 올해와 내년 입주 예정인 재건축·재개발 단지를 살펴보면 강남·서초 쏠림 현상이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다. 실제 잠원메이플자이(3307가구), 디에이치방배(3064가구), 반포래미안트리니원(2091가구), 청담르엘(1261가구), 방배래미안원페를라(1097가구) 등이 입주를 앞두고 있으며 2027년에는 5007세대에 달하는 디에이치클래스트 입주가 예정돼 있다.
무엇보다 아파트가 서울 전체 주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다는 점도 강남·서초의 몸값을 높인다. 2023년 기준 서울 주택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59.8%로 전국 평균(64.6%) 대비 낮다. 서울시내에서는 아파트가 귀한 대접을 받을 수밖에 없는 이유다. 압도적 주거편의성을 갖춘 아파트 공급 증가와 강남이라는 브랜드에 대한 사람들의 욕망이 결합되며 강남·서초 인구가 늘고 있는 셈이다.
실제 부유한 이들이 많이 사는 만큼 이들 지역의 예산도 풍부하다. 강남구만 놓고 보면 올해 예산이 1조9952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9월 징수한 자치구별 재산세 항목만 봐도 이들 지역의 위상을 알 수 있다. 강남구(9338억원)와 서초구(5006억원)에서 걷어들인 재산세 수입은 서울 전체 자치구 25개에서 걷어들이 수입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 특히 도봉구(396억원), 강북구(406억원), 중랑구(527억원), 금천구(539억원) 등과 비교하면 격차가 상당하다.
서울시는 이 같은 강남 쏠림 현상 완화를 2008년부터 ‘재산세 공동 과세’를 시행 중이다. 이 제도는 25개 자치구가 징수한 재산세의 50%를 서울시가 넘겨 받아, 이를 25개 자치구에 균등 배분하는 구조다. 서울시의회는 공동세과세 비율을 60%로 높이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했지만 강남·서초구민들의 반발 때문에 실제 통과 여부는 미지수다.